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전터
?
장소 유적
조선시대 마전을 하던 현재 성북구 선잠단 앞 성북천 일대를 가리키는 말이다. 마전터란 옷감을 삶거나 빨고 표백하는 곳을 말한다. 조선 영조 때에 농토가 적고 시장이 멀어 살기에 불편했던 이 지역 백성들의 생계를 위해 도성 안 시장에서 파는 포목을 마전질, 즉 표백하는 권리를 주었다. 그로부터 성북동 양쪽 골짜기의 물이 합류되는 부근의 냇가를 마전터라고 부르게 되었다. 1902년에는 성북동에 표백회사가 들어서 현재 성북초등학교 자리에 마전한 광목을 말리곤 했고, 운수교 자리에는 직조공장이 있었다. 해방 이후 직조 과정이 점차 기계화되면서 사람의 힘으로 마전하는 일이 줄어들었고, 1970년대 성북천 복개공사로 빨래터도 사라지고 이제는 성곽 옆 ‘마전터’라는 음식점 이름으로만 남아 있다.
성북동
  • 성북동(城北洞)의 환희(歡喜), 마전질을 하게 되었다
  • 마전터 표지석
  • 마전터 표지석(1)
  • 마전터 표지석(2)

기본정보

  • 영문명칭:
  • 한문명칭:
  • 이명칭:
  • 오브젝트 생산자:
  • 비고:
  • 유형: 장소 유적

시기

  • 시대: 조선시대
  • 시기: ?
  • 비고: 1960년대까지 마전을 함

주소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 비고: 미상

근거자료 원문

  • 메주 담그는 일은 왕조 말기의 정치적 격랑 속에서 군영이 개편, 해체되면서 사라졌다고 해도 성안의 단골 점포를 대상으로 하는 마전일은 일제강점기에도 여전히 성북동 주민들의 생업으로 남아 있었다. 증언에 따르면 지금의 성북초등학교 앞 교차로가 마전터였으며 1960년대까지만 해도 성북동에 마전일 하는 사람이 있었다고 한다. 마전일은 규모가 크고 힘이 필요한 일이라 주로 남자들이 도맡아 했다고. 다음에 인용하는 글은 200년 가까이 마전일을 생계수단으로 하여 살았던 옛 성북동 사람들의 시름과 기쁨을 잘 보여주는 신문 기사이다. 마전질을 하게 되었다. 동소문 밖 성북동은 호수가 70여 호에 생업 되는 바는 다만 포백 장사뿐으로 날마다 문안 각 포백 단골을 삼아두고 포목을 가져와서 포백하는 것이 큰 생업인데 요사이 가뭄으로 인하여 동리 우물 29개소나 말라버리고 시냇물이 또한 말라서 포백을 할 수 없으므로 부득이 그 업을 폐지하다시피 전부 중지하고 그 대신 짚신과 기타 미투리를 삼아서 겨우 호구하기 때문에 동민의 생활난을 부르짖는 소리가 창천하던 바요 요사이로 가끔 비가 시작되어 다시 시냇물이 회복되었으므로 전과 같이 포백업을 시작하고 동민들은 매우 낙관을 하는 모양이라더라. ―『매일신보』 1917년 7월 5일자 지난 날 마전을 위한 물을 공급하던 성북천은 말끔히 복개된 지 오래이다. 굽고 경사진 도로를 따라가면서 지금도 발아래에 흐르고 있다는 시냇물의 소리에 귀 기울여 보지만 헛된 일이다. 삶아진 천을 볕에 널었을 법한 물길 옆 널찍한 땅은 크고 작은 건물들에 자리를 내어주었다. 옛 금녕약국 앞 인도에 작은 화강암제 표석 한 개가 외로이 서서 예전 이곳이 마전터였음을 알려줄 뿐이다. 그마저도 빼곡하게 세워둔 자동차들의 덩치에 가려 눈에 뜨이지 않는다. 그 옛날 자신의 방패막으로 삼기 위하여 변변한 논밭 몇 마지기 없는 곳에 사람들을 모집해서 살게 한 권력. 그 권력이 지도상에 그린 계획의 비할 데 없는 허술함을 현장의 사람들은 기나긴 배고픔 속에서 노동의 착실함으로 메워 가야만 했다. 도저히 살 수 없음과 그래도 살아야 함이라는 깊은 모순 속에서 성북동의 새벽이 밝았다. 성북동만 그러하랴. 그와 같은 막막함에 맞닥뜨리지 않고 일군 살림이나 마을이 어디 흔할 것인가? 이런저런 생각에 잠겨 다시 옛 마전터 표석을 굽어보노라면 200년 전, 더운 여름날 솥에 불을 지피고 무거운 포목을 져 나르며 땀 흘리던 성북동 사람들의 일노래 한 자락 들려오는 듯하다. (백외준)
    박수진 외 4인, 2015, 성북동 : 만남의 역사, 꿈의 공간 , 48-50쪽
  • 수연산방에서 성북천을 따라 조금 내려가면 마전터가 있었다. 조선이 국권을 빼앗기며 마전을 하여 납품할 상점들은 많이 사라졌지만, 마전은 1910년대까지도 성북동의 몇 안 되는 생업 가운데 하나였다.
    박수진 외 4인, 2015, 성북동 : 만남의 역사, 꿈의 공간 , 124쪽
  • 조선시대에 이 지역은 깊은 산속으로 농토가 적고 시장이 멀어 사람이 살기에 불편하였다. 조정에서는 백성들을 이곳으로 이주하여 살게 하였으나 사람들은 계속해서 떠나갔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1765년(영조 41)에 오흥부원군 김한구와 영의정 홍봉한이 왕께 건의하여 서울 각 시장에서 파는 포목의 표백, 즉 마전하는 권리를 이곳 주민들에게 주고 그 후 3년 뒤 1768년(영조 44)에는 창의문 밖에 사는 사람들에게 주었던 궁중에 바치는 메주 쑤는 권리를 일부 이곳 주민들에게 주었다고 한다. 얼마 전까지도 성북동 양쪽 골짜기의 물이 합류되는 부근의 냇가를 마전터라고 부르는 것은 이와 같은 사실에서 연유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양보경, 1998, (사연이 깃든) 성북의 유래, 43쪽
  • 1902년에는 성북동에 표백회사가 들어섰다. 한산 등지에서 생산한 모시가 서울로 올라오면 성북동에서 표백을 했다. 오궁동五宮洞에 사는 서상인徐相寅씨 등이 농부農部에 청원하되 본인 등이 표백회사를 성북동에 설치하고 세납은 봄과 가을에 1천냥씩 수납하겠으니 인허해 달라고 하였다. 『황성신문』, 1902.05.08 현재 성북초등학교 자리에 마전한 광목을 말리곤 했고, 운수교 자리에는 직조공장이 있었다. 해방 이후 직조 과정이 점차 기계화 되면서 사람의 힘으로 마전하는 일이 줄어들었고, 1970년대 성북천 복개공사로 빨래터도 사라졌다. 하얀 광목과 굵은 땀방울이 만들던 성북동의 풍경은 사라지고 이제는 성곽 옆 ‘마전터’라는 음식점 이름으로만 남아 있다.
  • 선잠단 앞 성북천 일대에 있었던 마전터
    성북구청 문화체육과, 성북문화원, 2016, 성북동 역사문화자원 조사·연구, 91쪽
  • 비탈 마을, 북정 (상략) 성북동에는 이처럼 한양도성과 관련된 이름이 또 있다. 마전터가 그것이다. 맑은 개울이 르흐고, 커다란 바위가 있는 곳이며, 한양 도심과 가까운 곳이니, 빨래하는 사람도 많고, 옷에 물감을 들이거나 표백하는 사람들이 모여들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더구나 1902년 한 표백 회사가 허가권을 따내 성북동에 자리를 잡으면서 성북동은 표백한 천들을 바위에 널어 말려 장관을 연출하는 곳이 되었다. 그래서 성북동을 마전(麻田)터라고 하였다. 마전은 베나 무명을 삶거나 쪄서 빨아 볕에 말려 희게 만드는 일이다. 맑은 개울과 흰 천들이 바위에 널려 있는 풍경을 이제는 성북동에서 찾을 수 없지만, 그 풍경만은 눈에 삼삼하다. 북정마을이나 마전터라는 이름은 모두 한양도성의 인근이었기 때문에 붙을 수 있는 호칭이었을 것이다. 산 아래 개울 근처가 마전터이고, 성 근처 산 위가 북정마을이었으니, 이 두 명칭은 산과 개울로 이루어진 성북동을 온전히 상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마전터는 자취조차 없어졌지만, 북정마을은 여전히 성 아래 자리를 잡고 옛 모습을 간직한 채 성북동을 찾는 이들에게 과거의 풍경을 기억하게 해 주고 있다.
    김경아 외 7인, 2013, 성북마을 이야기, 20-21쪽
  • 2. 마전터와 개천에 대한 기억 선잠단은 잘 기억 못하는 분들이 마전터 이야기가 나오니깐 오히려 반가워한다. 외지에서 공부하며 찾아가는 답사객들은 선잠단을 더 잘 알고 가는데, 주민들은 이곳이 마전터였음을 더 잘 기억하고 있었다. 선잠단에서 조금 올라가면 삼거리가 나오는데, 그곳이 마전터였다고 한다. 지금은 복개되어 전혀 알 수 없지만 파출소 건너편 생선구이집 앞에 마전터 표석이 있다. 마전(麻田)터는 옷감을 표백해서 널던 곳을 말한다. 성북동 계곡에는 넓은 바위가 많고 물이 맑아 빨래하기 좋았다고 한다. 근방에 마전터라는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목준상(68세) 씨는 성북에서 태어나고 자란 진짜 토박이인데, 마전터를 기념하여 식당이름을 ‘마전터’라 짓고 식당 내부에도 마전터의 유래를 적어 놓았다. 조선시대에 성북동 일대는 깊은 산속인데다 농토가 적고 시장이 멀어 사람이 살기에 부적합하였다.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 곳이었는데, 조정에서는 백성들을 이곳으로 이주하게 하기 위하여 마전의 권리를 부여해 준 것이다. 영조 41년(1765) 오흥부원군 김한구와 영의정 홍봉한이 왕께 건의하여 서울 각 시장에서 파는 포목의 표백, 즉 마전하는 권리를 이곳 주민들에게 주고 그 후 3년 뒤에는 창의문 밖에 사는 사람들에게 주었던 궁중에 바치는 메주 쑤는 권리를 일부 이곳 주민들에게도 주었다고 한다. 복개되기 전까지 성북동 양쪽 골짜기의 물이 합류되는 삼거리 지점에는 커다란 돌이 있어 빨래를 널기에 좋았다고 한다. 세검정 일대가 너른 바위가 많고 물이 좋아 종이를 만들거나 실록을 씻는 세초지로 쓰였다면 이곳 성북동 계곡은 마전터로 쓰였던 것이다. 하지만 그 바위들은 복개하면서 지하에 깔렸는지, 채석하여 건축자재로 쓰였는지는 알 수 없다.
    여성문화유산연구회, 2010, 선잠단과 길쌈이야기, 119-120쪽
  • 해방 후에도 동대문 시장 등지로 광목을 표백해서 팔던 사람들이 이곳에서 일을 했다고 한다. 하지만 주민조사에서는 그렇게 업을 삼아 마전하던 사람은 찾을 수 없었고 주로 가정에서 빨래를 위해 개천을 이용한 정도였다. 하두호 노인회 회장(83세)은 금녕약국 있는 곳이 바로 마전터였고 60년대까지도 마전하는 것을 보았다고 한다. 주로 광목을 사다가 다시 표백을 해서 팔았는데, 이런 일은 대부분 남자들이 했다. 직업적으로 이루어진 마전은 규모가 크고 힘이 필요한 일이기 때문에 여자들보다는 남자들의 노동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처음 조사기획 당시에는 옷감을 빨고 표백하는 일이니, 마전터가 여성과 관련있다고 생각했는데, 이것이 직업적으로 이루어지다보니 남자들의 일이 되었다. 여자들은 주로 개울에서 집안 빨래를 했던 것이다.
    여성문화유산연구회, 2010, 선잠단과 길쌈이야기, 120쪽
  • 개천에 대한 기억은 특이하게도 남자와 여자의 기억이 다르다. 남자들은 주로 물이 맑았다고 하는 반면, 여자들은 물이 더러웠다고 한다. 그 이유를 추리해 보니, 여자와 남자들이 주로 개천을 이용하는 목적이 달랐다. 남자들은 주로 개천에서 놀던 기억이 많고, 여자들은 주로 빨래하며 일(노동)을 하던 기억이 많았다. 빨래를 하면서 물이 더러워졌을 테고, 빨래할 곳을 찾다보면 더러운 곳과 아닌 곳에 대한 기억이 더 명확했을 것이다. 몇몇 할머니들의 말씀에 의하면 “비가 오면 오물을 갖다 버리는 사람이 있었다”고도 하고 70년대 이후 성북동이 개발되면서 물이 더러워졌다고 한다. 이곳이 얼마나 풍치 좋은 계곡이었을지 지금은 찾아볼 수가 없지만 성락원이나 세검정 일대와 비교해 보면 그와 같지 않았을까? 선잠단 옆에서 홈패션을 운영하고 계신 이영순, 엄태홍 부부(60대 후반)의 증언에 의하면, “마전터에서 광목을 양잿물에 삶아 빨아 널었는데, 궁녀들이 나와서 빨래했다고 한다. 개천에서는 목욕하고 빨래했다. 물이 맑아 가재가 많았다. 겨울에는 얼어서 팽이치고 썰매를 탔다. 시할아버님이 궁에 일을 하러 다니셨는데 궁으로 다니는 길이 있었다.” “97년부터 이곳에서 홈패션을 운영하며 살고 있는데, 집 바로 앞으로 물이 흘렀다. 10여년 전 어느날 뽕나무 씨앗이 날아 들었는지 옥상에서 뽕나무가 자라기 시작했다. 너무 커져서 지금은 옆 담장으로 옮겨 심은 상태이다. 선잠단 옆에 살다보니 별일이 다 있다.” 정말로 집 담장에는 뽕나무가 자라고 있었다. 이 비좁은 길목으로 물이 흐르고 있었다니, 성북은 정말 ‘보이는 모든 길이 물길’이라는 표현이 맞는 것 같다.
    여성문화유산연구회, 2010, 선잠단과 길쌈이야기, 121-122쪽

기술통제

  • 작성자:
  • 작성일:

관련 마을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