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가는 마을학교
2012 - ?
사건 도시
2012년부터 시행된 성북구청의 마을만들기 지원 사업 중 하나이다. ‘마을만들기’란 일상을 나누며 살아가는 마을에서 주민 스스로 마을의 주거 환경과 생활여건을 개선하고, 지역고유의 정서와 공동체를 회복해 나가는 활동이다. 그런데 마을만들기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이며 무엇을 해야 하는지 궁금해 하거나 관심을 갖고 있는 마을 또는 주민 모임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프로그램이 ‘찾아가는 마을학교’이다. 성북구 마을만들기 지원센터가 주관하여 사례 검토, 현장답사, 마을진단, 계획 수립(주민참여 워크숍) 등을 중심으로 강좌를 구성하여 지원하였는데, 2012-2013년 길음동의 소리마을이 선정되어 2회에 걸쳐 14강이 진행되었다.
성북구

기본정보

  • 영문명칭:
  • 한문명칭:
  • 이명칭:
  • 오브젝트 생산자:
  • 비고:
  • 유형: 사건 도시

시기

  • 시대: 현대
  • 시기: 2012 - ?

주소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 비고: 성북구 전 지역 대상

근거자료 원문

  • 소리마을과 인연을 맺다 지역운동가로서 자기의 현장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는 굉장히 중요한 문제로 다가왔다. 지역의 주민들과 밀접하지 않고, 그들에 의거하지 않는다면 결과적으로 관념운동의 영역을 벗어날 수 없다는 판단을 하고 있었기에 성북센터에서 활동하는 초기에 필자의 현장이 어디가 될 것인가를 두고 많은 고민을 했다. 그러던 와중, ‘찾아가는 마을학교’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길음1동 소리마을과 인연을 맺기 시작했다. 소리마을은 ‘길음’이라는 단어를 한글로 그대로 풀어내 지은 동네 이름이었다. 한눈에 들어왔던 특징은 주변 사방은 온통 뉴타운 지대로서 아파트로 구성되어 있고, 소리마을은 일반 주택지로서, 일종의 분지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따라서 필자는 이 동네에 처음 발을 들여 넣는 순간, 어릴 적 살았던 무악재 골짜기의 ‘추억의 단면’을 보는 느낌을 갖기도 했고, 비약적인 표현이 되겠지만 소설가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무대가 눈앞에 재연되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기도 했다. 따라서 이 동네와 인연을 맺는다는 것은 앞으로 필자의 현장이 개발이냐 개발반대냐 하는 투쟁의 현장 속에 놓이지 않을까 하는 앞서나간 우려의 시작이기도 했다. 그러나 그런 생각은 행사장인 길음중앙교회에 들어서자마자 사라졌다. ‘찾아가는 마을학교’는 뉴타운의 존치지역인 소리마을이 어떻게 하면 긍정적인 활동을 통해 뉴타운과는 다른 방식으로 마을을 재생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는 장이었고, 이 지역에 건립될 복지시설을 어떻게 하면 주민들 스스로의 역량으로 운영할 것인지 토론하는 자리였다. 거기서 나오는 지역주민들의 에너지는 필자의 호기심을 자극했고, 강한 현장감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김경아 외 7인, 2013, 성북마을 이야기, 101-103쪽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이 자료의 상위 자료 보기

관련 마을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