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마을발견 × 독립운동
menu
  • 1900s
  • 1910s
  • 1920s
  • 1930s
  • 1940s
  • 광복
  • 1950s
  • 1960s
  • 1970s
  • 1980s
성북마을발견 + 독립운동사

1905년 을사늑약

3월 혜화문 밖 삼선평에서 대한체육구락부와 황성기독청년회간의 시합 개최

1906년 3월 혜화문 밖 삼선평에서 대한체육구락부와 황성기독청년회간의 시합 개최

1907년 한일 신협약(정미7조약) 강제 체결

1907년 5월 12일 혜화문 밖 삼선평에서 열린 서북학생친목회 운동회에서 안창호 연설

1907년 대한제국 군대 해산

1907년 7월 안암동 개운사에서 정재홍 의사 추도회 거행

1907년 8월 대한제국 군대 해산으로 정릉동 출신 진위대 부위 나중소, 군직 상실 나중소 2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07년 8월 돈암동에 거주하던 전 대한제국 시위대 부위 김규식, 군대해산 후 의병 투쟁 김규식 31

5월 성북동에 삼산의숙(성북초등학교 전신) 개교

1908년 5월 성북동에 삼산의숙(성북초등학교 전신) 개교 삼산의숙 1

1908년 5월 안암동 개운사에서 대한매일신보사 사장 베델(裴說, Ernest Thomas Bethell) 추도회 거행

1910년 경술국치

1911년 신흥무관학교 설립

1911년 4월 경성부 행정구역 개편시 성북 지역인 숭신면과 인창면이 통합되어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으로 편입됨

1912년 돈암동에 거주하던 김규식, 만주로 망명하여 무장투쟁 준비 김규식 31

1912년 성북동에 거주하던 최용덕, 봉명학교 졸업 후 중국으로 건너가 베이징 숭실중학교 입학 최용덕 3

1914년 4월 경성부 행정구역 개편시 성북 지역인 숭신면과 인창면이 통합되어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으로 편입됨

1917년 정릉동에 거주하던 나중소,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정의단에서 독립군 양성 나중소 2

1918년 대한독립선언서 기초 및 39인 공동서명

1919년 2.8 독립선언

3월 23일 동선동·삼선동 일대 100-200명 규모의 만세시위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19년 3월 23일 동선동·삼선동 일대 100-200명 규모의 만세시위

1919년 3.1 운동

3월 23일 안암동·성북천의 만세시위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19년 3월 23일 안암동·성북천의 만세시위 피한봉 6

손진태 55

3월 24일 성북동 일대 60-100명  규모의 만세시위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19년 3월 24일 성북동 일대 60-100명 규모의 만세시위

3월 26일 안암동 일대 약 200명 규모의 만세시위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19년 3월 26일 안암동 일대 약 200명 규모의 만세시위

3월 26일 숭인면사무소 앞 만세시위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19년 3월 26일 숭인면사무소 앞 만세시위 정만산 0

이재성 28

3월 27일 성북천(삼선동~신설동 구간) 일대 약 500명규모의 만세시위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19년 3월 27일 성북천(삼선동~신설동 구간) 일대 약 500명규모의 만세시위

3월 27일 돈암동 부근 산(개운산 추정) 위 약 50명 규모의 만세시위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19년 3월 27일 돈암동 부근 산(개운산 추정) 위 약 50명 규모의 만세시위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19년 안암동의 이재성, 숭인면사무소 앞에서 조선독립만세시위를 했다는 이유로 5월 1일 태 90대 형을 선고받음 이재성 28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19년 안암동의 피한봉, 성북천(삼선동~신설동 구간) 부근에서 만세시위를 했다는 이유로 5월 9일 태 90대 형을 선고받음 피한봉 6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19년 하월곡동의 정만산, 숭인면사무소 앞에서 다중과 함께 조선독립만세시위를 했다는 이유로 5월 19일 태 90대 형을 받음 정만산 0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19년 안암동의 손진태, 안암동 만세 시위에 참가했다는 이유로 징역 2월 집행유예 2년 선고 받음 손진태 55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919년 의열단 창립

1920년 독립군 연합 부대,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에서 승리

1921년 조선어학회 발족

성북동 세탁노동자,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파업

1922년 성북동 세탁노동자,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파업

1922년 성북동 서광훈, 삼산학교 교사로 활동 서광훈 10

1922년 무산자동맹 간부 김한 추적시 성북동 장동옥의 집 수색

1923년 성북동 주민들, 성북구락부 조직 성북구락부 28

서광훈 10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23년 안암동의 오세덕, 김시현 사건·구여순 사건 등 의열단의 활동을 지원하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름 오세덕 2

1925년 조선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 카프(KAPF) 결성

1925년 성북구락부, 8월 총회에서 사회주의계열 청년조직인 한양청년동맹에 가입 결의 성북구락부 28

1926년 6.10 만세운동

1926년 성북동의 서광훈, 12월 고려혁명당 사건으로 체포됨 서광훈 10

1927년 신간회 설립

1927년 성북구락부, 성북소년회 조직 성북소년회 28

1927년 근우회 설립

1928년 광주 학생 항일 운동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28년 성북동의 성봉진, 경성출판노동조합에 참여하여 체포되었다가 장티푸스로 사망 성봉진 28

1931년 신간회 해소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31년 안암동의 김현국, 비밀결사 언론기관인 자유연합사를 조직하여 주간으로 활동하다가 체포 김현국 1

1931년 만주사변

1932년 이봉창, 도쿄 의거

성북동 쇄포업자(세탁노동자), 경성포목상조합과 임금문제로 인한 갈등으로 파업

1932년 성북동 쇄포업자(세탁노동자), 경성포목상조합과 임금문제로 인한 갈등으로 파업

1932년 윤봉길, 상하이 의거

1933년 경성트로이카 결성

1933년 한용운, 성북동에 심우장을 짓고 거주 시작 한용운 5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33년 박용선, 조선공산당재건공작사건으로 복역후 성북동 175-8에 유숙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34년 김복진, 신건설사사건으로 성북동에서 함께 거주하던 동생 김기진과 체포됨 김복진 1

1936년 손기정,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

1936년 2월 경성부 구역확장으로 인해 숭인면 중 성북리·돈암리·안암리·신설리·종암리·정릉리 일부 지역 등이 경성부로 편입되고 리(里)에서 정(町)으로 동리명 개칭

1936년 4월 숭인면사무소(신설리87번지)자리에 동부출장소 설치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36년 한용운, 신채호 묘비 건립 주도 한용운 5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36년 성북동에 거주하던 이길용, 손기정 사진 일장기 말소 사건으로 동아일보사에서 강제퇴사 당함 이길용 2

1936년 김교신, 정릉동 378-1번지로 이사하고 잡지 《성서조선》 속간 김교신 1

1937년 중·일전쟁

1937년 한용운, 《불교》지 속간 한용운 5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37년 한용운, 김동삼이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하자 유해를 모셔와 심우장에서 장례식 거행 한용운 5

김동삼 2

1938년 국가총동원법 시행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38년 돈암동의 신형균, 동급생들을 규합하여 항일 비밀결사 '동지회' 를 조직하였다가 체포됨 신형균 8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39년 이원록(이육사), 종암동으로 이사, 시 「청포도」 발표 이육사 4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39년 조재옥, 성북동 하숙집에서 독서회를 조직하여 신사상 연구 조재옥 9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39년 안암동의 김상준, 좌익도서 탐독 후 조선의 독립과 공산화 희망 김상준 32

1940년 한국광복군 창설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0년 이원록(이육사), 《문장》지에 「절정」 등 발표 이육사 4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0년 삼선동의 이기석, 5-8월 성북동 또는 삼선동 자택에서 경성콤그룹의 기관지 등을 받아 읽음 이기석 27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0년 돈암동의 노국환, 조성훈, 안암동의 이기을 등, 5인 독서회를 조직하였다가 8월에 체포됨 5인 독서회 29

노국환 29

이기을 28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0년 김한성, 8월 성북동 자택에서 조선의 무력봉기와 소련의 지원 등의 내용이 담긴 기관지 43부 출판 김한성 32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0년 성북동의 김한성, 9월 자택에서 이종갑 등과 사회주의 이론 연구 김한성 32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0년 성북동의 손용우, 불온낙서 사건으로 동료 학생들과 체포됨 손용우 1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0년 성북동의 이완기, 중동학교에서 조선독립 실현과 지원병 제도 반대를 주장하다 체포됨 이완기 0

조재옥 9

1941년 태평양전쟁 발발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1년 성북동의 방용모, 1월 부터 성북동 성벽 부근에서 이종갑과 회합하여 노동운동, 학생운동 등에 관해 수시 협의 방용모 30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1년 안암동 김상준·성북동 방용모, 돈암동 뒷산, 안암동 김상준 자택 등지에서 보성전문학교의 정세 파악 및 좌익도서·과학연구 토론 김상준 32

방용모 30

1941년 안재홍, 동선동에 거주 시작 안재홍 1

1941년 임규, 성북동 미륵당에서 10년간 거주하며 쓴 한시집 《북산산고》 탈고 임규 0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1년 성북동의 방용모, 김한성의 성북동 집에서 실천운동에 대해 협의 방용모 30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1년 삼선동의 박진홍, 성북동 김한성의 집에서 공산주의 운동 전개 논의. 같은 해 6월-9월 자택 혹은 흥천사 뒷산 등에서 이기석 등과 정기적으로 회견 박진홍 27

이기석 27

김한성 32

종로4가-돈암동간 전차노선 개통

1941년 종로4가-돈암동간 전차노선 개통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1년 돈암동의 김재황, 조선학생동지회 하부 조직이 일본 경찰에 발각되어 투옥됨 김재황 8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1년 성북동에서 하숙했던 조재옥, 혁명의식을 고취하는 기관지 발행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 체포됨 조재옥 9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1년 성북동의 이근창, 미국 방송을 청취하고 성북동에 거주하던 조선방송협회 회원들에게 전달 이근창 0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1년 이동화, 성북동 하숙집에서 혁명운동 참여 제안을 받았으나 경성콤그룹에 대한 탄압이 시작되면서 체포됨 이동화 7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1년 동선동의 편강청덕(창씨명), 같은 동의 친구들에게 군사에 관한 사항을 이야기하였다가 유언비어 사건으로 체포됨 편강청덕 33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1년 성북동 김한성, 공산주의 운동이 발각되자 돈암동의 이재옥, 동소문동의 이상호 자택 등지로 피신 김한성 32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2년 《성서조선》의 권두언 ‘조와’가 한국민족의 혼을 찬양했다는 이유로 불온잡지로 지목되어 폐간 당하고, 발행인 김교신(정릉동 거주) 체포됨 김교신 1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2년 동선동의 안재홍·서승효 등, 조선어학회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됨 안재홍 1

서승효 12

1942년 성북동의 한용운, 신채호 유고집 간행을 위해 원고 수집 한용운 5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2년 성북동의 노현중, 삼청동과 성북동에 모인 지인들에게 일본의 패전 선전 노현중 27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2년 성북동에 거주했던 이완기, 옥중에서 순국 이완기 0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2년 이정우, 정릉동 자택에서 경성의 식량난 등 의 내용이 담긴 편지를 보냈다가 유언비어 명목으로 체포됨 이정우 33

1943년 구(區)제 실시로 동대문구에 편입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3년 성북동의 이길용, 창씨개명에 불응해 투옥됨 이길용 2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3년 성북동의 한용운, 조선인 학병 출정 반대 운동 한용운 5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3년 정릉동의 심정섭, 신현수·송인헌· 등과 자택에서 조성회 결성 조성회 31

송인헌 31

심정섭 29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3년 최차옥, 성북동 거주 당시 프로핀테른 태평양노동조합 서기국의 선내공작사건에 관련하여 체포됨 최차옥 30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3년 성북동의 이근창, 미국에서 방송된 조선어 방송을 듣고 성북동에 거주하는 동료 노현중에게 유포하여 체포됨 이근창 0

1944년 조선건국동맹 조직

1944년 이원록(이육사), 1월 베이징 감옥에서 순국하자 성북동에 이육사 호상소 설치, 미아리공동묘지에 안장 이육사 4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4년 정릉동의 김영규, 정릉동을 중심으로 민족주의 사상과 혁명적 독립운동을 함께할 동지들을 규합 김영규 33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4년 안암동에 거주하던 최승우, 조선총독 암살을 계획하다가 체포됨 최승우 7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4년 정진숙, 성북동에 거주하면서 사이판 전시상황을 전파하다가 체포됨 정진숙 0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4년 한용운, 6월 심우장에서 입적 한용운 5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4년 돈암동의 임광세, 조선민족해방협동단에 가입하여 활동 임광세 8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4년 박노태, 성북동에 있던 자신의 기숙사에서 휘문중학교 학생들에게 조선 독립 의식 고취 박노태 1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4년 돈암동의 강영준, 조선임시보안령 위반으로 투옥됨 강영준 3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4년 돈암동의 강천룡, 조선임시보안령 위반으로 투옥됨 강천룡 2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5년 정릉동의 강윤국, 7월 '부민관 폭파 의거'에 참여 강윤국 8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5년 성북동의 박노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투옥됨 박노태 1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5년 돈암동의 신낙현, 치안유지법 및 조선임시보안령 위반으로 투옥됨 신낙현 7

성북구 내 독립운동 1945년 정릉동의 유영민, 조선임시보안령 위반으로 투옥됨 유영민 5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5년 8·15 광복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5년 동선동의 안재홍, 건국준비위원회 부위원장에 피선 안재홍 1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5년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설립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5년 동선동의 안재홍, 《신민족주의와 신민주주의》 간행 안재홍 1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5년 모스크바 3상회의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5년 독립운동가 이승만, 10월 귀국 이후 약 2년간 동소문동 돈암장에서 거주 이승만 1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6년 독립운동가 조소앙, 동소문동에서 거주 시작 조소앙 2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6년 성북동의 독립운동가 배성룡, 독립운동가 장건상과 함께 좌우합작운동 전개 장건상 0

배성룡 3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6년 독립운동가 엄항섭·연미당 부부, 성북동에서 거주 시작 엄항섭 28

연미당 29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6년 성북동의 배성룡, 이극로∙권오익 등과 함께 통일정권촉성회 결성 배성룡 3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7년 동선동의 안재홍, 미군정 민정장관에 취임 안재홍 1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8년 제주 4·3 사건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8년 성북구에 거주하던 독립운동가들, 북한에서 열린 남북협상에 참여 조소앙 2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8년 남북협상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8년 초대 국회의원 선거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8년 성북동의 배성룡, 통일독립촉진회에 참여하며 남북평화운동 전개 배성룡 3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8년 성북동의 조헌영, 초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 후 반민특위 활동 조헌영 23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8년 독립운동가 김구, 어머니 곽낙원의 유해를 정릉동에 안장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9년 독립운동가 김의한∙정정화, 동선동 거주 시작 김의한 0

정정화 0

1945년 8월 광복 이후

1949년 경기도 고양군에 속했던 숭인면이 서울시에 편입되고 동대문구 일부과 숭인면 지역을 합쳐 성북구 탄생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독립운동가 조소앙∙조병옥, 성북구에서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 조병옥 8

조소앙 2

1950년 동소문동 조소앙,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국 최다 득표로 당선 조소앙 2

1950년 6·25 전쟁

1950년 북한군 후퇴시 조소앙∙안재홍∙김의한∙이길용∙손진태∙조헌영 등 성북 지역의 주요 인사 납북 당함 조소앙 2

김의한 0

안재홍 1

이길용 2

조헌영 23

손진태 55

1951년 성북동에서 거주하던 최익환, 휴전협상을 위해 평양으로 갔다가 억류(1953년 귀환) 최익환 0

1952년 독립운동가 장건상, 정릉동에 거주 시작 장건상 0

1953년 휴전 협정

1960년 4.19 혁명

1960년 동선동의 조병옥, 대통령선거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선거를 앞두고 심장병으로 별세 조병옥 8

1960년 미아리 공동묘지의 이원록(이육사) 묘, 고향 안동으로 이장 이육사 4

1961년 독립운동가 이은숙(이회영의 아내), 아들 독립운동가 이규창과 함께 정릉동에 거주 시작 이은숙 1

이규창 5

1962년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 전역 성북구에 편입후 노해출장소 설치

1966년 하월곡동의 임종국, 『친일문학론』 발간

1966년 정릉동의 이은숙, 『서간도시종기』 탈고 이은숙 1

1966년 독립운동가 유우석(유관순의 오빠), 정릉동에서 별세 유우석 0

1973년 성북구 북부지역 도봉구로 분구

1974년 독립운동가 장건상, 정릉동에서 별세 장건상 0

1975년 성북구 남동부 지역 동대문구와 경계 조정

1975년 독립운동가 조화벽(유관순의 올케), 정릉동에서 별세 조화벽 1

1977년 12월 독립운동가 정재용, 장위동 자택에서 별세 정재용 4

1979년 독립운동가 이은숙, 정릉동에서 별세 이은숙 1

1981년 10월, 심우장에 만해기념관 개관 한용운 5

1984년 성북동 심우장, 서울시기념물 제7호로 지정 한용운 5

1990년 만해기념관, 남한산성으로 이전 한용운 5

1990년 독립운동가 이규창, 정릉동에서 별세 이규창 5

2016년 3월 만해한용운선양사업지방정부행정협의회 출범 한용운 5

2017년 8월 국가보훈처, 성북구 독립운동가 8인 포상

2019년 2월 성북구, 도로명 ‘인촌로’를 ‘고려대로’로 교체

2019년 3월 성북구, 성북천에서 3.1운동 100주년 기념 ‘만세운동 재현행사’ 및 기념식 거행

2019년 4월 성북동 심우장, 사적 제550호로 지정 한용운 5

2019년 12월 문화공간 이육사, 종암동에 개관 이육사 4

2020년 6월 보문동 주민센터 앞 성북천변에 3.1운동 기록 벽화 조성

독립운동가 보기
독립운동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