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곡동
1949
장소 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위치한 행정구역인 동의 하나이다. 월곡동은 현재 하월곡동에 있는 천장산의 형세가 마치 반달과 같다고 하여 그 산 근방에 있는 마을을 다릿골‧다릿굴이라 부르는 데서 유래했다. 이 중 위쪽을 ‘웃다릿골‧웃다릿굴’, 아래쪽을 ‘아래다릿골‧아래다릿굴’이라 했는데, 이것이 지금의 상월곡동과 하월곡동이 되었다고 한다. 서울로 편입되기 전 상월곡동에 살던 주민들은 주로 농사를 지으며 살았으나 서울로 편입된 후, 인구의 팽창으로 농지로 사용되던 곳이 점점 주택가로 변했다. 서울의 외곽이었던 이 곳에는 서울 내의 철거민들이 몰려들어 살았는데, 1960년대 이후에는 재개발되어 주택단지들이 본격적으로 들어서게 되었다.
월곡동
  • 건강한 약국 이미선 약사 2: 건강한 약국과 미아리 텍사스 성매매 집결지 이야기
  • 건강한 약국 이미선 약사 1: 이미선 약사의 성북구에 대한 기억, 그리고 현재
  • 오동근린공원이 보이는 월곡동 전경
  • 종암동과 월곡동의 도시 전경
  • 월곡동 야경
  • 내부순환로와 종암동, 월곡동 일대
  • 종암동, 월곡동 일대 야경(1)
  • 종암동, 월곡동 일대 야경(2)
  • 종암동, 월곡동 일대
  • 스타클래스 옥상에서 본 월곡동 일대(4)
  • 스타클래스 옥상에서 본 월곡동 일대(3)
  • 스타클래스 옥상에서 본 월곡동 일대(2)
  • 스타클래스 옥상에서 본 월곡동 일대(1)
  • 월곡2동 주택재개발지역 철거 전 주택들
  • 북부간선도로와 월곡동 일대
  • 월곡1동 재개발지역
  • 월곡1동주민센터 주변 모습
  • 월곡1동 일대
  • 밤골근린공원 준공식
  • 월곡4동사무소(2)
  • 월곡4동사무소
  • 월곡동 일대 야경
  • 현 KIST 후문, 옛 춘천가는 기찻길(1968)
  • 건강한 약국 이미선 약사 2: 건강한 약국과 미아리 텍사스 성매매 집결지 이야기
  • 건강한 약국 이미선 약사 1: 이미선 약사의 성북구에 대한 기억, 그리고 현재
  • 화랑로7길 일대 벽화(7)
  • 화랑로7길 일대 벽화(6)
  • 화랑로7길 일대 벽화(5)
  • 화랑로7길 일대 벽화(4)
  • 화랑로7길 일대 벽화(3)
  • 화랑로7길 일대 벽화(1)
  • 방천시장입구 사거리
  • 월곡2동 재개발(래미안루나밸리아파트)
  • 월곡2동 재개발 후
  • 월곡동 산동네 변화
  • 월곡1동 일대(1992)
  • 월곡4동사무소(1)
  • 월곡3동사무소
  • 건강한 약국 내부(3)
  • 건강한 약국 내부(2)
  • 건강한 약국 내부(1)
  • 건강한 약국 외부(5)
  • 건강한 약국 외부(4)
  • 건강한 약국 외부(3)
  • 건강한 약국 외부(2)
  • 건강한 약국 외부(1)
  • 석관, 월곡, 장위동 일대
  • 월곡동전경
  • 월곡4동 전경(현 두산아파트)
  • 옛 월곡동 공장 전경(2)
  • 옛 월곡동 공장 전경(1)
  • 월곡4동 두산위브아파트와 트리즘빌딩
  • 월곡.미아 균형발전촉진지구1
  • 건강한 약국 내부(4)
  • 건강한 약국 내부(5)
  • 건강한 약국 내부(6)
  • 월곡2동 새마을회관
  • 월곡4동 알뜰김장시장(2)
  • 월곡4동 알뜰김장시장(1)
  • 상월곡동 청사 기공식(2)
  • 동일하이빌에서 본 월곡동 일대
  • 건강한 약국 내부(15)
  • 건강한 약국 내부(14)
  • 건강한 약국 내부(13)
  • 건강한 약국 내부(12)
  • 건강한 약국 내부(11)
  • 건강한 약국 내부(10)
  • 건강한 약국 내부(9)
  • 건강한 약국 내부(8)
  • 건강한 약국 내부(7)
  • 월곡1동 동신아파트 주변

기본정보

  • 영문명칭:
  • 한문명칭: 月谷洞
  • 이명칭: 다릿골, 율곡, 모래마을, 밤골, 배나무골
  • 오브젝트 생산자:
  • 비고:
  • 유형: 장소 인문지리

시기

주소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월곡동

근거자료 원문

  • 천장산의 형세가 마치 반달과 같다고 하여 유래된 월곡동 월곡동은 지금의 하월곡동에 있는 천장산의 형세가 마치 반달과 같다고 하여 그 산 근방에 있는 마을을 다릿골이라고 부르는데서 유래했다. 그리고 다릿굴 중 위쪽에 있는 곳을 ‘웃다릿굴’, 아래쪽에 있는 곳을 ‘아랫다릿굴’이라 했는데, 이것이 지금의 상월곡동과 하월곡동이 된 것이다. 또 다른 이야기도 전해진다. 조선시대 이 지역에는 주막이 밀집해 있었다. 지방에서 올라온 소장수들이 달밤에 이 곳에 도착하여 숙박을 하고 아직 달이 채 지지 않은 새벽 무렵에 일어나 소의 가격을 흥정했기에 월곡이라 불렸다는 이야기도 있다. 어떤 이야기가 사실이던 간에 이 지명 이야기들은 이 지역 사람들의 생활상을 보여주고 있다. 월곡동은 서울로 편입된 역사가 짧은 경기도권의 지역이었다. 동대문 밖을 나와 성북역을 거쳐 원산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 있어 사람들이 많이 드나드는 교통의 요지였다. 이런 월곡동에 주막이 많이 생겨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게다가 이 근방은 소나무 숲이 수려하여 사람들의 발길이 더 잦았다. 하지만 지금은 소나무 숲도, 주막의 흔적도 찾아보기 힘들다. 경원선 철 도의 부설로 인해 이곳 주막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사라졌기 때문이 다. 서울로 편입되기 전 상월곡동에 살던 주민들은 주로 농사를 지 으며 살았다. 그런데 서울로 편입된 후에는, 인구의 팽창으로 인해 농지로 사용되던 곳이 점점 주택가로 변했다. 서울의 외곽이었던 이 곳에는 서울 내의 철거민들이 몰려들어 살았는데, 1960년대 이후에 는 재개발되어 주택단지들이 본격적으로 들어서게 되었다. 율곡, 모래마을, 밤골, 배나무골 모두 과거 월곡동에 있던 마을 이 름들이다. 마을 이름들만 보더라도 이 지역의 과거 모습이 떠오를 것이다. 특히 현재 하월곡동에 있는 모래마을은 정릉천에서 내려오 는 모래가 이곳에 쌓여 모래마을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이곳은 또한 물이 맑아 콩나물이 유명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 뒤로 염색공장, 피 혁공장, 작은 상가들이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과거의 모습들이 사라졌다. 그러나 월곡동은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들의 보금자리가 되어 주고 있다.
  • 월곡동은 지금의 하월곡동에 있는 천장산의 형세가 마치 반달과 같다고 하여 그산 근방에 있는 마을을 다릿골이라고 부르는데서 유래했다. 다릿굴 중 위쪽에 있는 곳을 '웃다릿굴', 그리고 아래쪽에 있는 곳을 '아랫다릿굴'이라 했는데, 이것이 지금의 상월곡동과 하월곡동이 된 것이라고 한다. 월곡동은 서울로 편입된 역사가 짧은 경기도권의 지역이었다. 동대문 밖을 나와 광운대역(옛 성북역)을 거쳐 원산으로 가능 길목에 위치해 있어 사람들이 많이 드나드는 교통의 요지였다. 서울로 편입되기 전 상월곡동에 살던 주민들의 주업은 농업이었다. 율곡(밤골), 모래마을, 배나물골은 모두 월곡동지역에 있던 마을 이름으로 당시 이 지역이 농촌지역이었음을 보여준다. 현재 하월곡동에 해당하는 모래마을 지역은 정릉천에서 내려오는 모래가 이곳에 쌓여 생긴 이름이라고 한다. 하지만 서울로 편입된 후 급격하게 인구가 증가하였으며 염색공장, 피역공장이 들어서고 작은 상가들이 생겨나며 옛 모습은 사라졌다. 1960년대 이후 추진된 재개발로 본격적으로 주택단지가 들어서며 월곡동 지역은 주거지로 자리잡게 되었다.
    성북문화원, 2016, 성북문화 제4호, 307-308쪽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20-02-03

이 자료의 하위 자료 보기

관련 마을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