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익희
1894 - 1956
인물 개인 독립운동가
인물 개인 정치인
인물 개인 교육가
정릉동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1894년 경기도 광주에서 태어났다. 일본 와세다[早稲田]대학 정경학부에 유학하여, 『학지광』의 발간을 주도했다. 만주와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등지를 드나들면서 해외독립운동원과의 연락을 맡았고, 안으로는 민족지도자들과 독립운동의 방법을 토의하여 3.1운동의 도화선을 당기는 데 일역을 담당했다. 만세시위에 가담했던 신익희는 1919년 3월 다시 상하이로 떠나 26년 간의 망명생활을 시작했다. 대한민국임시헌법을 기초했고, 임시정부의 초대 대의원과 초대 내무차관 등을 역임했다. 광복 이후 임시정부 요인의 한 명으로 귀국한 신익희는 활발한 정치활동을 전개했다. 초대 국회에서 국회의장으로 활약했고, 1956년에는 민주당 대통령후보로 출마하였으나, 선거를 앞두고 사망하였다.
정릉동
  • 신익희 사진
  • 국민대학교 전경
  • 국민대학교 정문

기본정보

시기

주소

  • 주소: 02707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 861-1 (정릉로 77)
  • 비고: 국민대학교

근거자료 원문

  • 경기도 광주(廣州) 사람이다. 1919년 김시학(金時學) 윤치호(尹致昊) 이상재(李商在) 이승훈(李昇薰) 등과 함께 독립선언서를 작성하여 민중봉기할 것 등을 협의한 후 국내 동지들의 특파로서 대내외적으로 거족적인 독립운동을 계획하던 상해방면의 독립운동 지사들과 연락하기 위해 상해(上海)로 건너갔다. 그 당시 상해는 지리적으로 동서 교통의 요지가 되어 있고, 또 일제(日帝)의 횡포 압제를 덜 받을 수 있는 곳일 뿐 아니라, 이미 오래전부터 독립운동의 기반을 닦아 온 동제사(同濟社)의 조직 및 신시대, 신정세에 발 맞추어 활동하는 신한청년당원들의 활동이 국내외 동포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그는 이동녕(李東寧)·이시영(李始榮)·조완구(趙琬九)·조성환(曺成煥)·신석우(申錫雨)·조동호(趙東祜)·신규식(申圭植)·선우 혁(鮮于爀)·한진교(韓鎭敎) 등과 함께 상해 불란서조계 보창로(寶昌路)의 허름한 집을 임시사무소로 정하고 모여서 임시정부 조직을 위한 비밀회의를 갖게 되었다. 그 결과 4월 10일에 상해에 모인 각 지방 출신과 대표자들을 의원(議員)으로 하는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회의를 열고 국호, 관제(官制), 정부 관원 및 임시헌장 등을 의결 선포함으로써 역사적인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탄생을 맞게 된 것이다. 그는 임시의정원의 의원이 되어 4월 25일 임시의정원법을 초안 낭독하여 가결, 채택케 하였으며, 임시정부의 법무차장으로 임명되었다. 임시의정원 제6차 회의인 1919년 9월 6일 오후에 역사적인 대한민국 임시헌법의 통과가 있은 다음, 다시 정부 개조안 토의가 있었다. 정부 개조안의 내용은 한성정부의 기구와 각원을 그대로 통합 정부의 기구와 각원으로 하되 수반인 집정관 총재의 칭호를 대통령으로 고치는 것이었다. 그 중에도 기구에 있어서나 대통령 칭호에 있어서는 이미 통과된 헌법 제3장과 제5장에 의하여 결정을 본 것이니 여기서는 다만 인원의 선임 절차가 남은 것뿐이었다. 그것도 국무원의 선임은 대통령의 직권에 속하는 것인 즉 임시의정원에서 할 일은 헌법 제21조 5항에 의하는 임시 대통령의 선거와 제15조 4항에 의하는 국무원 임명에 대한 동의뿐인 것이었다. 따라서 먼저 대통령을 선거하기로 하였는데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헌법이 아직 발포되지 않았으니 대통령의 선거 방법을 새 헌법 중 임시대통령 선거 규정에 의하는 것이 옳으냐 그르냐는 것이었다. 만일 새 헌법에 의하여 임시대통령을 선거하기로 한다면 현정부는 이미 소멸된 것이며, 헌법의 발포권도 새로 선거된 대통령에게 있는 것이라고까지 논의가 비약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법무차장인 신익희는 현정부는 아직 소멸되지 않았으며 초창기이니 만큼 통상적인 준례만 따를 것이 아니라 장차 발포되리라 믿는 그 헌법에 의하여 대통령을 선거함이 부득이한 일이라고 피력하였다. 이에 따라 임시의정원 의원들이 투표케 되었고 이승만(李承晩)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던 것이다. 1919년 8월 그는 다시 법무총장에 임명되었다가, 1920년 9월에는 외무총장이 되었다. 1922년 초에 개최된 태평양회의는 국민들에게 많은 실망을 안겨 주었는데 그 까닭은 태평양회의에 대한 외교의 실패로 인하여 임시정부의 동태가 파탄적 양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민대표회의의 소집 운동이 고조되었으며, 같은 해 2월 8일부터 개막된 제10회 임시의정원 회의가 개최되었다. 3월 11일에 그를 비롯한 5명의 의원은 국민대표회의는 정부가 주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하면서 시국 수습이 무엇보다도 급선무라고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 결의안은 부결되었고 국무원은 총사퇴하여 정국은 혼란 속에 빠져 들어갔다. 따라서 이를 수습하기 위하여 의정원이나 국무원에서는 대통령에게 전보를 쳐서 속히 상해로 건너와 사태를 수습해 줄 것을 요구하였지만 대통령은 귀국을 차일피일 미루기만 하여 정국은 더욱 혼미 상태에 접어들게 되었다. 이에 따라 법정연구회(法政硏究會), 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 한국노병회(韓國勞兵會) 등이 조직되어 사태수습을 도모하였는데 이때 그는 시사책진회의 핵심인물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국민대표회의가 결렬된 후 각처에서는 다시 수많은 독립운동 단체가 출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단체의 난립은 파쟁과 의견 충돌만을 야기할 뿐 효과적이고 조직적인 광복운동에는 기여함이 적었다. 이리하여 독립지사들은 소아(小我)를 버리고 대승적(大乘的) 견지에서 통일된 단체를 조직하려는 움직임을 전개하기 시작하여 「임정」 기치 하에 단결하였다. 그 첫 시도가 유일독립당(唯一獨立黨)의 조직이었다. 1932년 1월 일본이 상해사변을 도발하여 중국 본토 침략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자 한국 독립운동가들은 이 급변하는 객관적 정세에 비추어 독립운동 세력의 총집결을 절감하고 또다시 통합운동을 모색하였다. 이때 그는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의 대표로 참석하였으며, 이들 대표는 처음에는 선전공작에 주력하다가 마침내는 단일당의 창립에 합의하여 1935년 7월 5일에 민족혁명당을 결성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민족혁명당도 오래 지속되지 못하였고, 다시 분열되어 1937년에 그는 김인철(金仁喆) 등과 함께 조선민족투쟁동맹을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조선민족투쟁동맹은 좌익진영인 조선민족혁명당, 조선혁명자연맹과 합하여 조선민족전선(朝鮮民族戰線)을 결성하였으며 우익진영에서는 1937년 7월에 한국광복진선(韓國光復陣線)을 결성하였다. 그 후, 1940년 5월에 광복진선에서는 한국독립당을 재건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도와 광복군을 창건하였으며, 민족전선 측은 동시에 따로 조선민족의용대를 조직하였다. 독립운동 단체는 양대 진영으로 완전히 분립되었으나 1941년 태평양전쟁의 발발로 양분된 광복운동에 일대 전환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절박한 현실은 사상적 대립에 앞서 민족의 총역량을 집결시키도록 강요했던 것이다. 이리하여 조선민족 의용대는 광복군의 지대로 편입하게 되었고 민족전선의 간부들은 임시정부의 의정원에 들어와 독립이 될 때까지 항일전을 계속하게 되었다. 1942년 6월에 임시정부에서는 외교연구위원회(外交硏究委員會)를 설치하기로 하고, 23일에 외교위원회 규정을 공포하여 외교 전반에 관한 문제를 연구, 제공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그는 장건상(張建相)·이현수(李顯洙)·이연호(李然浩)와 함께 연구 위원으로 선임되어 그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으며, 이듬해 2월에는 박찬익(朴贊翊)·최동오(崔東旿)·김성숙(金星淑)·유 림(柳林)을 연구위원으로 임명하여 그 진용을 보강하니 여기서 중대시국에 임시정부의 외교활동도 비로소 그 체제를 갖추게 되었으며, 이때 그는 부회장에 임명되었다. 1943년 4월부터는 새로이 대한민국 잠행관제(暫行官制)가 실시됨과 함께 정부 행정부의 한 부처로 선전부가 새로 설치를 보게 되니 여기서 선전 업무는 좀더 강력히 집행할 수 있었다. 즉 이때 새로 설치된 선전부에는 총무·편집·발행의 3과와 함께 선전위원회를 설치하고 일체의 선전 사업과 각종 선전 지도를 총할하여 행하게 되었는데, 초대 선전부장에 김규식(金奎植)이 선임되었으며, 그는 조소앙(趙素昻)·엄항섭(嚴恒燮)·유 림(柳林) 등과 함께 선전계획 수립, 선전진행 방침에 관한 사항 등을 의결하는 선전위원회의 위원으로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즉 그는 임시정부의 초창기부터 시작하여 내무차관, 내무총장, 국무원 비서장, 법무총장, 내무·외무·문교부장 등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조국이 광복될 때까지 끈질기게 항일 독립투쟁을 계속하였다. 광복 후에는 민주당 최고위원, 민의원으로 당선되었고, 국회의장을 역임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2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국외용의조선인명부(총독부경무국) 19·176면 사상정세시찰보고집 246면 사상정세시찰보고집(기2) 22·427면 한국독립운동사(문일민) 95·96·333·339·343·344·354·361·363·366·372·376·457면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176면 고등경찰요사 15·87·88·111면 민족독립투쟁사사료(해외편) 13·53·56·57·69·70·94면 벽옹김창숙일대기 109면 박은식전서 상권 565면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1권 분책 132면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13권 209·242·279·424면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국회도서관) 27·33·42·43·45·46·54·64·151·211·212·327·330·343·353·358·367·414·415·536·749·751·760·766·806·823·826·828·870·883면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3권 648·653·734·859·860면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4권 72·157·202·208·222·235·531·626·736·858·876면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7권 630면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9권 82·115·117·143·147면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9권 48·137·142면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2권 1216면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13권 24·29·31·49·151·1444·1447면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별집 3권 293·294면 조선민족운동연감 3·4·6·8·9·18·21·22·23·24·25·32·67·70·72·89·91·94·135·164·167면 무장독립운동비사 24·25·26면 기려수필 243면 명치백년사총서(김정명) 제2권 3·4·143·161·419·420·437·438·440·441·462·463·464·472·480·494·495·501·503·508·509·513·514·517·530·536·537·539·576·585·601·602·649·650면 임시정부의정원문서(국회도서관) 39·41·42·43·51·53·54·55·56·57·59·79·84·86·92·93·103·105·106·107·108·109·111·112·113·115·118·119·120·121·124·125·128·129·130·131·133·134·135·136·138·139·144·147·148·149·150·151·153·154·158·221·223·226·237·327·399·401·461·621·712·732·733·768·769·772·827·828·849·857면
    독립유공자 공훈록수록정보: 독립유공자공훈록 5권(1988년 발간)
    1996년 05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 본관은 평산(平山)이고, 자는 여구(汝耉)이며 호는 해공(海公)이다. 이명으로는 임방호(壬邦乎)를 사용했다. 경기도 광주 출생. 조선시대 때의 판서를 지낸 신단(申壇)의 여섯 아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상하이(上海) 임시정부에서 내무차장·외무차장 등을 역임했고, 귀국 후 국회의장을 지냈으며, 1956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출마했다. 어려서 사서삼경을 비롯한 한학을 익혔고, 1908년 관립한성외국어학교(官立漢城外國語學校)를 졸업한 뒤 일본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정경학부에 유학하였다. 유학 시절 『학지광』(學之光)의 발간을 주도하였다. 1913년 와세다대학을 마치고 귀국하여 중동학교(中東學校)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1917년부터는 보성전문학교(普成專門學校)의 전신인 보성법률고등학교에서 비교헌법 등의 강의를 맡았다. 1918년 미국대통령 윌슨(Wilson,W.)의 민족자결원칙이 발표됨과 더불어 독립운동에 뛰어들어, 만주·북경·상해 등지를 드나들면서 해외독립운동원과의 연락을 맡아보고, 안으로는 민족지도자들과 독립운동의 방법을 토의하여 3·1운동의 도화선을 당기는 데 일역을 담당하였다. 만세시위에 가담했던 그는 1919년 3월 다시 상해로 떠나 그로부터 26년간의 망명생활을 시작하였다. 당시 상해에서 일본유학생친목단체인 유일학회친목회(留日學會親睦會)를 조직하기도 했다. 상해에 있는 동안 대한민국임시헌법을 기초하고 임시정부의 초대 대의원과 초대 내무차관을 지냈으며, 그 뒤 내무총장·법무총장·문교부장·외무부장 등을 맡았고, 국무원 비서실장과 의정원 부의장을 겸임하였다. 그는 독립운동이 처음에는 평화적인 방식으로 시작되더라도 나중에는 반드시 군사행동에 의하여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임시정부에 있으면서도, 정부는 상징적인 것에 불과할 뿐 실력은 저항군에 있다는 믿음 아래, 중국 각지를 돌아다니며 한국청년들에 의한 군대조직을 시도해 보고, 당시 상승기에 있던 중국혁명군과 연결하여 한중합작에 의한 군사행동의 실현을 추진해 보았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광복 이후 1945년 9월 조선인민공화국 내각이 편성되자 신익희는 인공 내각의 체신부장에 선임되었다. 1945년 12월 임정요인의 한 명으로 귀국한 그는 곧바로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부회장을 맡았으며, 국민대학 학장과 자유신문사 사장직도 맡았다. 당시 신익희는 귀국 후, 김구 등 임시정부 계통과는 노선을 달리하여 정치공작대·정치위원회 등을 조직하여 이승만과 접촉하였다. 그 뒤 이승만(李承晩)의 뒤를 이어 국회의장이 되었다. 1947년에는 지청천(池靑天)의 대동청년단과 합작해 대한국민당을 결성하고 대표최고위원이 되었으며, 1950년 한국민주당과 합당, 개편된 민주국민당의 위원장으로 뽑혔다. 그 동안 그는 3선국회의장으로 정치적 비중을 더해갔으며, 권력의 연장을 위하여 사사오입개헌까지 자행한 이승만에게 민심이 등을 돌리자, 1955년 장면(張勉)·조병옥(趙炳玉) 등과 민주당(民主黨)을 창당하였고, 1956년 야당의 대통령후보로 출마하였다. 1956년 5월 2일 한강백사장에서 열린 그의 유세에는 많은 인파가 모여 그의 인기를 실증하였다. 그러나 그로부터 사흘 뒤인 5월 5일 호남지방에서의 유세를 위하여 전주로 가던 중 기차 안에서 심장마비로 죽었다. 그에게는 추모표로서 185만여 표가 던져졌으며, 5월 23일 국민장으로 장례가 치러졌으며 서울 우이동에 안장되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해공)신익희 연구』(이현희·정경환·오영섭, 삼화출판사, 2007) 『식익희 평전』(구경서, 광주문화원, 2000) 『대한민국독립유공자공훈록(大韓民國獨立有功人物錄)』(국가보훈처, 1997) 『해공 신익희』(신창현, 해공신익희선생기념회, 1992) 『해공 신익희 일대기』(유치송, 해공신익희선생기념회, 1984) 『신익희(申翼熙)』(신문학회, 1956) 『신익희선생(申翼熙先生)의 일대기(一代記)』(김석영, 早稻田大學同窓會 出版部, 1956) 『해공일기 : 잡동산이』(필사본)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기술통제

  • 작성자: 김진흠
  • 작성일: 2020-08-18

관련 마을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