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천사
1398.07
비지정 문화재
장소 종교시설
유물 건축물
성북구 흥천사길29(돈암동595)에 있는 사찰이다. 1397년(태조 6) 신덕왕후 강씨의 능침사찰로서 중구 정동에 창건되었다. 1409년(태종 9) 정릉이 이전되고, 조선왕조의 억불정책과 몇 번의 화재 등을 겪으면서 폐사되었다. 1669년(현종 10) 함취정(含翠亭) 자리에 이건하여 중창하고 신흥사(新興寺)로 이름을 고쳤다. 1794년(정조 18) 현재 자리에 중창하였고, 1865년(고종 2) 흥선대원군의 지원을 받아 다시 흥천사라고 불리면서 왕실원당의 기능을 담당했다. 흥천사는 대한제국 순종황제의 황후인 순정효황후가 6.25전쟁 때 피난생활을 했던 곳이기도 하다. 조선의 첫 번째 왕후였던 신덕왕후의 원찰(願刹)에서 조선(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후의 피난생활까지 조선왕실의 역사와 함께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돈암동
  • 2021 신덕왕후 다례재 영상
  • [성북을 찾다] 보물 창고 흥천사
  • 20220421 흥천사 괘불재
  • 흥천사 전경
  • 흥천사 본채(1)
  • 흥천사 본채(2)
  • 흥천사 우측 옥정루
  • 흥천사 좌측 만세루
  • 흥천사 본채 좌측면
  • 흥천사 본채 후면
  • 흥천사 종각
  • 흥천사 명부전
  • 흥천사 용화전
  • 흥천사 극락보전
  • 흥천사 극락보전 후면
  • 흥천사(1)
  • 흥천사(2)
  • 흥천사(3)
  • 흥천사 설경(본채)
  • 흥천사 설경(극락보전)
  • 태풍피해를 입은 신흥사(현 흥천사) 입구 언덕길
  • 흥천사 대방 외관
  • 2021 신덕왕후 다례재 영상
  • 2021 신덕왕후 다례재(20)
  • 2021 신덕왕후 다례재(19)
  • 2021 신덕왕후 대례재(18)
  • 2021 신덕왕후 다례재(17)
  • 2021 신덕왕후 다례재(16)
  • 2021 신덕왕후 다례재(15)
  • 2021 신덕왕후 다례재(14)
  • 흥천사 내부 경관(1)
  • 흥천사 내부 경관(2)
  • [성북을 찾다] 보물 창고 흥천사
  • 수선전도
  • 지적도 : 돈암동 흥천사 일대, 1969년
  • 20220421 흥천사 괘불재
  • [영상] 월주 원덕문 스님, 단청
  • 흥천사 내부 경관(4)
  • 흥천사 내부 경관(3)
  • 흥천사 경관
  • 흥천사 명부전 외관
  • 2021 신덕왕후 다례재(13)
  • 2021 신덕왕후 다례재(12)
  • 2021 신덕왕후 다례재(1)
  • 2021 신덕왕후 다례재(2)
  • 2021 신덕왕후 다례재(3)
  • 2021 신덕왕후 다례재(11)
  • 2021 신덕왕후 다례재(10)
  • 2021 신덕왕후 다례재(9)
  • 2021 신덕왕후 다례재(8)
  • 2021 신덕왕후 다례재(7)
  • 2021 신덕왕후 다례재(6)
  • 2021 신덕왕후 다례재(5)
  • 2021 신덕왕후 다례재(4)

기본정보

시기

주소

  • 주소: 02825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595 (흥천사길 29)

문화재 지정

근거자료 원문

  • 흥천사는 신덕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한 원찰로, 정릉과 운명을 함께 한 사찰이다. 태조 5년(1396)에 신덕왕후 강씨가 승하함에 따라 능지를 한성부 황화방(현 종로구 정도)에 정하고, 황후의 원찰을 건립하기 위하여 12월에 능지의 동편에 건립을 시작하여 1398년 7월에 170여 칸의 대찰을 준공하면서 흥천사라 이름을 지었다. 1496년에는 신덕왕후를 추모하기 위해 동종을 주조했다. 태종이 즉위한 후 정릉을 현재의 위치로 이장하면서 흥천사의 지원도 줄어들었다. 그 후 조선 왕조의 억불(抑佛) 정책이 계속되면서 왕실의 지원이 줄어들고, 결국 연산군 10년(1504) 불이 나 전각이 소실되고 명맥을 유지하던 사리각만 남았다. 중종 5년(1510) 유생들이 불을 질러 도성 안의 흥천사는 흔적 없이 사라지고 동종만이 남아있었다. 흥천사의 동종은 경복궁에서 창경궁으로, 다시 덕수궁으로 옮겨지는 수난을 겪으면서 지금은 광명문에 걸려있다. 현종 때 정릉이 위상을 찾으면서 신흥암을 신흥사로 바꾸어 정릉의 원찰 기능을 하게 되었으며 정조대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신덕왕후의 능을 정릉으로 옮길 때 능 가까이에 ‘신흥암’이라는 작은 암자가 있었다. 능과 가까이 있다고 하여, 현종 10년(1669) 능을 보수하면서 능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암자를 옮겨 신흥사로 부르면서 흥천사가 신흥사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조선조 정조부터 철종에 이르기까지 전각을 새로 짓거나 보수를 하면서 규모가 커지기 시작했다. 고종 2년(1865) 흥선대원군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절을 중창하면서 원래 이름인 흥천사로 복원되어 능침사찰이자 왕실 원당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했다. 그러나 흥천사의 왕실원당 기능은 1908년 조선왕실과 관련된 모든 제사가 사라지면서 중단됐다. 이후 2012년에 신덕왕후의 명복을 비는 다제례(茶祭禮)가 복원되어 매년 9월 23일에 봉행한다. 흥천사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순종황제의 황후인 순정효황후가 6.25 때 피난생활을 했던 곳이기도 하다. 조선의 첫 번째 국모였던 신덕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건립된 원찰에서 조선(대한제국)의 마지막 국모의 피난생활까지 500년 조선왕실의 역사와 함께 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 ▫ 비지정 흥천사 興天寺 시대 : 조선시대 소유자 : 흥천사 소재지 : 서울 성북구 돈암동 595 신흥사라고도 불리는 흥천사는 정릉(貞陵), 신덕왕후 강씨의 명복을 비는 원찰(願刹)이다. 흥천사는 태조 6년(1397) 신덕왕후 강씨의 능침사찰로 오늘날 중구 정동에 창건되었던 170여 칸의 대사찰로 조계종의 본산(本山)이었다. 태조 이성계는 태조 5년(1396)에 정릉을 조영하고 나서 신덕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흥천사를 건립하도록 했다. 이리하여 이듬해인 정월부터 정릉 동쪽에 절터를 닦고 김사행(金師幸)이 건축 책임을 맡아 그해 8월에 170여 칸이 되는 대가람을 완공했다. 태조는 흥천사 건립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몇 차례나 공사현장에 들러 일꾼들을 격려하고, 재물과 식량을 지급하는 등의 관심을 기울였다. 이어서 태조는 7년(1398)에 절 북쪽에 사리전(舍利殿)을 짓기 시작했다. 이 전각은 안에 석가여래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안치한 4~5층의 건물로 태조가 조성에 특별한 정성을 기울였다. 공사기간 중에 왕자의 난이 일어났지만 드디어 정종 원년(1399) 10월에 완성되었다. 개성에 머물고 있던 태조는 사리전 완공 소식을 듣고 바로 한성에 달려왔다. 그리하여 사리전의 낙성을 기념하는 수륙재(水陸齋)를 열어 선왕(先王)과 조상들의 명복을 빌었다. 태종 9년(1409)에 정릉을 현재 자리인 북한산 기슭으로 옮겼지만 흥천사는 계속해서 도성 안의 주요 사원으로 지위를 누렸다. 태종은 불교를 억압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사찰의 토지와 노비를 제한하고, 전국의 242개 절만 남겼으며 사찰 재산을 몰수했다. 그러나 흥천사를 잘 보호하라는 태조의 유언을 좇아 흥천사는 그대로 법등을 밝혀나갔다. 그 후 세종도 이 절의 사리전을 중수하게 하고 관아건물처럼 정기적으로 중수하도록 했다. 세종 31년(1449)에 가뭄이 계속되자 이 절에서 기우제를 지냈는데 며칠 후에 비가 내리자 세종은 승려 140명에게 상을 내렸으니 이 절의 규모가 얼마나 큰지를 짐작하게 한다. 그러나 조선왕조의 유학 장려로 왕실의 지원이 줄어들면서 흥천사는 쇠락하기 시작했다. 연산군 10년(1504)에 화재로 전각이 거의 타버리고 사리전만이 화재를 피했지만 복구는 되지 않았다. 폐허로 방치되었던 흥천사는 중종 5년(1510) 3월에 중학(中學)의 유생들이 이단(異端)을 쓸어버린다고 부르짖으며 밤을 이용하여 불을 질렀으므로 보물, 불경과 통도사에 전해오는 우리나라 유일의 석가여래의 사리를 안치한 사리전마저 불에 타버려 완전히 폐사(廢寺)되었다. 세조 7년(1461)에 제작한 흥천사 대종(大鐘)은 동대문을 거쳐 종루(鐘樓)에 걸려 시각을 알려 주었다가 일제 때 덕수궁에 옮겨져 현재까지 걸려있다. 흥천사가 역사에 다시 등장하게 된 것은 선조 9년(1576)에 정릉이 복원되면서부터였다. 태종 9년에 정릉을 북한산 아래로 옮겼을 때 능 가까이에 신흥암이라는 작은 암자가 있었다. 그러나 신흥암은 정릉과 너무 가깝다 하여 현종 10년(1669)에 석문(石門) 밖 합취정(合翠亭) 터로 이건하고 신흥사(新興寺)라고 개칭했다. 그 후 정조 18년(1794)에 승려 성민(聖敏)・경신(敬信) 등의 뜻에 따라 현재의 위치에 자리를 잡았고, 고종 2년(1865)에는 흥선대원군의 지원으로 각 도에서 시주를 받아 절을 중창했다. 이 때 흥선대원군은 흥천사라는 이름으로 복원하도록 하고, ‘흥천사(興天寺)’라는 휘호를 내렸으므로 지금도 만세루에 그 현판이 걸려 있다. 이 절은 왕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였던 영친왕이 다섯 살 때 쓴 글이 이 절에 남아 있고, 조선왕조 최후의 왕비 윤비가 6・25 전쟁 때 피난 갔다가 돌아와 이곳에서 매우 어렵게 살았다. 하루 양식 한 홉으로 두 끼밖에 먹지 못했는데, 그 한 홉에서 매일 한 줌씩을 아꼈다가 향과 초를 사들고 흥천사에 올랐다. 흥천사 내에는 이 절의 중심건물인 아미타여래를 모신 극락보전이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66호로 지정되어 있고, 그 오른편에 지장보살을 모신 명부전은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67호로 지정되어 있다. * 참고자료 : 문화재관리국, ≪문화유적총람≫, 1997 / 성북구, ≪성북구지≫, 1993 / 한국문원, ≪문화유산 왕릉≫, 1995 / 사찰문화연구원, ≪전통사찰총서 –서울-≫ 4, 1994.
    성북문화원, 1997, 성북의 문화재, 178-180쪽
    본문에는 "현종 10년(1669)에 석문(石門) 밖 합취정(合翠亭) 터로 이건하고 신흥사(新興寺)라고 개칭했다."고 설명되어 있으나 흥천사 홈페이지 연혁에는 "1569년(선조 2년)에 왕명으로 함취정유지(含翠亭遺址)에 이건(移建) 중창 신흥사(新興寺)라 이름을 고쳤다."라고 소개되어 있다.
  • 정릉에서 교수단지 골목과 언덕을 올라 쌈지공원 꽃길을 지나면 미니마트라는 작은 수퍼가 있다. 수퍼 옆 굴다리를 통과하면 흥천사를 만날 수 있다. 흥천사는 신덕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한 원찰로, 정릉과 운명을 함께 한 사찰이다. 태조 이성계 즉위 5년(1396)에 신덕왕후가 사망함에 따라 능지를 한성부 황화방(현 종로구 정동)에 정하고, 왕후의 원찰을 건립하기 위하여 12월에 능지의 동편에 건립을 시작하여 1398년 7월에 170여 칸의 대찰을 준공하면서 흥천사라 이름을 지었다. 1496년에는 신덕왕후를 추모하기 위해 동종을 주조했다. 태종이 즉위한 후 정릉을 현재의 위치로 이장하면서 흥천사의 지원도 줄어들었다. 그 후 조선 왕조의 억불이 계속되면서 왕실의 지원이 줄어들고, 결국 연산군(1504) 때 불이 나 전각이 소실되고 명맥을 유지하던 사리각만 남아 있었다. 중종 때(1510) 유생들이 불을 질러 도성 안의 흥천사는 흔적 없이 사라지고 동종만이 남았다. 흥천사의 동종은 경복궁에서 창경궁으로, 다시 덕수궁으로 옮겨지는 수난을 겪으면서 지금은 덕수궁 광명문에 걸려 있다. 신덕왕후의 능을 정릉으로 옮길 때 능 가까이에 ‘신흥암’이라는 작은 암자가 있었다. 현종 10년(1669) 능을 보수하면서 능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암자를 옮겨 신흥사로 부르면서 정릉의 원찰 역할을 하게 했다. 신흥사는 정조 때 현재의 위치로 옮겨서 철종에 이르기까지 전각을 새로 짓거나 보수를 하면서 규모가 커지기 시작했다. 고종 2년(1865) 흥선대원군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절을 중창하면서 원래 이름인 흥천사로 복원되어 능침사찰이자 왕실원당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했다. 흥천사 대방에는 흥선대원군의 친필 현판이 있는데, 흥선대원군 친필현판뿐만이 아니라 고종황제의 친필로 알려진 명부전 현판, 영친왕이 5살 때 쓴 것으로 알려진 아미타전 내부 현판이 있다. 또한 종각의 현판은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이었으며 3.1운동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이었던 위창 오세창의 친필 현판이다.
    정릉 마을 한 바퀴 주민실행위원회, 2017, 정릉 마을 한 바퀴, 50-51쪽
  • 흥천사는 조선 초 태조 6년에 이성계의 둘째 계비인 신덕왕후 강씨를 모신 정릉의 원찰(願刹 : 망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건립한 사찰)로서 현재 중구 정동에 창건하였던 절이다. 창건 당시 42수 관세음보살상을 봉안하고 국가와 국민의 안녕을 기원하였으며, 조계종의 본사로 삼았던 170여간의 큰 절이었다. 하지만 이후 몇 번의 화재를 거친 뒤, 중종 5년 (1510)에는 완전히 폐사가 되었고, 이런 과정 속에서 신흥사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폐사로 남을 뻔한 신흥사는, 정조 18년(1794)에는 승려 성민(聖敏), 경신(敬信) 등이 새롭게 중창하면서 지금의 자리로 옮겨지게 되었다. 고종 2년(1865)에는 흥선대원군의 지원으로 절을 중창한 뒤 그 때까지 흥천사라는 이름을 되찾았다. 그러나 여전히 신흥사로 부르는 주민들도 많다. 나무그늘이 늘어져 있는 계단을 올라가서 처음 나타나는 건물은 대방이다. 대방은 조선 후기에 나타나는 양식으로 공양, 수행, 법회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복합건물이다. 흥천사 대방은 흥선대원군에 의해 중수되었으며, 대원군이 직접 쓴 편액이 걸려있다. 대방을 지나 뒤쪽으로 가면 화려한 전각 하나가 보이는데 이 전각이 바로 철종 4년에 중수되어 19세기 목조건축의 양식을 보여 주고 있는 흥천사 극락보전이다. 옆쪽에는 극락보전처럼 위용이 있지는 않지만, 아담한 느낌의 전각 하나가 눈에 들어오는데 바로 철종 6년 건립된 '명부전'이다. 명부전이란 지옥에서 고통 받는 중생을 구제해 주는 지장보살을 명부, 즉 저승의 주존으로 모신 것이다. 이 곳에는 시왕을 거느린 지장보살상이 배치되고 그 뒷면 벽에 지장보살 후불탱화를 중심으로 좌우에 시왕도(十王圖)가 봉안되어 있다. 옛 목조 건물의 전통을 이어 받으면서도 단순 소박하게 꾸미고 있는 흥천사의 명부전은 조선 말기인 19세기 말 내지 20세기 초의 불사건축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 애국계몽운동과 항일의병의 중심이 된 삼선평과 흥천사 -돈암동에 위치한 사찰 흥천사 역시 당시 애국계몽운동의 대표적인 집회 장소였습니다. 청년들을 중심으로 한 계몽운동과 주민자치활동이 활발하게 열렸습니다.
    성북구청 문화체육과, 2017, 성북, 다시 역사를 쓰다, 35쪽
  • 1920년대 후반부터 아리랑고개와 신흥사(흥천사)는 사람들이 많이 찾아 주변으로 고급 음식점이 문을 열었다. (중략) 1970~80년대까지도‘신흥사 회갑잔치’는 명성이 자자했다.
  • 흥천사 興天寺(신흥사 神興寺) 조선시대 사찰인 흥천사는 태조가 신덕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1397년 정릉(현재의 정동 일대) 동쪽에 세운 절이다. 170여 칸의 대가람으로 조계종의 본산이 된 흥천사에서는 왕실의 제사나 왕가의 치병을 위한 기도를 드리고 가뭄이 들면 기우제를 지냈다. 그러나 도성 안에 능을 두는 것이 적당치 않다고 하여 1409년 2월 흥천사만 남기고 묘를 동소문 밖 사을한沙乙閑의 산기슭으로 이장하였다. 이후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삼고 불교를 억압하면서 왕실의 지원이 줄어들었다. 16세기 화재로 전각이 완전히 불탔고, 1569년에는 정릉 부근의 함취정含翠亭옛터로 흥천사를 옮겨 짓고 신흥사라 이름을 고쳤다. 1794년에는 승려 성민과 경신이 새롭게 중창하면서 지금의 자리(돈암동 595)로 옮겼다. 근대에 들어와 새롭게 전각이 들어서면서 가람이 크게 확장되었다. 사찰 내에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영친왕이 5세 때 쓴 글씨가 남아 있다. 조선의 마지막 왕비인 순정효황후가 한국전쟁 때 피난생활을 하기도 했다. 1985년 극락보전은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66호, 명부전은 제67호로 지정되었다.
  • ○ 삶을 일깨우는 인생 교과서 사찰 사찰 41 비운의 역사를 간직한 신덕왕후의 원찰 신흥사라고도 불리는 흥천사는 신덕왕후 강씨의 명복을 비는 원찰이었다. 태조가 즉위한지 얼마 안 됐을 때 신덕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명복을 빌기 위해 창건하기 시작해 170여 칸이나 되는 대가람이 완성되었다. 창건과 함께 조계종의 본산이 되었고, 승당을 설치하여 참선 도량으로 발전하였다. 세종은 왕명으로 절을 중창하고, 이후 다시 사리전을 중수하면서 절을 관아 건물처럼 정기적으로 보수하도록 법제화했다. 흥천사는 창건 이후 불교를 억압하는 시대적 조류에서도 왕실의 지원과 장려를 받으며 꾸준히 법통을 이어왔다. 흥천사는 대한제국과도 인연이 깊은 사찰이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영친왕이 다섯 살 때 쓴 글이 이 절에 남아 있다. 또 조선 왕조의 마지막 왕비인 순정효황후가 한국전쟁 때 피난갔다가 돌아와 어렵게 살았던 곳이다. 순정효황후는 불심이 남달랐던 국모로 잘 알려져 있다. 하루 식사를 한 홉으로 두 끼밖에 먹지못했던 순정효황후는 궁핍한 생활 속에서도 쌀과 향, 초 등을 하루도 빼먹지 않고 불전에 올렸다고 한다. 이처럼 흥천사는 조선왕조 초기의 성장과 말기의 비운의 역사를 모두 간직하고 있다. 이절의 중심 건물인 아미타여래를 모신 극락보전이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66호로 지정되어 있다. 오른편에 지장보살을 모신 명부전은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67호로 지정되어 있을 정도로 흥천사는 역사적 유물의 보고로 알려져 있다. 흥천사가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 데에는 흥선대원군의 관심이 크게 작용했다. 흥선대원군은 절을 중창한 뒤 이름을 흥천사로 고쳐 부르게 했다. 근대에 들어와 새롭게 전각이 들어서면서 가람은 더욱 크게 확장되었다. 독성각이 불타자 재건하였고, 종각을 새로 만들기도 했다. 이후 칠성각과 용화전, 연화대를 연이어 증축·신축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일주문, 종루, 대방(만세루), 연화대, 명부전, 용화전, 북극전, 독성각과 노전 등이있다.
    성북구청 문화체육과, 2014, 성북 100경, 76-77쪽
  • 이성계의 정성이 담긴 사찰 흥천사는 정릉에 묻힌 신덕왕후 강씨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어진 절이다. 이런 절을 원찰願刹이라고 한다. 성리학의 나라 조선이었지만 신덕왕후에 대한 이성계의 사랑이 깊었던 만큼 흥천사는 정릉의 바로 옆, 도성의 중심에 전체 170여 칸이라는 큰 규모로 만들어진다. 더욱이 김사행金師幸이라는 환관이 태조의 마음을 사기 위해 화려하게 꾸몄다고 하니, 처음의 흥천사는 조선을 대표하는 크고 화려한 사찰이었을 것이다. 이성계는 단순히 도성 한복판에 흥천사 건설을 지시만 한 것이 아니었다. 흥천사를 건설하는 장인들에게 음식을 내려 주기도 하고, 전각의 건설을 직접 지시하기도 하였다. 심지어 어떤 날은 백관이 모두 기다리는데도 이성계는 흥천사 공사현장에 가서 건설을 직접 살펴본 일도 있었다. 공사가 늦어지면 독촉하기도 했다. 이런 지경이니 법회가 자주 열린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이성계가 흥천사에 간 기록이 많이 남아 있다. 그렇게 만든 흥천사여서였을까? 이성계는 흥천사의 종소리와 염불소리가 들려야 비로소 수저를 들었다고 한다.
    강성봉 외 4인, 2013, 동소문 밖 능말이야기, 67쪽
  • 왕실사찰로 거듭나다. 정릉이 옮겨 가면 원찰인 흥천사의 운명도 같이해야 했다. 더욱이 태종에게 흥천사는 맘에 들지 않는 사찰이었다. 그러나 태조의 정성이 담긴 사찰을 함부로 폐할 수는 없었다. 태종은 흥천사의 스님들을 불경하다고 꾸짖으면서도 사리전의 중수를 허락한 것은 흥천사에 대한 태종의 생각을 잘 보여준다. 하지만 본래 역할, 즉 정릉에 대한 원찰의 역할은 사라졌으며 흥천사는 왕실 사찰로 기능하게 된다. 그러나 흥천사의 운명은 계속해서 위기를 맞는다. 세종 대에 들어서자 흥천사를 옮겨야 한다는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도성 안에 사찰이 있는 것은 불가하다는 이유였다. 나중에는 정릉이 폐하여졌으니 흥천사 역시 폐해야 한다는 이유도 추가되었다. 비록 세종은 조종祖宗을 위한 사찰이란 명분으로 이를 모두 거부하였지만, 흥천사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후 흥천사에 대한 기록은 기우제를 지낸 기록이 대부분이다. 세종 31년(1449) 6월에는 흥천사에서 기우제를 지내고 비가 오자 왕이 승려 140여 명에게 포물布物을 나눠주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는데, 이를 보아 흥천사는 이때까지 상당한 규모를 유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성종 대에는 흥천사의 수리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많은 신하들이 흥천사의 수리가 불가함을 왕에게 간한다. 그러나 일본 사신들이 보기 원하였기 때문에 수리는 간신히 진행된다. 흥천사는 기우제를 지내고 외국 사신이 예불하는 사찰이 되었던 것이다.
    강성봉 외 4인, 2013, 동소문 밖 능말이야기, 68쪽
  • 불에 타 사라지다 연산군 10년(1504) 흥천사에 불이 났다. 이로 인해 흥천사는 상당한 피해를 입은 듯한데, 복구 기사는 보이지 않는다. 흥천사는 왕실 사찰로서의 기능도 잃은 것이다. 흥천사의 마지막은 중종 5년(1510)의 사리각 화재였다. 이때의 화재는 유생들에 의한 것이었다. 유생들은 흥천사(정릉사)의 보물들을 도둑질하기도 했고, 결국에는 흥천사를 불질렀다. 중종 7년(1512)에 성 안의 폐사지를 민간에게 주어 살도록 하자는 건의가, 중종 10년에는 흥천사 터에 압사당한 사람을 장사지내라는 전교가 있었다. 이것으로 보아 흥천사는 앞의 두 번의 화재로 모두 불에 타 사라졌던 것 같다. 결정적으로 중종 32년 기록에는 ‘한성부에서 흥천사 옛터에 대해서 아뢴 기록이 있다. 이렇게 흥천사는 중종 대에 완전히 사라졌다. 현재 흥천사의 옛 모습을 짐작케 하는 것은 세조 7년(1461)에 만들어졌다는 종이다. 화재가 났어도 흥천사종은 불에 타지 않았다. 아마도 화재 이후 오랫동안 방치되었던 것 같다. 영조 23년(1747)에 와서야 비로소 광화문으로 옮겼다는 기록이 나오기 때문이다. 이 종은 일제강점기에 덕수궁으로 옮겨졌으며, 지금도 덕수궁에 있다. 흥천사종에는 참여한 장인匠人들의 이름이 나오는데, 보신각종, 낙산사종, 봉선사종을 제작하는데도 참여했다. 흥천사종은 당대 최고의 장인들이 만든 종이었던 것이다.
    강성봉 외 4인, 2013, 동소문 밖 능말이야기, 69-70쪽
  • 새로운 흥천사 지금 정동에 있는 흥천사는 불에 타 없어진 후 재건되지 않았다. 그러나 흥천사의 명맥은 이전한 정릉 곁에서 이어지고 있었다. 기록에 따르면 현재의 흥천사는 세 번의 이전 끝에 지금의 위치에 자리 잡고, 신흥사新興寺라 이름하였다고 한다. 새로운 흥천사가 만들어진 것이다. 어떻게 된 것일까? 기록에는 정릉을 사하리로 천장하였을 때 흥천사도 같이 옮겼다 고 되어 있다. 그러나 흥천사는 이후에도 계속 원래의 위치에 있었다. 그렇다면 기록이 잘못된 것일까? 정릉이 옮겨 올 당시에 흥천사에 있던 스님의 일부도 능을 따라 왔고, 이것이 ‘절이 옮겨왔다’고 기록되었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때 자리한 곳은 함취정含翠亭이 있던 곳으로 능에서 매우 가까운 곳이었다. 절이 다시 옮긴 것은 현종 대의 일이었다. 현종은 신덕왕후를 복권하면서 정자각을 다시 짓는 등 정릉 정비 작업을 한다. 신흥사는 이때 능에서 매우 가깝다는 이유로 석문石門 밖으로 옮겨 간다. 능역은 어느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한동안 신흥사의 소식은 다시 자취를 감춘다. 하지만 소식이 없다고 절이 쇠락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1840년에 만들어진 수선전도에는 정릉과 함께 신흥사가 표기되어 있다. 쇠락한 사찰이었다면 이렇게 표기되어있지 않았을 것이다. 19세기 초기의 흥천사는 성민性敏, 치감致鑑, 경신敬信 등의 스님에 의해 수즙修楫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강성봉 외 4인, 2013, 동소문 밖 능말이야기, 70-71쪽
  • 중흥, 그리고 이름을 되찾다. 신흥사의 구체적인 재건의 기록은 헌종12년(1846)부터 나타난다. 계장사啓壯師가 칠성각을 만들었고, 헌종 15년(1849)에는 성혜사性慧師가 홀로 적조암寂照庵을 만들었다. 철종 4년(1853)에는 계장사가 대웅전을, 같은 왕 6년(1855)에는 순기사舜猉師가 명부전을 만드는 등의 중창이 행하여졌다. 흥천사가 원래의 1840년대에 만들어진 수선전도에 보이는 정릉과 신흥사 이름을 되찾고 지금의 모습을 갖춘 것은 고종 2년(1865)의 일이다. 흥선대원군은 각도에서 돈을 걷어 요사寮舍를 증축하고, 낙성을 하면서 직접 흥천사라는 편액을 써서 내려준다. 대원군은 무리를 하면서까지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왕권을 강화하려했던 사람이다. 그런 그에게 한 때 왕실 사찰이었던 흥천사의 복원은 의미가 있는 일이었다. 대원군 이후 대한제국 황실은 흥천사와 인연을 이어간다. 극락보전에는 대한제국 마지막 태자였던 영친왕이 다섯 살때 쓴 글이 남아있고, 대한제국 마지막 황후인 순정효황후 윤씨는 한국전쟁 당시 흥천사에 머물기도 했다.
    강성봉 외 4인, 2013, 동소문 밖 능말이야기, 71-72쪽
  • 왕실사찰에서 연회장으로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며 한국 불교계는 큰 변화를 맞이한다. 당시까지 한국 불교계에는 생소한, 스님도 결혼할 수 있는 대처승제도의 도입이었다. 전통적인 불교의 스님들은 출가를 하지 않았다. 이런 스님들을 비구승이라 했다. 저 유명한 원효대사도 요석공주와 정을 통한 후에 스스로를 더 이상 스님이라 하지 않고 소성거사小姓居士라 하였다. 조선시대에 가장 유명한 서산대사, 사명대사도 모두 비구승이었다. 생소한 대처승 제도가 들어오고 일제가 이를 장려하자 대처승의 수가 많아졌고, 이들이 많은 사찰을 차지하게 됐다. 하지만 이것은 뜻하지 않는 부작용을 낳았다. 스님들이 결혼을 하자 가족이 생겼고, 이들의 생계를 책임져야 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사찰 주변에 음식점이 생겼고 나아가 술과 고기를 팔기도 했다. 지금의 흥천사가 있는 지역은 예부터 경치가 좋은 곳으로 유명했다. 거기에 도심과도 가까웠으며, 돈암동까지 전차도 다니게 되었다. 그 결과 일제강점기 이후 흥천사는 생일 및 환갑잔치의 장소로 널리 알려진다. 유명한 시인 이상李箱도 이곳에서 결혼을 했다. 거기에 최근까지 대처승 제도를 인정하는 소속 스님들이 있었던 것으로 보면, 흥천사는 조선 초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한국 불교의 흐름을 그대로 따라온 것으로 보인다.
    강성봉 외 4인, 2013, 동소문 밖 능말이야기, 72-74쪽
  • 성 안 사대부의 유람처 또는 별서지로서의 정릉동의 공간적 성격은 우리나라 근대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1894년 갑오개혁 이후에도 크게 변하지 않는다. 다만 변한 것이 있다면 성 밖으로 나들이 나오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나고 향유계층이 확대되었다는 것이다. 북한산 유람길에 한 숨 쉬어 가는 장소였던 흥천사는 집회나 연회의 장소로 대여되었고, 경국사는 고관대작들이 기생, 창부倡夫들을 대동하고 와서 한 판 잔치를 벌이는 장소로 쓰였다.
    강성봉 외 4인, 2013, 동소문 밖 능말이야기, 97쪽
  • 도성을 나와 반나절이면 당도하는 흥천사는 사시사철 사람들로 붐볐다. 철종·고종 연간흥선대원군을 비롯한 왕실 사람들의 후원을 받아 대대적인 중창을 실시한 흥천사는 소속 승려도 많았을 뿐 아니라 터도 널찍했다. 봄, 가을이면 도성 안 각 학교와 단체의 운동회가 열렸고, 절 앞에는 방문객들에게 술과 음식을 파는 곳이 즐비했다. 이런 흥천사는 왕족을 비롯한 도성 안 인사들에게 회합과 연회장소로 안성맞춤이었다. 큰 연회가 있을 때면 흥천사 앞마당에는 인력거꾼들이 분주히 오고갔고 방마다 기생, 창부들의 노랫소리가 흘러나왔다. 지금은 빌딩과 아파트 단지에 가려 잘 보이지 않지만 그 옛날 정릉동 넘어가는 고갯길 중턱에 웅기중기 들어섰을 흥천사의 새 전각들과 거기서 들려오는 사람들의 웃음소리와 노랫소리는 행인들의 호기심을 자극했을 것이다. 흥천사와 경국사만 붐비는 것은 아니어서 동소문과 동대문 밖의 크고 작은 사찰들은 대개 이와 같이 서울 사람들의 교외유흥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그렇지만 적어도 대한제국기 동소문 밖 사찰들에는 건강한 활기가 감돌았다. 바로 근대 운동회가 이 절들의 널찍한 마당을 빌려 봄 ·가을로 개최되었던 것이다. 그중에서도 동소문에서 가장 가까운 흥천 사가 운동회 장소로 유명했다. 황성기독교청년회皇城基督敎靑年會(YMCA)는 1905년부터 1908년까지 매년 5월에 흥천사에서 운동회를 개최했다. 이 당시의 운동회를 단순한 체육행사로만 보는 것은 잘못이다. 운동회 날이면 운동경기를 겸해 시국연설, 다과회, 애국가 부르기 등 다채로운 행사도 함께 열렸다. 1905년 5월 22일에 열린 기독청년회 운동회의 식순을 보면 운동경기 시간이 단 두 시간 밖에 되지 않는 것은 꽤 흥미로운 점이다. 대신에 대중연설이 답사를 포함해 세 번이나 있었던 사실은 당시 운동회의 계몽적 성격을 잘보여준다. 이 날 연설회는 이튿날까지도 이어졌다. 1908년 5월 4일에 열린 운동회에는 황성기독교청년회 부회장 윤치호尹致昊(1864∼1945), 교육부장 이상재李商在(1850∼1927)가 참가하여 젊은이들에게 강연했다. 그밖에 도성 안 신식학교에서도 봄 운동회 장소로 흥천사 앞 운동장을 택했다. 보성전문학교가 1906년 4월 5일, 관립일어학교와 관립영어학교가 1906년 4월 28일, 관립법어학교가 1907년 5월 3일, 성균관에서 1909년 5월 18일에 운동회를 개최하였고, 사범학교는 1909년 6월 19일 녹음회綠陰會를 흥천사에서 가졌다.
    강성봉 외 4인, 2013, 동소문 밖 능말이야기, 107-109쪽
  • 성북구의 흥천사는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 康氏)의 원찰이다. 1395년(태조 4)에 신덕왕후 강씨가 죽자 1396년 능지(陵地)를 정릉(貞陵, 현재 성북구 정릉동에 위치)에 정하여 조영하고, 그 원당(願堂)으로 능 동쪽에 170여 칸의 절을 세워 흥천사라 칭하였다. 1398년 6월에는 왕명으로 3층 사리각과 사리탑을 절의 북쪽에 세웠고, 7월에는 우란분재(盂蘭盆齋)를, 8월에는 신덕왕후의 천도회(薦度會)를 베풀었다. 1569년(선조 2년) 왕명으로 함취정유지(含翠亭遺址)로 옮겨짓고, 신흥사(新興寺)라 이름을 고쳤다. 1794년(정조 18)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지었다. 그 뒤 1846년(헌종 12)에 구봉화상(九峰和尙)이 칠성각(七星閣)을 지었고, 1849년에 성혜(性慧)가 적조암(寂照庵)을 창건하였으며, 1853년(철종 4)에 대웅전(지금의 極樂殿)을, 1855년 명부전(冥府殿)을 지었다. 또한 1865년(고종 2)에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의 지원으로 대방과 요사채를 짓고, 이름을 다시 흥천사라 하였다. 1885년에는 대방(大房)을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堂宇)로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多包系)의 팔작지붕인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명부전·용화전(龍華殿)·칠성각·독성각(獨聖閣)·만세루(萬歲樓)·승방(僧房)·대방·일주문(一柱門)·종각(鐘閣) 등이 있다.
  • 성북구 돈암동(성북구 흥천사길 29)에 위치한 흥천사(興天寺)도 대표적인 애국계몽운동을 위한 대표적인 집회 장소 중의 하나였다. 1906년 6월 9일 황성기독교청년회의 방학식 겸 운동회가 흥천사에서 개최되었다. 1907년 5월 12일 흥천사에서 양정의숙학생들이 춘기운동회를 개최하고 민사소송의 재판정 실지연습을 개최하였다. 지방재판소의 체제로 형성하여 재판장과 판사와 서기와 정리(庭吏) 각 1인, 원고와 피고를 정하고 연습을 하였다. 그리고 1907년 5월 22일 흥천사에서 황성기독교청년회의 운동회, 1908년 5월 26일 흥천사에서 계동 돈명의숙(敦明義塾)의 운동회를 개최하였다. 서울시 성북구 정릉동 753번지(성북구 보국문로 113-10)에 위치한 경국사(慶國寺)에서는 서북학회 모임이 있었다.
  • 다음으로 願刹이라 함은 王이나 王后가 승하하면 陵의 가까운 곳에 있는 寺刹을 정하여 그의 명복을 비는 願堂으로 陵域內外의 관리와 祭享時에 두부를 공급하는데 이를 造泡寺·豆泡寺라 부른다. 貞陵의 願刹인 興天寺는 太祖 5년(1396) 왕실 발원으로 漢陽 西部에 창건한 170여간의 大寺刹이었다. 당시 極樂寶殿에는 王室의 宮中願佛인 明國普陀落伽山의 42수 觀世音菩薩像을 봉안하고 國泰民安을 기원하였다. 또한 사찰의 서쪽에 神德王后의 陵을 奉安하고 가람을 증축하였으며 國齋를 거행하며 修道行者를 정진케 하였으며 왕실에서 나라의 名刹이라 하여 曹溪宗의 本寺로 命名하였다. 그러나 太宗 9년(1409) 신덕왕후의 貞陵을 옮김과 동시에 능 옆에 小庵을 만들고 新興寺라 개칭하였으며, 그후 능침과 너무 가깝다고 하여 顯宗10년(1669) 合翠亭遺址로 이건하였다가 正祖 18년(1794) 현재의 성북구 돈암2동 595 번지에 자리잡았으며 高宗 2년(1865) 에 다시 興天寺 하였다. 이때 大房에는 興宣大院君의 휘호로 된 ‘興天寺’라는 현판을 걸었다.
    성북구청, 1993, 성북구지, 97쪽
  • 돈암동의 史蹟으로는 興天寺, 또는 새절, 新興寺가 있다. 원래 이 절은 조선초에 덕수궁 부근에 세워져 있었던 것을 정조 18년(1794) 9월에 이곳에 이전해 왔다. 興天寺는 太祖紀康氏가 묻힌 貞陵의 願刹로서 170間 규모의 曹溪宗 本山으로 승려 120여명이 거처했다. 貞陵이 정릉동으로 이전된 후에는 관청 건물로 사용되었다가 中宗 5년(1510) 에 中學의 유생들이 放火해서 소실되었다. 조선말 高宗 2년(1865) 에 홍선대원군이 이 절을 重建하고 신흥사라는 이름을 고쳐 興天寺라는 휘호를 써 주었다. 그리고 태조는 신덕왕후 康氏 소생 慶順公主가 王子의 난으로 남편 李濟가 살해되자 공주를 삭발시켜 홍천사의 중이 되게 했다는 것이다. 요즈음의 신흥사는 寺刹보다 그 밑의 宴會場이 밀집해 있어 서울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성북구청, 1993, 성북구지, 780-781쪽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21-07-27

이 자료의 하위 자료 보기

관련 마을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