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규
? - ?
인물 개인 교육가
성북동에 있던 삼산학교(삼산의숙)의 교장이다. 1938년 12월 성북정 주민들과 학부모들이 삼산학교를 정식학교로 승격시키기 위해 유지후원회를 조직하였는데 경성부에서 공립 심상소학교를 돈암정에 건설한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이에 그는 삼산학교 전체를 경성부에 기부하고 삼산학교가 돈암정에 건설되는 삼산소학교의 모체가 되게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성북동

기본정보

  • 영문명칭:
  • 한문명칭:
  • 이명칭:
  • 성별:
  • 오브젝트 생산자:
  • 비고:
  • 유형: 인물 개인 교육가

시기

주소

  • 주소: 02837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55-1 (선잠로 12-11)
  • 비고: 삼산의숙(활동)

근거자료 원문

  • 이 사건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1938년 12월 현재 지역주민들과 일부 인사들의 헌신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삼산학교는 여전히 사립보통학교로 남아 있었다. 이에 성북정 주민들과 삼산학교 학부형들은 삼산학교를 정식학교로 승격시키기 위해 삼산학교 유지후원회를 조직했다. 이러한 와중에 경성부에서 아동들을 위한 공립 심상소학교를 동소문 밖에 건설한다는 계획이 발표되었으며, 새로운 학교의 위치는 돈암정으로 결정되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 소식을 들은 삼산학교의 행정을 담당했던 교무주임 이상봉과 교장 김홍규는 삼산학교 전체를 경성부에 기부하고 “삼산학교가 새롭게 돈암정에 건설되는 심상소학교의 모체가 되게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들은 현재 학교 예산으로는 자격 있는 학교를 승격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 기회에 학교를 부 당국에 기부하여 새로운 학교의 모체가 되는 것이 학교의 장래를 위해서 좋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박수진 외 4인, 2015, 성북동 : 만남의 역사, 꿈의 공간 , 115-116쪽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19-12-04

관련 마을아카이브

  • 삼산의숙
    이야깃거리
    삼산의숙
    분류: 장소, 인물
    시기: 조선시대
  • 이야깃거리
    이상봉
    분류: 인물
    시기: 일제강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