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서류
- 서울 서울 동(洞)의 역사 성북구 제1권(성북구 개관 · 성북동 · 동소문동)
- 서울역사편찬원에서 발간한 도서이다. 제1권에는 성북구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 성북동과 동소문동의 역사, 주요 시설 및 기관, 문화유산, 인물, 행사·축제 등에 대해 소개되어 있다.
-
-
문서류
- 서울 서울 동(洞)의 역사 성북구 제3권(보문동·안암동·종암동)
- 서울역사편찬원에서 발간된 도서이다. 서울 동의 역사 성북구 제3권에는 보문동, 안암동, 종암동 관련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목차>
보문동
01. 행정구역 변동
02. 인구 변동
03. 도시계획과 개발
04. 주요 시설·기관
05. 문화유산
06. 보문동의 인물
07. 역사적 사건과 주요 축제
안암동
01. 행정구역 변동
02. 인구 변동
03. 도시개발과 교통 환경
04. 주요 시설·기관
05. 문화유산
06. 안암동의 인물
07. 역사적 사건과 주요 축제·행사
종암동
01. 행정구역 변동
02. 인구 변동
03. 도시계획과 개발
04. 주요 시설·기관
05. 종암동의 인물
06. 주요 축제
-
-
문서류
-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_장위중학교 학급 책자(김미옥과 아이들)(3)
- 2007년 중학교 3학년을 마치고 담임 선생님(성함:김미옥)이 제작해 주신 그 시절 롤링페이퍼/편지/수필/사진 모음집이다.
(2021년 개최된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을 통해 수집된 기록물이다.)
-
-
문서류
-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_KT 전화번호부(2)
- 상월곡, 석관, 월곡, 장위동의 업종별 전화번호가 수록된 전화번호부이다.
(2021년 개최된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을 통해 수집된 기록물이다.)
-
-
문서류
-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_KT 전화번호부(1)
- 상월곡, 석관, 월곡, 장위동의 업종별 전화번호가 수록된 전화번호부이다.
(2021년 개최된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을 통해 수집된 기록물이다.)
-
-
문서류
-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_우편번호부(2)
- 현재 사용되는 번호가 아닌 예전 번호가 수록되어 있는 우편번호부이다.
(2021년 개최된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을 통해 수집된 기록물이다.)
-
-
문서류
-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_우편번호부(1)
- 현재 사용되는 번호가 아닌 예전 번호가 수록되어 있는 우편번호부이다.
(2021년 개최된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을 통해 수집된 기록물이다.)
-
-
문서류
-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_성북구 현행자치법규집
- 성북구 현행자치법규집이다.
(2021년 개최된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을 통해 수집된 기록물이다.)
-
-
문서류
-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_서울특별시 자치구의회 의원명부
- 서울특별시 자치구의회 의원명부이다.
(2021년 개최된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을 통해 수집된 기록물이다.)
-
-
문서류
-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_1991.11 현재 성북구 지방자치 관계 법규집(2)
- 1991년 11월에 작성된 성북구 지방자치 관계 법규집이다.
(2021년 개최된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을 통해 수집된 기록물이다.)
-
-
문서류
-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_1991.11 현재 성북구 지방자치 관계 법규집(1)
- 1991년 11월에 작성된 성북구 지방자치 관계 법규집이다.
(2021년 개최된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을 통해 수집된 기록물이다.)
-
-
문서류
-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_탱크 구청장의 발로쓰는 구정일기
- 초대 민선 성북구청장인 진영호가 쓴 에세이집이다.
(2021년 개최된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을 통해 수집된 기록물이다.)
-
-
문서류
-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_고려대학교 일반물리학 교재(3)
- 1970년 3월 1일, 고려대학교 출판부에서 발간한 학생용 일반물리학 교재이다.
(2021년 개최된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을 통해 수집된 기록물이다.)
-
-
문서류
-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_고려대학교 일반물리학 교재(2)
- 1970년 3월 1일, 고려대학교 출판부에서 발간한 학생용 일반물리학 교재이다.
(2021년 개최된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을 통해 수집된 기록물이다.)
-
-
문서류
-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_고려대학교 일반물리학 교재(1)
- 1970년 3월 1일, 고려대학교 출판부에서 발간한 학생용 일반물리학 교재이다.
(2021년 개최된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을 통해 수집된 기록물이다.)
-
-
문서류
-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_웃마을 성당 40년사(2)
- 장위동 성당에서 발간한 성당 40년사 책자이다.
(2021년 개최된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을 통해 수집된 기록물이다.)
-
-
문서류
-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_웃마을 성당 40년사(1)
- 장위동성당에서 발간한 성당 40년사 책자이다.
(2021년 개최된 제1회 성북구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을 통해 수집된 기록물이다.)
-
-
문서류
- 이중섭을 찾아서
- 2014년에 펴낸 박순녀의 소설집이다. 표제작 「이중섭을 찾아서」는 정릉에 살았던 이중섭과 동료 예술가들을 다룬, 사실과 허구가 교차한 단편소설이다.
-
-
문서류
-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
- 2010년에 펴낸 박완서의 산문집이다. 삼선동(옛 돈암동)에 있었던 동도극장에 얽힌 추억이 담긴 에세이 「노인, 최신 영화를 보러 가다」가 수록되어 있다.
-
-
문서류
- 새로운 천사
- 2005년에 발행된 이신조 소설집이다. 책의 제목이자 수록 작품 「새로운 천사」는 성북동이 주요배경으로 등장하는 단편소설이다.
-
-
문서류
- 석류
- 2004년 발행된 최일남의 소설집으로, 단편 「돈암동」이 수록되어 있다.
-
-
문서류
- 늦깎이 시인, 날개를 달다
- 성인 문해교육을 받으며 인연을 맺은 윤복녀, 이명옥, 김영숙, 유미숙의 글을 모은 수필집이다. 성북구 출신 유미숙의 「정릉 4동 꼭대기」, 「길음 시장 콜라텍」 등이 수록되어 있다.
-
-
문서류
- 분청사기 파편들에 대한 단상
- 시인 이은봉의 시조집으로, 「길음시장」이 수록되어 있다.
-
-
문서류
- 눈동자에 비친 외로운 존재의 그림자
- 동수현의 단편소설집으로, 한성대·성신여대·길음역 등 성북구 소재 지하철역에 관한 글이 수록되어 있다.
-
-
문서류
- 신상웅 전집 (4) 쓰지 않은 이야기
- 소설가 신상웅의 작품을 모은 전집 시리즈 중 하나로, 돈암동이 등장하는 「도시의 자전」이 수록되었다.
-
-
문서류
- 달아 쉬어가자
- 재미교포 시인 손영환이 쓴 시와 시조를 모았다. 「정릉마을」, 「안암동」 등의 성북구 관련 작품을 볼 수 있다.
-
-
문서류
- 밤에 용서라는 말을 들었다
- 시인 이진명의 첫 번째 시집이다. 성북동 배경의 시 「복자수도원」이 수록되었다.
-
-
문서류
- 그 말이 잎을 물들였다
- 나희덕 시인의 시집이다. 어린 시절 종암동에서 잠시 살았던 시인의 자전적 이야기를 담은 「못 위의 잠」이 수록되어 있다.
-
-
문서류
- 자귀 꽃 위에 나비가 되어
- 황인숙 시인이 2010년에 발표한 시집으로, 제3부에 「정릉천」이 수록되어 있다.
-
-
문서류
- 마흔 살의, 여덟 살
- 2015년에 발표된 박민우의 자전적 소설이다. 길음동, 하월곡동, 정릉동 등 성북구가 배경으로 등장한다.
-
-
문서류
- 고래가 되는 꿈
- 신동옥 시인의 시집으로, 「길음2재정비촉진구역」 등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
문서류
- 풀씨 하나가 피운 꽃
- 네이버 문학카페 '시산문(詩散門)' 회원들이 지명을 소재로 쓴 시를 엮었다. 「장위동 화단」을 비롯하여 성북구 배경의 시 여러 편이 수록되었다.
-
-
문서류
- 박영준 전집(9) 열풍 · 형관 · 푸른치마
- 만우 박영준의 중·장편소설을 모은 전집으로, 성북구 배경의 소설 「형관」이 수록되었다.
-
-
문서류
-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酒店)에 앉아 있을 거다
- 황지우 시인의 시집으로, 의릉을 배경으로 삼은 시 「거룩한 저녁 나무-김용택 詩伯에게」가 수록되었다.
-
-
문서류
- 마징가 계보학
- 성북구 삼선동에서 성장기를 보낸 권혁웅 시인의 두 번째 시집이다. 삼선동을 배경으로 한 시가 다수 수록되어 있다.
-
-
문서류
- 돈암동 엘레지
- 돈암동에 거주하는 김대성 시인의 첫 번째 시집이다. 표제시 「돈암동 엘레지」, 「돈암동의 봄」 등 돈암동을 배경으로 삼은 다수의 시들이 수록되어 있다.
-
-
문서류
- 사진관집 이층
- 신경림 시인의 열한 번째 시집이다. 시인이 수십 년간 거주한 정릉동을 소재로 삼은 「정릉동 동방주택에서 길음시장까지」, 「정릉에서 서른해를」 등의 시가 수록되었다.
-
-
문서류
- 우연에 기댈 때도 있었다
- 시인 황동규의 열두 번째 시집이다. 동선동 아틀리에에서 생을 마감한 조각가 권진규의 마지막을 다룬 시 「권진규의 테라코타」등이 수록되었다.
-
-
문서류
- 지금도 낭낭히
- 나기철 시인의 여섯 번째 시집으로, 「북정마을에서 길음시장까지」가 수록되었다.
-
-
문서류
- 돈암동 전차종점 사람들
- 조해경의 2014년 소설 『돈암동 전차종점 사람들』을 전자책으로 재출간하였다.
-
-
문서류
- 내 귓속의 장대나무 숲
- 최정례 시인의 첫 번째 시집으로, 미아리고개 배경의 시 두 편이 수록되었다.
-
-
문서류
- 우리가 함께 장마를 볼 수도 있겠습니다
- 2018년 (주)문학과지성사에서 펴낸 박준 시인의 두번째 시집이다. 시 「종암동」이 수록되었다.
-
-
문서류
- 서울민속대관(民俗大觀 ):민간신앙편(民間信仰編 ).1
- 서울시에서 펴낸 『서울민속대관』 중의 하나로 전13권 중 제1권에 해당한다. 이 책에는 서울에 있는 부군당, 도당, 산제당 등에 대한 설명이 있으며, 215-218쪽에 돈암동 산제당에 대한 내용이 실려있다.
-
-
문서류
- 돈암성당 50년사
- 1955년 10월 18일에 혜화동 본당으로부터 분가하여 돈암동 성당이 탄생되었다. 그 후 50년 뒤 2005년 12월 24일 창립 50주년을 맞아 돈암동성당 50년사가 발간되었다. 축사부터 성당의 50년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
-
문서류
- 장위고개
- 1983년 발행된 소설집이다. 책의 제목이기도한 「장위고개」는 소설가 염인수가 1968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있었던 자신의 일상을 기록한 일기 형식의 수기이다.
-
-
문서류
- 태양의 혀
- 1977년 이래 성북동에 40년 이상 거주한 박미산 시인의 두 번째 시집이다. 성북동 소재의 시 「수고해」, 「명랑이발소」, 「시간의 얼굴」 등을 수록되었다.
-
-
문서류
- 골목길 카프카
- 2019년에 펴낸 에세이로, 부제는 '어떤 베이비부머의 유년시절'이다. 베이비붐 세대의 상징인 1958년생 저자가 어린시절 거주했던 돈암동을 비롯해 서울의 골목길을 다니며 촬영한 사진들과 더불어 유년기를 추억하는 글을 담았다. 책에는 보문동, 돈암동, 정릉동, 동소문동, 성북동, 장위동 등 성북구의 다양한 모습들이 담겨있고 그 모습들을 작가의 기억에 따라 설명하고 있다.
-
-
문서류
- 눈물은 힘이 세다
- 2009년에 출간된 이철환 작가의 첫 장편소설이다. 주인공 '유진'이 어린시절을 보낸 동네를 길음동으로 설정하였다.
-
-
문서류
- 행복한 고물상
- 이철환 작가가 2005년 펴낸 산문집이다. 작가가 살았던 미아리와 더불어 길음시장에서의 일화도 등장하여 당시의 풍경과 정취를 떠올려 볼 수 있다.
-
-
문서류
- 허구의 삶
- 2019년 10월 출간된 이금이의 소설이다. 성북동과 정릉동이 소설의 배경으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