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선동
1949.08.15
장소 인문지리
성북구의 중앙에 위치한 동의 이름이다. 일제강점기까지 동소문(혜화문) 밖은 돈암동으로 불렸는데, 1930년대까지는 한적한 시골의 모습이었으나, 서울의 인구가 늘어나면서 1930년대부터 도시계획 아래 개발되기 시작하여 빠르게 인구가 유입되고 정비되었다. 1945년 해방 직후에는 동대문구에 속해 있었다. 1949년 성북구가 신설되며 관할이 성북구로 넘어왔는데, 지역이 넓고 인구가 많아 동소문동, 삼선동, 동선동, 돈암동으로 분리되었다. 동선동의 이름은 동소문동(東小門洞)의 ‘동’자와 삼선동(三仙洞)의 ‘선’자를 따서 만든 것으로 오래된 이름은 아니다. 현재 지하철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을 중심으로 미아리고개의 주변 지역이 동선동이다.
동선동
  • 동선동 한옥(1)
  • 동선동 한옥(2)
  • 동선동 한옥(3)
  • 동선동 한옥(4)
  • 동선동 한옥(5)
  • 동선동 한옥(6)
  • 1990년 동선동 전경(1)
  • 1990년 동선동 전경(2)
  • 동선1동청사
  • 성북천 풍경(6)
  • 성북천 풍경(5)
  • 성북천 풍경(4)
  • 성신여대 로데오거리(5)
  • 성북천 풍경(3)
  • 성북천 풍경(1)
  • 동선2구역 건물 외관
  • 성신여대 로데오거리(4)
  • 성신여대 로데오거리(3)
  • 성신여대 로데오거리(2)
  • 성북천 풍경(7)
  • 성신여대입구 우이경전철(2)
  • 성신여대입구 우이경전철(3)
  • 동선2구역 풍경
  • 동선2구역 전경(2)
  • 성신여대입구 우이경전철(11)
  • 성신여대입구 우이경전철(9)
  • 성신여대 로데오거리(8)
  • 성신여대 로데오거리(7)
  • 성신여대 로데오거리(6)
  • 성신여대 로데오거리 전경
  • 동선2구역 전경(1)
  • 성신여대입구 우이경전철(4)
  • 성신여대 로데오거리(1)
  • 성북천 경관
  • 성신여대입구(현 하나로 거리)
  • 동선2동의 모습
  • 구청과 동선1동의 모습
  • 동선로
  • 신흥목공소
  • 1990년 심야영업단속(2)
  • 동선, 돈암동의 전경
  • 동선동이 보이는 전경
  • 동선동 부광컴퓨터크리닝(2)
  • 동선동 부광컴퓨터크리닝(1)
  • 동선동 예산전자
  • 구청이 보이는 삼선동, 동선동 전경
  • 동소문동 주택 철거후 전경
  • 동선동4가 미아리 역학촌
  • 동선동 플라타너스거리
  • 동선동 거리
  • 성신여대입구역 부근(3)
  • 성신여대입구역 부근(2)
  • 성신여대입구역 부근(1)
  • 삼선동, 동선동 일대(1993)
  • 예닮교회와 삼선동, 동선동 일대
  • 성신여자대학교와 주변 모습(1996)
  • 하나로거리(1)
  • 동선동 유리가게

기본정보

  • 영문명칭:
  • 한문명칭: 東仙洞
  • 이명칭:
  • 오브젝트 생산자:
  • 비고:
  • 유형: 장소 인문지리

시기

  • 시대: 현대
  • 시기: 1949.08.15

주소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선동

근거자료 원문

  • 동소문동의 동자와 삼선동의 선자를 따서 만든 동선동 동소문동(東小門洞)의 ‘동’ 자와 삼선동(三 仙洞)의 ‘선’ 자를 따서 만든 것으로 오래된 이름은 아니다. 동선동은 동쪽으로 안암동, 서쪽 으로 돈암동, 남쪽으로 삼선동, 북쪽으로 돈암동, 동소문동과 접한 지역으로, 동선동 역사의 상당부분은 돈암동과 함께 하고 있다. 1949년까지 돈암동의 인구가 너무 늘어나서 행정처리가 힘들어지자 동선동은 돈암동으로부터 분리된다. 동선동 동쪽으로는 안감내길이 성북천을 따라 지나가는데, 안감내는 성북천 또는 안감천의 옛 이름이다. 동선2동에는 남북으로 지나는 아리랑 고갯길이 있다. 이 길은 좁고 구불구불한 길인데 아리랑고개가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고개 이름에 대한 유래는 2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는 1935년 일본인들이 고급 요정을 꾸민 다음 이곳을 알리기 위해 민요 아 리랑의 이름을 따서 고개 위에 푯말을 세웠다는 설이고, 다른 하나는 일제에 항거하고 민족 정신을 형상화한 춘사 나운규 선생의 영화 아리랑을 이곳에서 촬영해서 그렇게 이름 붙여졌다고 하는 설이다. 둘 중 어느 것이 정설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최근 성북구청에서 매년 아리랑축제를 개최하고 영화의 거리로 특화 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고 있다.
  • 東仙洞 「彌阿路」변 양쪽에 위치한 東仙洞은 1949년에 敦岩洞에서 분리될 때 東小門洞과 三仙洞에서 각각 첫글자를 따서 洞名이 제정되었다. 동선동 지역은 앞의 동소문동, 삼선동 지역과 같이 조선초부터 漢城府에 속했으며 1894년 갑오개혁 때에는 漢城府 東署 崇信坊(城外) 東門外契 敦岩里였다. 한일합방으로 日帝가 1911년 4월 1일(京畿道令 제3호) 경기도 京城府 崇信面 敦岩里로 하고 1914년 4월 1일(京畿道令 제1호) 경기도 高陽郡 崇仁面 敦岩里로 하였다. 그 후 1936년 4월 1일(總督府令 제8호) 경성부 확장 때 京城府에 편입되어 敦岩町 이 되었고, 1943년 6월 10일(府令 제163호) 區制실시로 東大門區 敦岩町이 되었다. 광복 후 1946년 10월 1일 敦岩田J은 軟岩洞으로 개칭되고, 1949년 8월 15일 城北區의 新設로 城北區 敦岩洞으로 될 때 敦岩洞의 지역이넓은 관계로 東小門洞, 三仙洞, 東仙洞, 郭岩洞으로 분할하면서 東仙洞이 되고 1, 2, 3, 4, 5街로 세분되었다. 한편 동선동의 북쪽에 敦岩峴, 狄踰峴 등으로 불러오고, 또 彌阿里로 넘어가는 嶺路라 하여 속칭 미아리고개로 통하는 고갯길은 옛날부터 胡賊의 침입로가 되었다 하여 狄踰嶺 즉 「되너미고개」로 불리어지기도 하였지만 최근 6· 25동란 중에는 「되」아닌 같은 민족끼리 싸우고 넘는 고개가 되었다. 지금도 들을 수 있는 「斷腸의 미아리고개」라는 노래는 6.25동란시 아군의 반격으로 미처 달아나지 못했던 수많은 애국인사와 선량한 국민들을 공산당이 묶어서이 고개를 넘어 북으로 도망치는 장면을 그대로 묘사한 것이다. 이러한 불행한 운명의 사실을 傍證이라도 하여 주듯이, 돈암동 큰 거리에서 미아리고개로 올라가는 길 가에는 수많은 占術家의 간판이 눈 길을 끈다, 현재 東仙洞 1가∼5가 지역은 동선 제1동, 제2동사무소에서 행정을 담당하고 있다.
    성북구청, 1993, 성북구지, 776-777쪽
  • 〈東仙 第1洞〉 東仙 第1洞은 「彌阿路」남동쪽 일대의 동선동 1가∼3가, 돈암동 일부 지역의 행정을 담당하는 洞長管轄區域 명칭이다. 日帝때인 1936년 4월 1일에 京城府에 편입된 동선동 지역은 이 당시 東仙南部町會, 東仙北部町會가 설치되었으리라고 본다. 따라서 東仙 第1洞지역은 東仙南部町會로 호칭되었을 것이다, 광복 후 1946년 10월 1일에 東仙南部町會는 東仙南部洞會로 개칭되었는데 1947년 말까지는 돈암동 구역내에 東小門洞, 東仙南部洞, 東仙北部洞, 貞和洞, 旭丘東部洞, 旭丘西部洞의 6個洞會가 있었다. 이 중 東仙南部洞과 東仙北部洞은 6,140세대 36,019명의 인구가 거주하여 6個洞의 전체인구 72,780명의 절반가량이나 된다. 1951년 11월 29일(市告示 제5호) 동선남부동회에서 동선동부동회를 분동시켰다. 이어서 1955년 4월 18일(市條例 제66호) 「洞制」를 실시할 때 東仙洞지역은 東仙洞, 南仙洞, 西仙洞, 北仙洞事務所등 4개 행정동이 설치되었다. 이 당시 동선동 사무소는 동선동 2가 및 3가의 13번지∼248번지에 이르는 도로 동쪽지역, 남선동사무소는 동선동 1가, 3가 일부와 동소문동 5가 지역, 서선동사무소는 동선동 4가 및 5가의 일부 지역, 북선동사무소는 돈암동 중의 敦岩峴 동쪽 지역을 관할하게 했다. 따라서 동선동, 남선동사무소 관할지역이 오늘날 동선 제1동사무소 관할구역에 해당되었다. 이어서 1970년 5월 18일(市條例 제613호) 4개 동사무소를 통폐합하여 東仙第1洞과 第2洞을 설치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1970년 당시의 동선 제1동의 현황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778쪽 표 참조). 동선 제1동의 북쪽으로는 「미아로」가 지나고 그 밑으로는 지하철 4호선이 지나면서 성신여대입구역이 있으며, 동쪽으로는 「안감내길」(대광국교∼성북구청∼돈암4거리)이 성북천을 따라서 나 있다. 안감내는 성북천 또는 안암천의 옛이름으로 한자로는 安甘川이라 표기했다. 현재 지하철 성신여대입구역 부근은 商街로서 성북구의 가장 번화가로 손꼽힌다. 이 洞의 관내에는 사립 誠信女子大學校(동선동 3가 249-1)와 성신여자고등학교가 자리하고 있다. 성신여자대학교는 李淑鍾이 1963년 성신여자초급대학을 설립한 후 1965년에 4년제사범대학, 1979년 성신여자대학, 1983년에 종합대학인 성신여자대학교로 되었다. 성신여자고등학교는 李淑鍾이 1936년 4월에 경운동의 천도교기념관을 이용해서 성신여학교를 설립하고 이어서 1939년 성신가정여학교로 바꾼 뒤 1944년 6월에 현재 위치로 이전해 왔다.
    성북구청, 1993, 성북구지, 777-778쪽
  • 〈東仙 第2洞〉 東仙 第2洞은 지하철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 북쪽의 「아리랑고개길」 좌우의 동선동 4가, 5가와 동소문동 6가, 7이 지역의 행정을 담당하는 洞長管轄區域 名稱이다. 앞의 동선 제1동과 같이 1936년 4월 1일 이 지역이 京城府에 편입된 후 東仙北部町會로 호칭되었을 것이다. 광복 후 1946년 10월 1일 東仙北部洞會로 바뀌고, 1955년 4월 18일(市條例 제66호) 「洞制」를 실시할 때 東仙, 南仙, 西仙, 北仙洞事務所 등 4개 동사무소가 설치되었는데 西仙洞事務所로 호칭되었다. 이어서 1970년 5월 18일(市條例 제613호) 4개 동사무소를 통폐합하여 東仙第2洞事務所로 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동선 제2동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아리랑고개길」(돈암4거리∼전병원앞∼아리랑시장)은 폭 15m, 길이 1,450m의 좁고 구불구불한 길이다, 이 길이름은 1984년에 제정된 것인데 그 이유는 아리랑고개가 있기 때문이다. 이 고개이름은 우리민족의 대표적 민요인 아리랑 노래를 붙인 것이다. 고개이름의 유래는 1935년경에 일본인들이 貞陵일대를 개발하고 요정을 꾸민 다음 이곳을 널리 알리기 위해 고개 위에 아리랑고개라고 푯말을 세운 것이라는 설이 있고, 1929년에 홍봉진씨가 가정교사를 할 때 그 집주인이 정롱에 상춘원이라는 요리집을 내면서 선전광고문을 부탁했으므로 이를 써주면서 고개 마루턱 老松가지에다 「아리랑고개」라고 써서 매달았기 때문에 연유되었다는 것이다. 「아리랑고개길」은 주말이나 공휴일이면 신흥사 부근의 대형음식점을 찾아 회갑연에 참석하려는 사람으로 교통혼잡이 심하다. 여기서 광복 당시부터 1990년까지 동선 제2동사무소의 현황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779쪽 표 참조).
    성북구청, 1993, 성북구지, 778-779쪽
  • 동선동은 동쪽의 안암동, 서쪽의 돈암동, 남쪽의 삼선동, 북쪽에 돈암동, 동소문동에 접해있다. 돈암동의 인구가 늘어나자 1949년 처음 동선동이라는 이름으로 분리되었으며, 1963년 서울특별시조례 제274호로 법정동으로 신설되었다. 동선동 동쪽으로는 안감내길이 성북천을 따라 지나가는데 안감내는 성북천 또는 안감천의 옛 이름이다. 정릉동과 접한 곳에는 아리랑고개가 있다. 아리랑고개의 연원은 1935년 일본인들이 고급 요정을 꾸민 다음 이곳을 알리기 위해 민요 아리랑의 이름을 따서 고개 위에 푯말을 세웠다는 설과, 다른 하나는 이곳에서 일정강점기에 일제에 항거하고 민족정신을 형상화한 춘사 나은규가 영화 아리랑을 촬영해서 그렇게 이름 붙여졌다고 하는 설이다. 북한산자락 밑에 집을 짓고 살며 이 고개를 넘어 출퇴근했던 김교신의 증언에 의하면 이 고개는 '정릉고개'로도 불렸다.
    성북문화원, 2016, 성북문화 제4호, 292-293쪽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20-01-30

이 자료의 하위 자료 보기

관련 마을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