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1∼5
1352
보물
유물 문헌
고려대학교에서 소장하고 있는 불경이다. 1352년 음력 10월 지식 수한 등의 주도로 조성된 목판을 후대 찍어 만든 불경이다. 공민왕 원년(1352년) 판본의 권1∼5 가운데 보각사업 이전의 원판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등 후대 보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핵심적인 자료로서의 서지적 가치를 확보하고 있다. 이 중 권4∼5의 경우 보물로 지정된 동일 판본 가운데 포함되지 않은 권차라는 점에서 희소성이 있으며 기 지정본에 비해 인출 시기가 앞선 판본이므로 학술적 가치 또한 높다. 2022년 10월 2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안암동
  •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1∼5

기본정보

  • 영문명칭: Repentance Ritual of the Great Compassion, Revised Version, Volume 1–5
  • 한문명칭: 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卷一∼五
  • 이명칭:
  • 오브젝트 생산자:
  • 비고:
  • 유형: 유물 문헌

시기

주소

  • 주소: 02841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5가 1-2 (안암로 145)
  • 비고: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에서 관리 중

문화재 지정

  • 지정 유형: 보물
  • 지정일: 2022.10.26

근거자료 원문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1∼5’은 1352년 음력 10월 지식 수한 등의 주도로 조성된 목판을 후대 찍어 만든 불경이다. 일부에서는 필사·보완과 함께 결장(변상도·서문 및 일부 장차, 권5 제23∼24장 등)의 사례도 보이고, 표지·제첨도 수리되어 있으며, 본문의 일부에서는 가필의 흔적(권1 제14장 등)도 확인된다. 그럼에도 공민왕 원년(1352년) 판본의 권1∼5 가운데 보각사업 이전의 원판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등 후대 보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핵심적인 자료로서의 서지적 가치를 확보하고 있다. 이 중 권4∼5의 경우 보물로 지정된 동일 판본 가운데 포함되지 않은 권차라는 점에서 희소성이 있으며 기 지정본에 비해 인출 시기가 앞선 판본이므로 학술적 가치 또한 높다. 이러한 사유로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1∼5’를 보물로 지정해 역사·문화적인 가치를 체계적으로 보존할 필요가 있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항목명: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1∼5
  • ㅇ 지정현황 : 비지정 ㅇ 명 칭 :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1∼5(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卷一~五) ㅇ 소유자(관리자) : 고려대학교(고려대학교 도서관) ㅇ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 5가, 고려대학교 도서관 ㅇ 수 량 : 5권 1책 ㅇ 규 격 : 20.9×16.6cm ㅇ 재 질 : 저지(楮紙) ㅇ 형 식 : 선장(線裝) ㅇ 판 종 : 목판본 ㅇ 조성연대 : 1352년(고려 공민왕 1년)
    국가유산청, 2022, (공고문) 2022년 제4차 동산분과위원회 _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1∼5, 11쪽
  • 고려대 화산문고소장본은 1352년 음력 10월 지식 수한 등의 주도로 조성된 목판 을 후대 찍어 만든 불교기록유산이다. 일부에서는 필사·보완과 함께 결장(변상도· 서문 및 일부 장차, 권5 제23∼24장 등)의 사례도 보이고, 표지·제첨도 수리되어 있으며, 본문의 일부에서는 가필의 흔적(권1 제14장 등)도 확인된다. 그러면서 공 민왕 원년 판본의 권1∼5 가운데 보각사업 이전의 원판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등 후대 보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핵심적인 원천자료로서의 자료적인 희소가치를 확보하고 있으며, 권4∼5의 경우도 보물로 지정된 동일 판본 가운데 포함되지 않 은 권차이기도 하다. 더구나 계명대학교 소장 권4∼7 및 보물 제875―2호의 판본 보다 인출 시기가 앞선 판본이기도 하다. 이러한 사유로 고려대학교 화산문고 소장의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1∼5 를 보 물로 지정해 역사·문화적인 가치를 체계적으로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국가유산청, 2022, 2022년 동산문화재분과위원회 제4차 회의자료_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1∼5, 232쪽
  • 목판본(선장 : [1352년 판각, 후쇄본]) 상하단변(사주단변 흔적)/ 광고 25.6㎝/ 무계/ 1면 5행 13자(전곽 20행 13자)/ 무어미·백구/ 주소자쌍행 서문제목 : 慈悲道場懴法全(묵서·제첨) 서문제목 : 詳挍正本慈悲道場懴法序(묵서) 서문저술정보 : 朝散大夫行尙書兵部䏍外郞康戩述(묵서) 권 수 제 : 詳挍正本慈悲道場懴法 저술정보 : 梁朝諸大法師集撰 판 심 제 : 懴(제5∼6행·제10∼11행·제15∼16행 사이 표기) 권 미 제 : 慈悲道場懴法(권1)/ 詳挍正夲慈悲道場懴法(권2∼5) 석문제목 : 慈悲懴法釋文 석문저술정보 : 清涼山沙門廣鈞述 음석제목 : 序文音義/ 第一卷音義(권1∼3·5)/ 第四卷音釋(권4) 각 수 : 刻手法玄(권4 제26장), 刻手法空(권5 제24장) 구성체계 : 서문제목―서문저술정보―서문내용(이상 묵서)―권수제―저술정보―분과제목―본문내용―권미제―음석(音釋·音義)제목―음석내용 특이사항 : 본문에서는 °형태의 권점이 작은 크기로 표기. 제1장을 제외한 제2장부터는 일반적으로 개별 장차의 본문 제5∼6행·제10∼11행·제15∼16행 사이에 판심제와 권차·장차가 표기. 권1의 제2∼6장, 권2의 제2·4∼5장, 권3의 제2∼5장, 권4의 제2∼3장, 권5의 2∼5장에는 판심제의 장차 아래 장(丈)자가 표기. 권2 제23장 음의 내용이 끝난 공간에는 건물 모양의 그림이 새겨진 상태. 권3∼5의 저술정보 가운데 조(朝)자가 이체자 형태. 특히 권4 제27장에 위치한 음석의 앞부분에는 사주쌍변 형태의 흑사란 안에 개법장진언부호와 함께 표지제목으로 활용되는 慈悲道場懴法卷第+(공란)이라는 내용이 없는 상태로 계명대학교 소장 및 보물 제875―3호 판본보다 앞선 시기에 인출. 피휘사례 : 建(05011009·05022002 : 태조의 휘), 健(05211105 : 태조의 휘 建)
    국가유산청, 2022, 2022년 동산문화재분과위원회 제4차 회의자료_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1∼5, 248-249쪽
  • 고려대학교 화산문고에 소장된 선장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1책은 전체 10권 가 운데 권1∼5의 영본(零本)이며, 권5 제22장의 뒷부분부터 제24장까지 7면이 탈락 되어 있다. 그리고 습기·얼룩 흔적이 보이며, 표지 부분도 후대 개장되어 있다. 본문 글자의 일부도 마모·훼손되어 있고 배접되어 있으며, 서문 등에는 보필 흔적도 보인다. 본문에서는 음독구결이 묵서되어 있다. 권1의 제2∼6장 등에는 판심제의 장차 아래에 장(丈)자가 표기되어 있으며, 각수(刻手) 법현(法玄: 권4 제26장의 음석 아래) 및 각수(刻手) 법공(法空: 권5 제24장 음의 아래)도 양각되어 있는 등 1352년 음력 10월 지식(知識) 수한(守閑) 등의 주도로 조성된 해당 원판을 찍은 만든 인출본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더구나 권4 제27장은 표지제목·제첨이 보각되기 이전 의 원각 경판으로 확인되는 처음 사례이며, 고려대학교 소장의 권1∼5 가운데 권4∼5의 경우에는 기존에 지정된 동일 판본의 보물 가운데 포함되지 않은 권차로 자료적인 희소 가치도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인출시기도 보물 제875―3호 및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의 판본보다 앞선 시기로 확인할 수 있다.
    국가유산청, 2022, 2022년 동산문화재분과위원회 제4차 회의자료_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1∼5, 249쪽

기술통제

  • 작성자: 이지원
  • 작성일: 2025-08-18

관련 마을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