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네빈대떡
2011
장소 상업시설
성북구 동소문로23길 20(동선동4가 178)에 위치한 음식점이다. 빈대떡과 각종 전을 메인 메뉴로 하는 이곳은 2011년 동선동에 자리를 잡고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가게를 찾는 손님들의 연령층은 대부분 40~50대이며, 계절에 맞게 겨울철에는 따뜻한 국물요리도 메뉴로 준비한다.
동선동
  • 이모네빈대떡 외부
  • 이모네빈대떡 메뉴판
  • 이모네빈대떡 내부 모습
  • 동선동 상가2 1층 음식점

기본정보

  • 영문명칭:
  • 한문명칭:
  • 이명칭:
  • 오브젝트 생산자:
  • 비고:
  • 유형: 장소 상업시설

시기

주소

  • 주소: 02829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선동4가 178 (동소문로23길 20)

근거자료 원문

  • 한국 사람들에게 ‘비오는 날이면 제일 먼저 생각나는 음식’을 묻는다면 아마도 1순위가 ‘파전이나 빈대떡’이 아닐까? 그리고 바로 따라서 나오는 이름이 ‘막걸리’일 것이다. 그리고 명절이나 제사상에도 빠지지 않는 음식 중 하나가 빈대떡이다. 녹두를 갈아서 숙주, 고사리, 다진 고기, 대파 등을 넣고 걸쭉하게 지져내면 그야말로 눈부터 호강을 하고 입에 들어가는 순간 그 고소함에 반하게 하는 맛이 바로 빈대떡이다. 비오는 날 성신여대역 버스 정류장에서 내려서 롯데리아 골목으로 100미터쯤 들어가면 벌써 고소한 냄새가 나는 듯하다. 좀 더 안으로 들어가면 우측에 ‘이모네 빈대떡’집이 있고 가게 안에는 벌써 사람들로 꽉 차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사장님은 홀을 등지고 거리가 보이는 가게 안에서 열심히 빈대떡을 지지고 계신다. 빈대떡 뿐 아니라 각종 전들도 넓은 팬에서 맛있게 익어가고 있다. 가끔 지날 때마다 들어가고 먹고 싶지만 포장해서 집으로 들어와야 했던 기억이 있다. 가게 안으로 들어가니 왼편 벽에는 유명 연예인들의 사인이 여러 장 붙어 있었다. 아마 맛집으로 소문난 모양이다. ‘등잔 밑이 어둡다’는 속담처럼 가까이 사는 사람들보다 먼 곳에서 소문이 더 빠른가 보다.
  • ['이모네빈대떡' 사장님 인터뷰] 올해로 8년째 가게를 운영하시는 사장님은 평소에 빈대떡에 관심이 많아서 이 가게를 운영하시게 되었다고 하셨다. 지나다닐 때 보면 손님들이 많아 보이는데 장사가 잘 되시죠? 물었더니 가게가 작다보니(4인 테이블 5~6개) 항상 사람이 많아 보일뿐이라고 하셨다. 그래도 그동안은 그런대로 괜찮았는데 요즘은 코로나 때문에 많이 힘들다고 하셨다. 가게를 운영하시면서 가장 좋았던 때는 가게를 시작하고 한 1년 정도가 가장 매출이 좋아서 재미있었다고 했다. 장사할 때는 매출이 좋으면 힘들어도 힘든 줄 모르고, 공부할 때는 성적이 좋으면 공부해도 힘든 줄 모르는 게 당연하다. 노력한 만큼의 댓가가 따르면 아무리 힘들어도 어디선가 힘이 솟아난다. 가게를 찾는 손님들은 대개 40~50대 연령층들이 많다고 하셨다. 주 메뉴는 빈대떡과 전모둠이지만, 겨울철에는 따끈하고 얼큰한 생대구탕과 굴국밥, 그리고 한국인들의 밥상에 자주 오르는 김치찌개와 청국장, 된장찌개로 손님들을 맞는다고 하신다. 그리고 명절 때면 전 주문을 하시는 고객들도 계셔서 가게 운영에 도움이 된다고 하셨다. '어서 빨리 코로나가 물러가야 가게 사장님의 걱정이 조금이나마 덜어질텐데…' 하는 마음으로 인사를 하고 나왔다.
    주민기록단 활동보고서(2020. 12. 15. 동선동 '이모네 빈대떡' 촬영) / 주민기록단 신기자 작성

기술통제

  • 작성자: 장지희
  • 작성일: 2020-12-24

이 자료의 상위 자료 보기

관련 마을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