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문동/교통
?
장소 인문지리
성북구 보문동의 교통에 관한 내용이다. 보문동은 흥인지문(동대문)으로 나와 신설동을 거쳐 동쪽으로 가는 길과 혜화문(동소문)을 거쳐 미아리고개를 넘어 동북으로 향하는 길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근대적 교통수단인 전차가 처음 들어온 것은 조선말이었고, 서대문~종로~동대문~청량리 구간이 먼저 개통되었기 때문에 이 노선이 지나는 신설동과 가까운 보문동 지역도 일찍부터 근대적인 교통의 혜택을 입었다. 일제강점기에 진행된 돈암지구 개발로 인해 버스와 전차 노선이 확대되었고, 보문동도 그 혜택을 볼 수 있었다. 해방 이후에는 신설동이 도심과 동쪽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 기능했고, 혜화문에서 돈암동으로 나가는 지역도 빠르게 성장하면서 그 사이를 잇는 보문로가 정비․확충되고 보문동의 교통 입지도 개선되었다.
보문동
  • 보문로 일대
  • 보문동 전경(4)
  • 보문동 야경
  • 보문역사거리

기본정보

  • 영문명칭:
  • 한문명칭:
  • 이명칭:
  • 오브젝트 생산자:
  • 비고:
  • 유형: 장소 인문지리

시기

주소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동

근거자료 원문

  • 보문동은 한양도성의 동대문인 흥인지문으로 나와 신설동을 거쳐 동쪽으로 가는 길과, 동소문인 혜화문을 거쳐 미아리고개를 넘어 동북으로 향하는 길의 중간에 위치한다. 또한 종암동 지역으로 향하는 길에 위치했다. 양 교통로의 핵심 지역이라 할 수는 없으나 교통이 아주 불편한 지역도 아니었다. 다만 도로 정비는 매우 부실했다. 토지구획정리사업과 맞물려 창경원-돈암정 구간이 개수되었다. 일제강점기 대표적 교통수단이었던 전차가 처음 조선에 들어온 것은 1898년이다. 미국인 콜브란Collbran. H은 고종의 홍릉洪陵 행차에 편의를 제공한다는 목적으로 한성전기회사를 세우고 서대문-종로-동대문-청량리 구간, 8.1㎞의 단선 전차 궤도를 부설했다. 첫 운행은 1899년 5월에 시작됐다. 이 노선은 자연히 현재의 신설동역을 지나갔다. 지금도 신설동역에서 보문동 주민센터까지는 걸어서 15분 정도 소요되니 보문동 지역은 근대 초기부터 전차라는 교통의 세례를 받은 지역이었다. 돈암지구의 토지구획정리사업이 마무리되어가는 시점인 1941년에는 혜화로터리에서 지금의 성신여대입구역까지 전차 노선이 연장되기도 했다. 버스도 중요한 교통수단이었다. 버스의 도입은 전차보다 거의 30년이 늦었다. 1928년 2월 경성부가 운영하는 부영府營 운행 계획이 세워졌다. 서울역을 중심으로 하는 4개 노선 운행도 이때 결정되었다. 버스는 개설 초반 흑자를 내기도 했지만, 전차와의 경쟁에서 밀려나기 시작했다. 차츰 전차는 시내, 버스는 교외를 운행하는 것으로 역할이 조정되었다. 보문동 지역을 통과하는 버스도 이런 흐름에서 생겨났다. 1930년대까지 경성 시내에서 개운사까지 가는 버스는 하루에 두 번 정도 왕복운행을 하였는데, 이 버스의 노선은 자연 보문동을 지나갔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인구가 늘어나고, 보성전문학교, 경성고등상업학교가 각각 안암동과 보문동에 생기자 점차 노선도 연장되었다. 1935년~36년 사이 안암동까지 가던 버스는 종암동까지 노선을 연장했다. 당시 버스는 전차의 보조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당시 보문동 지역 사람들은 필요에 따라 신설동까지 걸어가서 전차를 탈 수도 있었고, 버스를타고 돈암동으로 나아가 전차를 타고 이동할 수도 있었다. (중략) 학교와 시장도 계획되었다. 돈암토지구획정리계획평면도를 보면 두 곳의 학교부지와, 두 곳의 시장부지가 보인다. 현재 두 곳의 학교부지에는 돈암초등학교와 경동고등학교가, 두 곳의 시장부지에는 돈암시장과 보문시장이 위치하고 있다. 네 곳 모두 당시의 계획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 것이다. 다만 시장의 설치는 다소 늦어졌다. 구체적인 돈암지구 설치 계획이 수립된 것은 1942년이었다. 당시 계획은 이듬해인 1943년에 시장을 여는 것이었으나, 실제로 시장이 열린 것은 1944년 5월의 일이었다.
    박수진 외 7인, 2017, 보문동∙안암동, 75-77쪽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20-01-31

이 자료의 상위 자료 보기

관련 마을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