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쾌대
1913.01.16 - 1965.02.20
인물 개인 화가
서양화가이다. 휘문고등보통학교 재학 중이던 1933년 일본의 제국미술학교로 유학하였다. 1938년 도쿄에서 열린 제25회 이과전(二科展)에 〈운명〉을 출품해 입선한 이후 3년 연속 입선하였다. 1941년 도쿄에서 이중섭, 진환 등과 신미술가협회를 조직하고, 1944년까지 도쿄와 서울에서 동인전을 가졌다. 이시기 그는 인물상에 주력하며 표현주의적 수법으로 인물의 개성을 강하게 포착해냈다. 해방 직후에는 어지러운 사회상과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는 사람들의 희망을 역동적으로 그려냈다. 1946년 봄부터 성북회화연구소(현 성북구 보문로39길 34)를 창립하여 학생들을 가르쳤고, 1948년 명륜동으로 이사했다. 동소문동에 있던 연구소는 이쾌대의 사재로 임대한 40평의 공간이었다. 한국전쟁 발발 이후 서울을 점령한 북한군에 강제부역을 하다가 연합군의 서울 수복후 거제도 포로수용소에 갇혔다. 1953년 남북 포로교환때 자의로 북한으로 넘어간 후 조선미술가 동맹 소속 화가로 활동하였다. 이쾌대는 한국미술사에 있어서 한국적 전통을 서양화폭에 담으려고 시도한 화가이자, 한국 현실주의 미술의 선구자로 평가되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군상〉, 〈걸인〉, 〈송아지〉 등이 있다.
삼선동
  • 성북문화원 앞 이쾌대 벽화

기본정보

  • 영문명칭:
  • 한문명칭: 李快大
  • 이명칭:
  • 성별:
  • 오브젝트 생산자:
  • 비고:
  • 유형: 인물 개인 화가

시기

주소

  • 주소: 02860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로39길 34)
  • 비고: 성북회화연구소(활동)

근거자료 원문

  • ○ 이쾌대 - 한국적 전통(가치)을 서양화폭에 담으려고 시도한 화가로 한국적 서양화의 독자적인 영역을 개척한 화가로 평가 받음 - 해방 직후 활발한 작품을 발표하여 역사의 목격자이자 기록자로서 분단과 좌우 이념갈등으로 치닫던 해방공간의 비극적 민족현실을 화폭에 담은 여러 작품을 남김 - 신미술가협회 조직(1941) - 1941년 3월, 이중섭, 최재덕, 김종찬, 김준, 진환, 김학수 등과 함께 조직 - 일제에 굴하지 않고 민족적 미의식에 바탕을 둔 향토적 서정을 담아내고자 노력 - 김은호, 김기창, 이상범 등 조선을 대표하는 화가들이 일제의 전쟁 전선 미술에 동원된 것에 대항
    성북구청 문화체육과, 성북문화원, 2016, 성북동 역사문화자원 조사·연구, 131쪽
  • 정의 해방 이후 「조난」·「걸인」·「송아지」 등을 그린 화가. 서양화가. 개설 경북 칠곡 출신. 서울의 휘문고보 재학시절인1933년 일본의 데이코쿠미술학교(帝國美術學校)에 유학하여 1938년에 졸업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38년 도쿄에서 열린 제25회 니카텐(二科展)에 「운명」을 출품해 입선한 이후 3년 연속 입선하였다. 당시의 작품은 개성적인 표현 감각과 예민한 조형 의식으로 전형적인 한인 여인상이라는 주제에 치중되어 있었다. 1941년도쿄에서 이중섭(李仲燮), 진환(陳瓛), 최재덕(崔載德), 문학수(文學洙) 등과 신미술가협회를 조직하고, 1944년까지 도쿄과 서울에서 동인전을 가졌다. 1945년 광복 직후에는 조선조형예술동맹 및 좌익의 조선미술동맹 간부가 되었다가 스스로 이탈하였다. 1947년 ‘진정한 민족예술의 건설’을 표방하면서 김인승, 조병덕, 이인성 등 18명으로 이루어진 조선미술문화협회를 결성하였고 1949년까지 4회의 회원 작품전을 가졌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는 독도(獨島) 어민 참변 사건을 주제로 삼은 참담한 분위기의 사실적인 대작 「조난」(1948년)과 영웅적인 초인적 의지의 인간상을 표현한 「걸인」(1948)이 있다. 「군상Ⅰ-해방고지」도 같은 해에 완성하였다. 1949년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국전)에 서양화부 추천 작가로 참가하여 정물화 「추과(秋果)」를 출품하였다. 그러다가 1950년 6·25전쟁 직후, 서울에 급조되었던 남침 북한 체제의 남조선미술동맹에 적극 가담하였던 끝에 인민 의용군으로 참전하다가 포로가 되어 거제 수용소에서 휴전을 맞이하였다. 하지만 남북 포로 교환때 자의로 북한을 택하여 넘어갔다. 북한에서는 조선미술가동맹 소속 화가로서 활동하면서, 1957년모스크바에서 열린 제6회 세계청년축전에 「삼일운동」을 발표하고, 전국미술전람회에 「농악」을 출품하였다. 1958년 월북화가 김진환과 함께 중국 인민지원군 우의탑에 벽화를 제작하였고, 1961년에는 국가미술전람회에 「송아지」를 출품해 2등상을 받았다. 이쾌대는 53세인 1965년 위천공이 악화되어 사망하였다. 친형 이여성(李如星)도 민족적 사회주의 정당 활동을 하다가 월북하여 조선 미술사 연구와 조선화 창작 활동을 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0년 신세계 미술관에서 개최된 『해금작가 유화전』을 시작으로 하여, 1991년 『월북작가 이쾌대전』(신세계 미술관), 1992년 『월북작가 이쾌대 순회전』(대구 동아 미술관), 1993년 『회고전』(수원 문화회관)과 『유작전』(경기도 문화예술회관), 1995년 『이쾌대-낯선 작가를 향한 주목』(대구 대백프라자 갤러리) 등의 유작전이 열렸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항목명: 이쾌대 [李快大]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22-07-19

관련 마을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