월곡1동 주민센터
장소 관공서
성북구 오패산로 96(하월곡동 225-7)에 위치한 행정기관이다. 동명의 유래로 천장산 지형이 반달처럼 생긴 데서 동명이 유래했다는 설, 조선 후기 지방의 소장사들이 미아삼거리의 주막거리에 달밤에 도착하여 잔월(殘月) 아침에 흥정했기 때문에 월곡이라는 동명이 생겼다는 설이 있다. 1949년 성북구가 신설되면서 편입되었고, 1970년 하월곡1·2동과 상월곡동으로 분동했다. 1973년 월곡3동이 신설되고, 1975년 월곡3동에서 4동이 분동되었다. 2007년 12월 월곡1·3·4동이 월곡1동으로 통합되었다. 2020년 6월 기준으로 담당 면적은 0.81㎢, 인구수는 2만 7천여 명, 세대수는 10,817세대이다.
월곡동
  • 월곡1동 주민센터
  • 월곡1동사무소(1993)
  • 월곡3동사무소(현 월곡1동 주민센터)
  • 2020 월곡1동 주민센터 전경
  • 2020 월곡1동 주민센터 출입구
  • 2020 월곡1동 주민센터 측면

기본정보

  • 영문명칭:
  • 한문명칭:
  • 이명칭:
  • 오브젝트 생산자:
  • 비고:
  • 유형: 장소 관공서

시기

주소

  • 주소: 02741 서울특별시 성북구 하월곡동 225-7 (오패산로 96)

근거자료 원문

  • 〈月谷 第1洞〉 月谷第1洞은 下月谷洞 중의 서쪽지역, 즉 미아사거리 부근 일대의 행정을 담당하는 洞長管轄區域 명칭이다. 하월곡 제1동은 1949년 8월 13일 서울市에 편입된 후 月谷洞會라고 하여 下月各洞과 上月谷洞의 행정을 담당하였다. 그 뒤 인구증가로 1970년 5월 18일(市條例 제613호)에 月谷洞事務所는 下月谷第1洞, 第2洞과 上月谷洞事務所 등의 3개로 나뉘었다, 이 당시 하월곡 제1동사무소의 관할구역은 하월곡동 중 장월교를 북상하여 62번지 앞도로를 따라 하월곡동 山 2번지와 경계가 되는 도로 以西지역으로 정했다. 이어서 1973년 7월 1일(市條例 제748호)에 下月谷 第3洞事務所가 신설되었으며1975년 10월 1일(市條例 제981호) 下月谷 第3洞에서 第4洞이 分洞되었다. 그리고 1988년 1월 1일(市條例 제2251호) 행정동 명칭에 따라 下月谷 第1洞이 月谷 第1洞으로 바뀌어 오늘에 이르렀다. 현재 이 洞관내는 「미아로」, 「정릉길」, 「종암로」 외에 「정릉길」과 「월계로」를 잇는 도로가 뚫려있어 교통의 요지이므로 商街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洞은 종암제2동과 같이 예전에 모래마을, 또는 모랫말, 바닥마을이라고 칭했다. 이것은 정릉천에서 내려오는 모래가 이곳에 모였기 때문에 모래마을이라고도 불렀다. 또 사방이 산능선으로 둘러쌓였고 그 바닥에 평지를 이루었으므로 바닥마을이라고도 불렀다. 이 마을은 정릉천의 흐르는 물이 맑았기 때문에 콩나물공장의 주산지로도 유명하였다. 그 뒤 콩나물공장 대신 염색, 피혁공장이 들어서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는 거의 논밭으로 농업이 주가 되었으므로 주택은 미아리공동묘지 근처에서부터 이 마을에 이르기까지 약 100호가 채 되지 않았다고 한다. 현재 숭곡국민학교 동쪽에는 다릿굴내(月谷川)이 흘렀는데 복개되어 도로가 되었다. 이 洞관내의 공공기관으로 성북전화국 월곡분국, 성북우체국, 성가병원 외에 서울北工業高等學校, 숭인국민학교, 숭곡국민학교 등 교육기관과 월곡시장, 미아시장이 있으며 정릉천 복개한 곳에 북부 견인이동차량보관소가 자리하고 있다. 그리고 미아시장 뒤 편의 정릉천 변에는 美姬를 둔 많은 酒店이 들어서 있어 속칭 텍사스촌이라고 부른다. 1970년부터 1990년까지 하월곡 제1동의 현황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806쪽 표 참조).
    성북구청, 1993, 성북구지, 805-806쪽
  • 〈月谷 第2洞〉 月谷 第2洞은 월곡동 중의 남쪽, 정릉천 동쪽 일대의 행정을 담당하는 洞長管轄區域명칭이다. 이 洞은 앞의 월곡 제1동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月谷洞會라 칭하다가 1970년 5월 18일(市條例 제613호)에 下月谷 第2洞이 설치되었다. 이 당시 하월곡 제2동사무소의 관할구역은 하월곡동 중 하월곡 제1동 관할구역을 제외한 지역으로 정했다. 이어서 1973년 7월 1일(市條例 제784호)에 이 洞에서 下月谷 第3洞이 分洞되었다. 당시의 관할구역은 하월곡동 중 同德女大 북쪽 지적선과 溝渠를 연하고 57번지 앞 小路를 따라 北上, 하월곡 제1동장 관할구역과 접한 以南지역으로 정했다. 이어서 1988년 I 월 1일(市條例 제2251호) 행정동 명칭변경에 따라 下月谷第2洞이 月谷 第2洞으로 바뀌어 오늘에 이르렀다. 이 洞 관내에는 애기릉터와 貴人墓址가 있으며 애기릉터에는 同德女子大學校(하월곡동 23-1)가 위치하고 있다. 이 대학교는 대한제국말 국권이 日帝의 毒牙에 잠식당해 가자 春江 趙東植이 민족정신의 기초 위에 國運을 만회하려는 숭고한 목표아래 1908년 同德女子義塾을 설립한 것이 현재 同德女大의 모체이다. 道義, 眞理, 和協을 學訓으로 하는 同德女大는 1950년 5월에 창설, 개교했으며 1952년에 4년제 단과대학으로 개편하여 종로구 관훈동 151번지에 위치하고 있다가 1967년 3월 18일 현재의 하월곡동에 이전하여 오늘에 이른다. 이 洞에는 「花郞路」(하월곡동∼화랑대역∼태릉선수촌시계)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관통함에 따라 양분하고 있는데 공공기관으로는 韓國科學技術硏究院(KIST, 하월곡동39-1), 국민은행 월곡지점, 강북성모병원, 한양성심병원이 자리하고 있으며 정릉천변에는 1963년부터 공장이 세워지기 시작하였다. 韓國科學技術院이 천장산 기슭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大田市구성동으로 이전해 갔으며 동덕여자대학교 서쪽에는 一洋藥品이 세워져 있다. 1970년부터 1990년까지 월곡제2동사무소의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807쪽 표 참조).
    성북구청, 1993, 성북구지, 806-807쪽
  • 〈月谷 第4洞〉 月谷 第4洞은 동덕여자대학교 뒤쪽, 즉 월곡제2동과 제3동 사이의 월곡동 지역의 행정을 담당하는 洞長管轄區域명칭이다, 월곡 제4동의 연혁은 앞의 월곡제3동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月谷洞會, 下月谷 第2洞, 下月谷 第3洞으로 호칭되다가 인구증가로 1975년 10월 1일(市條例 제981호) 하월곡 제3동에서 分洞되었고, 1988년 1월 1일(市條例 제2251호) 행정동 명칭변경에 따라 下月谷第4洞은 月谷 第4洞으로 바뀌어 현재에 이르렀다. 이 당시 하월곡제4동은 하월곡동 중 하월곡 제1, 2, 3동장 관할구역을 제외한 지역을 관할구역으로 하게 되었다. 이 洞은 월곡 제3동과 같이 전에 밤나무가 많아 밤나무골, 밤골(票各)이라고 칭했다. 1975년과 1990년의 월곡 제4동의 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다(809쪽 표 참조).
    성북구청, 1993, 성북구지, 808-809쪽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20-06-30

관련 마을아카이브

  • 월곡동
    이야깃거리
    월곡동
    분류: 장소
    시기: 현대
  • 하월곡동
    이야깃거리
    하월곡동
    분류: 장소
    시기: 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