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석 별장
?
서울특별시민속문화재
장소 유적
유물 건축물
성북구 성북로 131에 위치한 근대 건축물이다. 조선 말기의 상인 이종석이 1900년경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며 이종석이 여름 별장으로 사용하였다고 전해진다. 사랑채 비슷한 별채와 안채, 행랑채로 이루어져 있다. 안채는 동북쪽에 있으며 행랑채는 북쪽에 있다. 누마루에는 ‘일관정’이라는 현판이 붙어있다. 살림집이라기보다 별장 건축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이 별장은 당시 규모가 큰 상인들의 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어 우리나라 건축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1960년 기업가 이재준이 매입하였고, 1977년 3월 17일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되었다.
성북동
  • 성북동 이종석 별장 전경(1)
  • 이종석 별장 내부(3)
  • 이종석 별장 입구
  • 이종석 별장 내부(2)
  • 이종석 별장 내부(1)
  • 이종석 별장 외관
  • 성북동 이종석 별장(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10호)
  • 성북동 이종석 별장(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10호) 대문
  • 성북동 이종석 별장(4)
  • 성북동 이종석 별장(3)
  • 성북동 이종석 별장(2)
  • 성북동 이종석 별장(1)
  • 성북동 문학산책_이종석 별장

기본정보

  • 영문명칭:
  • 한문명칭: 李鍾奭 別莊
  • 이명칭: 성북동 이재준 가옥(城北洞 李在濬 家屋), 영성수련원
  • 오브젝트 생산자:
  • 비고:
  • 유형: 장소 유적
  •   유물 건축물

시기

  • 시대: 조선시대
  • 시기: ?
  • 비고: 1900년경 건축 추정

주소

  • 주소: 02879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243-4 (성북로 131)
  • 비고: 덕수교회 내 위치

문화재 지정

근거자료 원문

  • 이재준 가옥은 보인학교 창립자 이종석 별장, 또는 마포부자 이종상 별장이라는 두 가지 설이 있어요. 교회 뒤에 이재준 가옥이 있는데, 이재준 씨는 예전 대림산업의 회장입니다. 그 분 때 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 사실 처음 지은 사람이 이재준이라는 분은 아닙니다. 구청에서 조사한 것과 덕수교회에서 조사한 것이 조금 다른데, 구청에서는 마포에서 새우젓 장사를 하던 이종상 씨 별장이라는 얘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조사하기로는 보인학교를 설립한 이종석 씨 별장이라는 설이 신빙성이 있는 것 같아요. 이종석 씨는 구한말의 부자로서 보인학교라는 학교의 창립자이자 이사장이었습니다. 이종석 별장은 그분의 여름별장이었고요. 다만 이종석 씨가 이 집을 인수했는지 아니면 직접 지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한편, 구청에서 얘기하는 마포 부자 이종상 씨는 사공이었다고 합니다. 구전에 따르면 1900년대 초반 이분이 배를 여럿 가져서 한강에서 알려진 부자가 되었다고 해요. 남한강과 서해를 돌아다니며 미곡과 새우젓을 팔았는데 마포 쪽에 자기 저택을 짓고, 여름 별장을 성북동에 지었다고 합니다. 별장 건물을 보면 건축양식도 그 당시에 평민이 짓는 양식입니다. 이 집이 한 번 화재가 났었다고 해요. 그 때 서까래와 대들보 모두 불에 타고, 거의 뼈대만 남았다고 합니다. 아쉽게도 상량할 때 기록은 남아 있지 않습니다. 당시 영국 드레이커 씨가 이 집에 초대받아서 찍은 사진이 있는데, 옛날 사진 찍을 때 그대로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후 이 건물은 이사를 가면서 대대적으로 원형 복구를 했어요. 현재 교회에서 영성수련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손인웅)
    (재)희망제작소 뿌리센터, 2013, 성북동이 품은 이야기 - 역사, 문화 그리고 사람들, 209-210쪽
  • ­ 위치와 규모 ㆍ현 덕수교회 내 이종석 별장(1977년 서울시 민속문화재 제 10호 지정) ㆍ1900~1910년 사이에 지은 것으로 추정 ㆍ왕공(王公)이 사는 집 같이 호거장려(豪擧壯麗)한 저택 ㆍ“아들 딸 없는 분으로 너무 많은 재산을 처리할 길 없어 집에다가 이렇게 대금(大金)을 던짐인가” (『삼천리』 필자의 평)
    성북구청 문화체육과, 성북문화원, 2016, 성북동 역사문화자원 조사·연구, 120쪽
  • ­ 이종석 ㆍ서울 장교동 부자로 알려진 부호 ㆍ1932년 9월 1일, 보인학원(현 보인중고등학교) 교주로 취임(사재기부) ㆍ1935년 조선총독부 시정 25주년 기념표창
    성북구청 문화체육과, 성북문화원, 2016, 성북동 역사문화자원 조사·연구, 119쪽
  • [ 44 ] 성북동 이종석 별장 1. 이종석 ○ 1875년 서울 장교동에서 태어난 이종석은 가문이 대대로 부유하였는데 형이 익사하면서 엄비가 하사한 땅을 그대로 받아 장안의 갑부가 되었으며, 성북동 가옥은 이종석의 여름 별장이었음. 재단법인 보인학원(現 보인중고, 송파구 오금동)의 설립자.
    성북구청 문화체육과, 성북문화원, 2016, 성북동 역사문화자원 조사·연구, 248쪽
  • [ 44 ] 성북동 이종석 별장 2. 이종석 별장의 연혁 ○ 1900년 경 : 이종석 별장 건립 ※ 항간에 젓갈장사로 거부가 된 이종상의 별장이라는 말은 잘못된 것임 ○ 1960년 : 이재준(1917~1995) 대림산업 회장이 매입 ○ 1977년 03월 17일 : <성북동 이재준가> 라는 명칭으로 서울시 민속문화재 제10호로 지정 ○ 1985년 11월 21일 : 덕수교회에서 매입, 목사 사택으로 사용 ○ 1989년 12월 13일 : 대한예수교장로회 덕수교회로 이전 ○ 2004년 10월 26일 : ‘영성수련원’으로 개원 교육 및 전시용도로 사용 ○ 2009년 02월 : 성북동 이종석 별장”으로 명칭 변경 3. 특이사항 ○ 일제강점기 이곳에서 이태준, 정지용, 이효석, 이은상의 회합이 있었다고 전함 ※『덕수교회 60년사』2008년, 246쪽. 『성북동 이종석 별장』실측조사보고서, 2009년 10월, 29~34쪽.
    성북구청 문화체육과, 성북문화원, 2016, 성북동 역사문화자원 조사·연구, 248쪽
  • ▫ 서울시 민속자료 제 10 호 성북동 이재준가 城北洞李載濬家 시대 : 근대(1900년경) 소유자 : 이재준 소재지 : 서울 성북구 성북동 243-4 지정연월일 : 1977. 3. 17. 성북동 서쪽 골짜기, 장방형의 집터에 지어진 이 집은 서북쪽은 낮은 동산이고 집터 앞은 이 집으로 드나드는 좁은 길이다. 우물이 있는 바깥마당의 동북쪽에는 안채가 있고, 북쪽에는 행랑채가 자리를 잡고 있다. 1900년대에 지어진 이 집은 건평이 29.8평에 이른다. 이 집은 사랑채 비슷한 별채의 안채와 이에 부속된 행랑채로 이루어져 있는데 동북쪽에는 안채와 북쪽에는 행랑채가 있다. 안채는 정면 6칸, 측면 3칸인 ‘ㄹ자’ 모양의 평면으로 남향집이다. 대청 옆 누마루에 ‘일관정(一觀亭)’이라고 쓴 편액을 걸고, 추녀에는 풍경을 달았으며 회색벽돌로 영롱담을 쌓아 집터 주위를 둘러막았다. 특히 안채로 드나드는 일각대문과 그 바깥마당의 우물가 등은 집터 주위의 수목과 마당의 소나무 등과 어울려 예스런 맛을 주고 있다. 이 집은 살림집이라기보다 별장 건축으로서의 면모를 갖춘 집이라 할 수 있다. * 참고자료 : 문화재관리국, ≪문화유적총람≫, 1997 /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서울육백년사≫ 문화사적편, 1987 / 성북구, ≪성북구지≫, 1993.
    성북문화원, 1997, 성북의 문화재, 145쪽
  • ○ 선조의 숨결이 배어있는 문화유적 문화유적 04 성북동 이종석 별장 20세기 초 지어진 별장 건축의 백미 - 성북동 서쪽 골짜기, 장방형의 집터에 지어진 이종석 별장은 서북쪽에는 낮은 동산이 있고, 집 터 앞은 이 집으로 드나드는 좁은 길이 나 있다. 1900년대에 지어진 것으로 알려진 이종석 가는 건평이 29.8평으로 다소 작은 편에 속한다. 사랑채와 비슷한 안채와 이에 부속된 행랑채로 이루어져 있는데, 동북쪽에는 안채가, 북쪽에는 행랑채가 각각 위치해 있다. 안채는 정면 6칸, 측면 3칸의 규모로 남향집이다. 대청 옆 마루에 ‘일관정’이라고 쓴 편액이 걸려 있고, 추녀에는 풍경을 달았으며 회색 벽돌로 영롱담을 쌓아 집 터 주위를 둘러 막았다. 특히 안채로 드나드는 일각대문과 바깥마당의 우물가는 집 터 주위의 수목, 마당의 소나무 등과 어울려 예스러운 멋을 풍긴다. 가옥 뒤편으로는 소나무와 전나무로 숲을 이루는 낮은 언덕이 펼쳐져 있고, 안마당에는 소박한 정원이 가꾸어져 있다. 이 집은 살림집이라기보다 별장에 더 가깝다. 뱃사공이었던 이종석은 젓갈장사로 돈을 모은 후 한강에서 오는 목재, 충청도에서 올라오는 양곡과 해산물 장사로 거상이 된 인물이다. 그는 당시 마포에서 가장 많은 상선을 가진 상인이었다고 한다. 이종석 가옥은 처음 이종석의 여름 별장으로 지어졌다. 이런 이유 때문에 조선 말기 거상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가옥으로, 우리나라 건축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후 이재준이라는 소설가가 이 집을 사서 살았으며, 1985년 11월 덕수교회에서 인수하여 현재는 목사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성북구청 문화체육과, 2014, 성북 100경, 16-17쪽
  • ○ 이종석 별장 - 소재지 : 서울 성북구 성북로 131 (성북동) - 관리자(관리단체) : 대한예수교장로회 덕수교회 - 서울시 민속문화재 제10호(지정일 1977.3.17.) - 조선 말기의 상인 이종석이 1900년경에 지은 별장으로 추정(면적 : 183평) - 우물이 있는 바깥마당의 동북쪽에는 안채가 있고, 북쪽에는 행랑채가 자리 잡고 있음 - 건평 29.8평으로 사랑채 비슷한 별채의 안채와 이에 부속된 행랑채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북쪽에는 안채가 있고, 북쪽에는 행랑채가 있음 - 안채는 정면 6칸, 측면 3칸인 ‘ㄹ’자 모양의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남향집 - 대청 옆 누마루에 일관정이라고 쓴 편액을 걸고, 추녀에는 풍경을 달았으며 회색 벽돌로 영롱담을 쌓아 집터 주위를 둘러막아 놓았음 - 살림집이라기보다 별장 건축으로서의 면모를 갖춘 집
    성북구청 문화체육과, 성북문화원, 2016, 성북동 역사문화자원 조사·연구, 84쪽
  • 1. 성북동의 문화재 ○ 서울시 민속문화재 - 서울시 민속문화재 제10호 : 성북동 이종석 별장 - 소재지 : 서울 성북구 성북로 지하 131(성북동, 덕수교회 내) - 지정일 : 1977.03.17
    성북구청 문화체육과, 성북문화원, 2016, 성북동 역사문화자원 조사·연구, 301쪽
  • 1900년대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집이다. 사랑채 비슷한 별채와 안채, 행랑채로 이루어져 있다. 안채는 동북쪽에 있으며 행랑채는 북쪽에 있다. 누마루에는 ‘일관정’이라는 현판이 붙어있다. 안채는 조선 후기의 상인인 이종석이 지은 별장이라고 전하는데 당시 규모가 큰 상인들의 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는 집이다. 특히 가옥주변의 조경은 한국의 멋이 물씬 풍기는 아름다운 경관을 가지고 있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항목명: 성북동이종석별장
  • ② 城北洞 李載濬 家 城北區 城北洞 243-4호에는 1900년경에 건립된 李載濬家가 있어 1977년 3월 17일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10호로 지정되었다. 건평은 29.8평, 대지 183평의 이 건물은 사랑채 비슷한 별채의 안채와 이에 부속된 행랑채로 이루어져 있는데 동북쪽에는 안채와 북쪽에는 행랑채가 있다. 안채는 정면 6間, 측면 3間인 ㄹ字모양의 평면으로서 남향집이다. 안채는 중앙에 2間크기의 대청을 두고 그 왼쪽에 2間크기의 안방을 두었으며 안방앞에 툇마루를 두는 기본형에 부속방을 붙이고 있다. 대청 우측에는 3間크기의 누마루를 붙이고 안방의 좌측에는 찬방과 찬방 앞에 조그만 방, 그리고 찬방과 안방 뒤에 각각 2間크기의 뒷방을 덧붙이고 있다, 찬방 왼쪽에는 부엌을 두고 뒷방 뒤쪽에는 욕실과 화장실을 덧붙이고 있으나 이것은 후에 증축한것 같다. 안채에는 담장을 따로 두르고 안채의 바깥에 다시 담장을 둘러서 ㄱ字모양의 행랑채를 두었는데 경기지방에서 많이 보는 ㄱ字모양이다. 즉 중앙에 한칸 크기의 대청을 두고 그 서쪽에 ㄱ字로 꺾어져서 두칸크기의 안방을 두었으며 안방 앞에는 반칸크기의 부엌을 두었다. 대청 동쪽에는 한칸 크기의 건넌방이 마련되고 대청과 안방의 앞에는 쪽마루가 설치되어 있다. 이의 서쪽 側壁은 바깥마당에 연결되어 있고 바깥마당에는 우물이 시설되어 있다. 대청 中央間은 長樑五樑으로 처리하고 기타는 一高柱五樑으로 하였으며 동쪽 누마루 上部와 행랑채는 세마루構造로 하였고 겹처마집이다. 이 집의 누마루에는 一觀亭이라는 현판이 붙어있고 추녀 끝에는 풍경이 달려 있어 이색적이며 정원도 자연스럽게 심은 나무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 가옥의 안채는 朝鮮朝말기에 麻浦 새우젓 장사로 부자가 된 이종석이 지은 별장이라 口傳되는 집으로 당시 豪商들의 生活相을 알아 볼 수 있는 재미있는 집이다. 특히 집주변의 조경은 韓式 멋이 물씬 풍기는 아름다운 경관이다.
    성북구청, 1993, 성북구지, 712-713쪽
  • 마지막으로 지주였던 이종석李種奭 별장이 있었다. 이 별장은 마치 왕이 사는 듯이 화려했다고 한다.
    박수진 외 4인, 2015, 성북동 : 만남의 역사, 꿈의 공간 , 87쪽
  • 북둔도화의 명성이 높아지면서 성북동 여기저기에서 도성 양반들의 별서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가볍지 않은 명예와 부를 가진 이들은 서민들이 사는 북저동과는 조금 거리를 둔 한적한 계곡이나 야트막한언덕에 정원을 조성하고 그 사이에 기와집 몇 채를 들여놓았다. 용도는 주로 더운 여름을 나기 위함이었다. 수려한 자연환경에다 도심과 가깝다는 지리적 이점은 양반 별서지로서 최적의 조건을 만족했다. 1790년경부터 하나둘 조성된 별서는 19세말까지 꾸준히 그 수가 늘었다. 유득공의 북둔초당, 민영환의 음벽정, 의친왕 이강의 성락원, 윤용선, 이근택, 이종석의 별장 등을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주인 미상의 별서로는 오로정, 성북정, 백운정사 등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조선시대 성북동의 별서 조성의 전통은 일제강점기의 양옥 별장으로, 오늘날에 와서는 재벌들의 고급 주택지 조성으로까지, 시대마다 조금씩 형태를 달리해 이어졌다.
    박수진 외 4인, 2015, 성북동 : 만남의 역사, 꿈의 공간 , 56-57쪽
  • 사람이 많이 살지는 않았지만 성북동은 예로부터 문인들의 사랑을 받는 동네였다. 특히 계곡이 깊고 물이 맑아 조선시대부터 양반들의 별장지로 사랑 받았다. 의친왕 이강의 별장인 성락원, 여흥 민씨 집안인 충정공 민영환의 음벽정 등은 지금까지도 이름을 남기고 있고, 부호 이종석의 별장, 안동 김씨 집안의 별장 등도 이곳 성북동에 있었다. 성락원과 이종석 별장은 아직도 남아 당시 양반들의 호화로운 삶을 보여주기도 한다.
    박수진 외 4인, 2015, 성북동 : 만남의 역사, 꿈의 공간 , 126-127쪽
  • 성북동 이종석 별장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10호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31 이종석 별장은 조선 말기의 부호 이종석李鍾奭이 1900년경에 지은 별장이라고 전하며, 일설에는 왕족이 지은 별장을 매입했다고도 한다. 1960년 12월 대림산업 회장을 지낸 이재준이 취득하여 ‘성북동 이재준가’라는 명칭이 붙었다가 1985년 11월 덕수교회에서 인수하여 현재는 동 교회의 영성수련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성북동 서쪽 골짜기, 장방형의 집터에 지어진 이 집은 서북쪽은 낮은 동산이고 집터 앞은 좁은 길이다. 이 집은 사랑채 비슷한 별채인 안채와 이에 부속된 행랑채로 이루어져 있는데 우물이 있는 바깥마당 의 동북쪽에 안채가 있고, 북쪽에 행랑채가 있다. 안채는 정면 6칸, 측 면 3칸인 ‘ㄹ자’ 모양의 평면으로 남향집이다. 건평은 29.8평에 이른다. 대청 옆 누마루에 ‘일관정一觀亭’이라고 쓴 편액을 걸고, 추녀에는 풍경을 달았으며 회색벽돌로 영롱담을 쌓아 가옥과 마당을 둘러막았다. 특히 안채로 드나드는 일각대문과 그 바깥마당의 우물가는 집터 주위의 수목과 마당의 소나무와 어울려 예스러운 맛을 더해준다. 이 집은 살림집이라기보다 별장 건축으로서의 면모를 갖춘 집이라 할 수 있다.『덕수교회 60년사』에는 일제강점기 이곳에서 이태준, 이상, 정지용 등 문인들이 회합을 가졌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찾아가는 길 버스 : 1111번, 2112번 버스를 이용, 성북구립미술관·쌍다리 앞 정류장에서 내려 도보로 5분. 지하철 :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5, 6번 출구로 나와 도보로 25분.
    박수진 외 4인, 2015, 성북동 : 만남의 역사, 꿈의 공간 , 266-267쪽
  • 이재준 가옥은 보인학교 창립자 이종석 별장, 또는 마포부자 이종상 별장이라는 두 가지 설이 있어요. 교회 뒤에 이재준 가옥이 있는데, 이재준 씨는 예전 대림산업의 회장입니다. 그 분 때 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 사실 처음 지은 사람이 이재준이라는 분은 아닙니다. 구청에서 조사한 것과 덕수교회에서 조사한 것이 조금 다른데, 구청에서는 마포에서 새우젓 장사를 하던 이종상 씨 별장이라는 얘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조사하기로는 보인학교를 설립한 이종석 씨 별장이라는 설이 신빙성이 있는 것 같아요. 이종석 씨는 구한말의 부자로서 보인학교라는 학교의 창립자이자 이사장이었습니다. 이종석 별장은 그분의 여름별장이었고요. 다만 이종석 씨가 이 집을 인수했는지 아니면 직접 지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한편, 구청에서 얘기하는 마포 부자 이종상 씨는 사공이었다고 합니다. 구전에 따르면 1900년대 초반 이분이 배를 여럿 가져서 한강에서 알려진 부자가 되었다고 해요. 남한강과 서해를 돌아다니며 미곡과 새우젓을 팔았는데 마포 쪽에 자기 저택을 짓고, 여름 별장을 성북동에 지었다고 합니다. 별장 건물을 보면 건축양식도 그 당시에 평민이 짓는 양식입니다. 이 집이 한 번 화재가 났었다고 해요. 그 때 서까래와 대들보 모두 불에 타고, 거의 뼈대만 남았다고 합니다. 아쉽게도 상량할 때 기록은 남아 있지 않습니다. 당시 영국 드레이커 씨가 이 집에 초대받아서 찍은 사진이 있는데, 옛날 사진 찍을 때 그대로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후 이 건물은 이사를 가면서 대대적으로 원형 복구를 했어요. 현재 교회에서 영성수련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손인웅)
    (재)희망제작소 뿌리센터, 2013, 성북동이 품은 이야기 - 역사, 문화 그리고 사람들, 209-210쪽
  • 이재준가는 지방민속자료(제10호)로 지정되었으며, 1900년경에 건립된 한옥이다. 이 건물은 사랑채 비슷한 별채의 안채와 이에 부속된 행랑채로 이루어져 있고, ㄹ자형의 평면남향집이다. 이 가옥은 조선 말기에 상인들의 별장으로 당시 호상들의 생활상을 알아볼 수 있는 재미있는 집이다.
    양보경, 1998, (사연이 깃든) 성북의 유래, 45쪽
  • 이종석 별장은 조선 말기에 마포강에서 젓갈장사로 부자가 된 이종석(일명 이종상, 이종숙)이 1900년경에 지은 별장이라고 전하며, 일설에는 왕족이 지은 별장을 매입했다고도 한다. 1960년 12월 대림산업 회장을 지낸 이재준이 취득하여 성북동 이재준가(家)로도 불린다. 1985년 11월 덕수교회에서 인수하여 현재는 교회의 수련원, 목사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성북동 서쪽 골짜기, 장방형의 집터에 지어진 이 집은 서북쪽은 낮은 동산이고 집터 앞은 좁은 길이다. 이 집은 사랑채 비슷한 별채인 안채와 이에 부속된 행랑채로 이루어져 있는데, 우물이 있는 바깥마당의 동북쪽에 안채가 있고, 북쪽에 행랑채가 있다. 안채는 정면 6간, 측면 3간인 ‘ㄹ자’ 모양의 평면의 구조를 가진 남향집이다. 건평은 29.8평에 이른다. 대청 옆 누마루에 『일관정(一觀亭)』이라고 쓴 편액을 걸고, 추녀에는 풍경을 달았으며 회색벽돌로 영롱담을 쌓아 집 터 주위를 둘러막았다. 특히 안채로 드나드는 일각 대문과 그 바깥마당의 우물가는 집터 주위의 수목과 마당의 소나무와 어울려 예스러운 맛을 더해준다. 이 집은 살림집이라기보다 별장 건축으로서의 면모를 갖춘 집이라 할 수 있다.
  • 장교동에 살던 이종석은 성북동에 여름 별장을 두었다. 소나무와 전나무가 울창한 낮은 언덕을 뒤로하고 안채와 행랑채를 들였다. 행랑마당의 문을 거쳐 안마당으로 들어 갈 수 있는 분리된 구조였다. 동남향인 안채는 우측 끝으로 누마루를 한 칸 낸 형태로 지었다. 1960년 기업가 이재준이 매입하였고, 1977년 서울시 민속자료 제10호로 지정되었다. 1985년에 덕수교회에서 인수하여 지금까지 관리하고 있다.
  • 젓갈장사로 떼돈을 벌었던 이종상의 별장인 현 이재준 가옥 등은 성북동에 고풍스러움을 더해준다.
    (재)희망제작소 뿌리센터, 2013, 성북동이 품은 이야기 - 역사, 문화 그리고 사람들, 22쪽
  • ㆍ地主의 李種奭氏 別莊 서울 長橋富者 李種奭 이라면 모르는 이가 업스리라. 이 富者의 別莊은 꼭 王公이 사는 집가치 豪擧壯麗하다. 아들 딸 업는 분으로 너무 만흔 財産을 處理할 길업서 집에다가 이러케 大金을 던짐인가.
    성북구청 문화체육과, 성북문화원, 2016, 성북동 역사문화자원 조사·연구, 121쪽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19-11-14

관련 마을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