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근복
1950
국가무형문화재
유물 무형문화재
인물 개인 건축가
국가무형문화재 번와장(翻瓦匠) 기능보유자이다. '번와장'이란 지붕의 기와를 잇는 장인을 말한다. 1950년 전북 임실에서 태어난 그는 부친을 따라 어려서부터 어깨너머로 현장에서 건축 일을 익혔다. 스무 살 무렵 상경하여 돈암동의 건재상에서 근무하며 기선길 등 고건축 대가들로부터 본격적으로 기와 잇는 기술을 배웠다. 숭례문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경복궁 수정전, 창덕궁 돈화문, 법주사 대웅전, 봉정사 극락전 등 국보급 문화재 수백여 건의 기와 보수공사에 참여했다. 2008년 10월 21일 번와장 최초의 기능보유자로 인정되어, 2021년 현재도 유일하다.
성북구 돈암동
  • 번와장 이근복의 당골막이 다듬기 작업 모습

기본정보

시기

주소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문화재 지정

  • 지정 유형: 국가무형문화재
  • 지정일: 2008.10.21
  • 비고: 국가무형문화재 번와장의 최초이자 유일한 기능보유자

근거자료 원문

  • '번와장'이란 지붕의 기와를 잇는 장인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기와를 사용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출토유물로 보아 삼국시대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 시기부터 번와와공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후 삼국시대의 기와기술은 더욱 발달하여 기록에 의하면 ‘와박사(瓦博士)’라는 장인이 있었고, 이들은 일본에 건너가 기와기술을 전해주기도 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태조 원년(1392)에 ‘와서(瓦署)’를 설치하여 기와를 생산하도록 하였으며, 태종 6년(1406)에는 ‘별와요(別瓦窯)'에서 기와를 보급하도록 하였다. 별와요에는 와장을 비롯하여 승려도 배치하여 대대적으로 기와를 제작하기도 하였다. 와공의 명칭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기와를 만드는 제와(製瓦)기술자로 ‘와공(瓦工)’ 또는 ‘와장(瓦匠)’이라고 하며, 벽돌 만드는 장인이 기와도 함께 만들었기 때문에 ‘와벽장(瓦壁匠)’이라는 명칭도 사용되었다. 기와를 올리는 장인은 ‘개장(蓋匠)’이라고 하는데 이는 제와장인과 구분하기 위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기와를 만드는 것은 ‘번와(燔瓦)’라고 하고 기와 덮는 일을 ‘번와(翻瓦)'라고 하기 때문에 기와 덮는 장인을 ’번와와공(翻瓦瓦工)‘이라 한다. 지붕은 한국 건축을 형성하는 조형요소이면서 한국건축의 전통성을 가장 잘 표현하는 부분중 하나이며, 한국 목조건축에서 가장 아름다운 기술을 만들어 내야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기와지붕은 한국전통건축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인 곡선미를 가장 잘 보여주는 부분으로 지붕의 조형적 특징은 번와 기술이 좌우한다고 볼 수 있다.
    문화재청,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항목명: 번와장 (翻瓦匠)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271101210000&pageNo=1_1_3_1

기술통제

  • 작성자: 염현주
  • 작성일: 2021-07-26

관련 마을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