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타
- 북악 골프연습장 운영자 내년선정
- 내용: 북악골프연습장이 만들어진 배경과 운영권 등에 관해 설명한 기사이다.
신문명: 경향신문
발행일: 1993년 10월 28일 목요일
발행호수: 제14901호
판본: 15판
기사위치: 21면
-
-
기타
- 남편에 가려진 예술가 박래현, 우린 너무 몰랐다
- 내용: 우향(雨鄕) 박래현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열린 <박래현, 삼중 통역자>에 대한 전시 구성과 박래현의 생애, 작품의 특징 등을 취재한 기사.
저널명: 중앙일보
발행 형태: 인터넷 신문기사
발행일: 2020.10.21 00:03(입력) | 2020.10.23 11:25(업데이트)
비고: 2020년 10월 21일 『중앙일보』 종합 22면에 게재
-
-
기타
- 1週(주) 日間(일간) 高麗大(고려대) 임시休講(휴강)
- 내용: 고려대 학생들이 구국선언문을 채택하고, 유신헌법에 반대하는 교내시위를 벌여 기동경찰과 충돌하자 학교당국이 학생들의 희생을 우려하여 일주일간 임시 휴강을 하기로 결정했다는 내용의 기사이다.
신문명: 동아일보
발행일: 1974년 10월 12일 토요일
발행호수: 제16319호
기사위치: 7면 6단
-
-
기타
- 성북구, '종암 박스파크'에 제2접종센터 개소
- 내용: 종암 박스파크에서 제2접종센터를 개소해 예방접종을 실시한다는 내용과 시간 및 구체적 장소를 명시한 내용
저널명: news1
발행 형태: 인터넷 신문 기사.
발행일 : 2021.07.02 17:08(송고)
-
-
기타
- 성북구 ‘종암 박스파크’ 한국문화공간상 수상
- - 내용: 종암 박스파크가 제7회 한국문화공간상을 수상한 내용과 박스파크의 전반적인 소개에 대한 내용을 적은 기사
- 저널명: 세계일보
- 발행 형태: 인터넷 신문 기사.
- 발행일 : 2022.01.19 01:15(입력)
-
-
기타
- 내가 아는 권진규(6) - 박용숙 미술평론가
- - 내용: 권진규와 생전에 절친했던 지인들이 1988년 1월부터 3월까지 10회에 걸쳐 권진규를 회고한 글로서 동선동 아뜰리에에서의 일화가 언급됨
- 저널명: 중앙일보
- 발행 형태: 인터넷 신문 기사.
- 발행일 : 1988.02.02 00:00(입력)
- 비고: 1988년 2월 2일 『중앙일보』 종합 14면에 지면 기사 게재.
-
-
기타
- 내가 아는 권진규(5) - 이규호 서양화가
- - 내용: 권진규와 생전에 절친했던 지인들이 1988년 1월부터 3월까지 10회에 걸쳐 권진규를 회고한 글로서 해당 기사는 동선동 아뜰리에에서 자주 교류했던 화가 이규호가 작성함.
- 저널명: 중앙일보
- 발행 형태: 인터넷 신문 기사.
- 발행일 : 1988.01.30 00:00(입력)
- 비고: 1988년 1월 30일 『중앙일보』 종합 10면에 지면 기사 게재. 인터넷 기사에는 '나아가는 권진규'로 제목이 오기됨.
-
-
기타
- 내가 아는 권진규(2) - 유준상 미술평론가
- - 내용: 권진규와 생전에 절친했던 지인들이 1988년 1월부터 3월까지 10회에 걸쳐 권진규를 회고한 글로서 동선동 아뜰리에에서의 일상도 언급됨
- 저널명: 중앙일보
- 발행 형태: 인터넷 신문 기사.
- 발행일 : 1988.01.16 00:00(입력)
- 비고: 1988년 1월 16일 『중앙일보』 종합 11면에 지면 기사 게재.
-
-
기타
- 森嚴(삼엄)한 켐퍼스 武裝軍人(무장군인)들 校門(교문)봉쇄 高麗大(고려대)
- 내용: 1975년 4월 9일 무장군인 3백여 명이 고려대학교 정문을 봉쇄하고, 교내에 배치되었다는 내용의 기사이다. 독재를 반대하는 학생들에 대비한 긴급조치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신문명: 조선일보
발행일: 1975년 4월 9일
기사위치: 7면
-
-
기타
- 開學後三日(개학후삼일)째 改憲反對(개헌반대)데모 高麗大(고려대)
- 내용: 1969년 8월 27일 개학 후 3일 째 진행 중인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개헌 반대 데모를 다룬 기사이다. 데모에 대한 간략한 내용을 담고 있다.
신문명: 동아일보
발행일: 1969년 8월 27일
기사위치: 3면
-
-
기타
- 高麗大(고려대) 세차례街頭(가두)로
- 내용: 1969년 7월 2일 고려대학교 학생 600여 명의 개헌 반대 데모와 경찰과의 충돌을 다룬 기사이다. 대치 내용을 간략히 담고 있다.
신문명: 동아일보
발행일: 1969년 7월 2일
기사위치: 3면
-
-
기타
- 高大生(고대생)들 또 데모
- 내용: 1969년 6월 29일 고려대학교 학생 600여 명의 개헌 반대 데모와 경찰과의 대치를 다룬 기사이다. 데모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해 담고 있다.
신문명: 조선일보
발행일: 1969년 6월 29일
기사위치: 7면
-
-
기타
- 五百(오백)여高大生(고대생) 改憲反對(개헌반대)데모
- 내용: 1969년 6월 27일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개헌 반대 데모를 다룬 기사이다. 민주헌정수호 성토대회와 이후 개헌에 대한 반대 데모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묘사하고 있다.
신문명: 동아일보
발행일: 1969년 6월 27일
기사위치: 3면
-
-
기타
- 學期末(학기말) 試驗(시험)도 보이코트하고 高大生(고대생)들 데모
- 내용: 1965년 6월 29일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시험 거부와 한일회담 반대시위를 다룬 기사이다. 성토대회의 과정과 이후 이루어진 데모의 과정을 간략하게 요약한 내용을 담고 있다.
신문명: 경향신문
발행일: 1965년 6월 29일
기사위치: 3면
-
-
기타
- 벼랑에선 沮止(저지)와沮止(저지)
- 내용: 1965년 6월 22일 고려대 등의 대학생들의 한일회담 반대시위를 다룬 기사이다. 데모에 대한 구체적 내용들이 담겨 있다.
신문명: 동아일보
발행일: 1965년 6월 22일
기사위치: 7면
-
-
기타
- 일제히 聲討(성토)…街頭(가두)로
- 내용: 1965년 6월 21일 고려대 등 한일회담 중지를 요구하는 대학가의 시위를 다룬 기사이다. 한일회담 반대 데모에 대한 자세한 정황과 이야기들이 담겨있다.
신문명: 동아일보
발행일: 1965년 6월 21일
기사위치: 3면
-
-
기타
- 안암동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대일외교반대성토대회
- 내용: 1965년 6월 18일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대일외교반대성토대회를 다룬 기사이다. 당시 선언문과 시위의 과정을 간략히 묘사하고 있다.
신문명: 동아일보
발행일: 1965년 6월 18일
기사위치: 3면
-
-
기타
- 「젊은 隊列(대열)」흩어져도 데모大學生(대학생)의 手記(수기)
- 내용: 1964년 3월 28일 한일회담 반대 시위에 선두에 나선 대학생들의 수기를 소개한 기사이다. 데모의 과정과 상세한 내용들이 담겨 있다.
신문명: 동아일보
발행일: 1964년 3월 28일
기사위치: 3면
-
-
기타
- 서울大(대),高大(고대),延大學生(연대학생)들 韓(한)·日會談反對(일회담반대)「데모」
- 내용: 1964년 3월 24일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학생들의 한일회담반대 데모를 다룬 기사이다. 당시 대학생들의 일본에 대한 분노와 반대 이유 등을 담은 내용이 실려있다.
신문명: 경향신문
발행일: 1964년 3월 24일
기사위치: 1면
-
-
기타
- 4.19의 導火線(도화선)
- 내용: 1961년 4월 18일 4.19혁명의 도화선이 된 고려대학교 학생들에 대해 다룬 기사이다. 부통령 선거에 대한 부당함과 민주주의를 위해 데모를 실시한 내용을 담고 있다.
신문명: 조선일보
발행일: 1961년 4월 18일
발행구분: 조간
기사위치: 3면
-
-
기타
- "高大生襲擊(고대생습격)한『깡패』빨리잡으라"
- 내용: 1960년 4월 18일 고려대학교 학생들을 습격한 깡패들을 조속히 체포하라는 내용의 기사이다. 4.19혁명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내용이다.
신문명: 동아일보
발행일: 1960년 4월 23일
발행구분: 조간
기사위치: 3면
-
-
기타
- 서울高大生(고대생)데모 AP報道(보도)
- 내용: 1960년 4월 18일 약 5천 명의 고려대학교 학생들이 부통령선거를 규탄하여 경찰의 봉쇄를 뚫고 행진한다는 기사이다.
신문명: 조선일보
발행일: 1960년 4월 19일
발행구분: 조간
기사위치: 1면
-
-
기타
- "한국(韓国)에서 리얼리즘 정립(定立)하고 싶다"
- - 내용: 건칠 작품전을 준비 중인 조각가 권진규 인터뷰 기사로, 동선동 아틀리에에 대한 묘사가 언급됨
- 신문명: 조선일보
- 발행일: 1971년 6월 20일 일요일
- 발행 호수: 제15443호
- 판본: 10판
- 기사 위치: 5면
-
-
기타
- 봄을 바라보는아틀리에 (1) 「小亭畵室(소정화실)」의 卞寬植(변관식)씨
- - 내용: 돈암동(현 동선동3가 76)에 거주하는 한국화가 변관식 인터뷰로, 자택에서 작업에 매진하는 모습을 찍은 사진과 돈암동에서의 일상 등이 담긴 기사
- 신문명: 동아일보
- 발행일: 1972년 1월 11일 화요일
- 발행호수: 15466호
- 기사위치: 5면
-
-
기타
- 경성(京城)에 성북(城北), 마포(麻浦) 양서(兩署) 신설(新設)
- 내용: 경성 확장 이후 시급한 치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대문 경찰서 관리 지역을 분할하여 성북 경찰서를 신설한다는 기사이다. 새 경찰서의 관할 구역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신문명: 매일신보사
발행일: 1944년 7월 16일
발행구분: 조간
기사위치: 3면
-
-
기타
- 고가도로(高架道路)에 착공(着工)
- 내용: 동대문에서 안암정까지의 시가 도로 개수 공사가 막바지에 이르렀다는 기사이다. 공사 현황과 완료 예정이 포함 되어있다.
신문명: 매일신보사
발행일: 1943년 3월 9일
발행구분: 조간
기사위치: 2면
-
-
기타
- 교사(校舍) 신축(新築)에 근로(勤勞) 작업(作業)
- 내용: 경성여자기예학교의 전교생 백여 명이 안암정 10-15 위치에 교사를 신축하기 위해서 근로 작업에 동원되었다는 내용의 기사이다.
신문명: 매일신보사
발행일: 1942년 11월 16일
발행구분: 조간
기사위치: 3면
-
-
기타
- 동경성(東京城) 3천(三千) 토막민(土幕民)
- 내용: 안암정을 비롯한 동부 경성에 위치한 토막을 경성부 도시계획과에서 강제로 철거하는 중이며, 이에 대해 안암정 이백여 호의 토막민들이 경성부 사회과에 진정한다는 기사이다.
신문명: 매일신보사
발행일: 1941년 7월 18일
발행구분: 조간
기사위치: 2면
-
-
기타
- 봉은사(奉恩寺) 총력연맹(總力聯盟) 결성(結成)
- 내용: 1941년 4월 6일 오전 10시 안암정 개운사에서 국민 총력 봉은사 본말사 연맹 결성식을 거행한다는 기사이다.
신문명: 매일신보사
발행일: 1941년 4월 3일
발행구분: 조간
기사위치: 3면
-
-
기타
- 미나미 지로(南) 총독(總督) 총감하(總監下)에 전문(專門), 대학생(大學生) 대연습(大演習)
- 내용: 미나미 지로 총독의 감독 아래 전문학교의 연합 군사 연습이 실시되었다는 기사. 돈암정과 안암정으로부터 시작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신문명: 매일신보사
발행일: 1939년 10월 1일
발행구분: 조간
기사위치: 3면
-
-
기타
- 돈암(敦岩)·안암(安岩)·신설(新設) 3정(三町) 주택지(住宅地) 분양(分讓) 개시(開始)
- 내용: 경성부 편입으로 인구가 증가한 안암정에 주택난이 심해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주들이 주택지 분양 조합을 조직해 일반 부민에게 주택지를 분양한다는 기사이다.
신문명: 매일신보사
발행일: 1939년 4월 11일
발행구분: 조간
기사위치: 3면
-
-
기타
- 15조(十五條)의 시가(市街)·간선(幹線) 확장(擴張)
- 내용: 쇼와 13년도(1938년도) 시가지 계획 사업으로 동대문에서 안암정까지 시가 도로가 개수될 것이라는 기사이다.
신문명: 매일신보사
발행일: 1938년 3월 15일
발행구분: 조간
기사위치: 3면
-
-
기타
- 대경성(大京城)의 행정구역(行政區域) 4구(四區)로 분할(分割) 결정(決定)
- 내용: 1936년 4월 1일부로 실시되는 도시계획령에 따라 안암리가 경성부로 편입된다는 기사이다. 추가로 면사무소와 읍사무소 직원이동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신문명: 조선중앙일보사
발행일: 1936년 1월 18일
발행구분: 석간
기사위치: 2면 1단
-
-
기타
- 시외(市外) 안암리(安岩里) 신교사(新校舍)로 보성전문교(普成專門校) 이전(移轉)
- 내용: 1934년 9월 29일 경성부 송현동에서 경기도 숭인면 안암리로 보성전문학교가 이전했다는 기사이다. 일시와 이전할 때의 상황을 묘사하고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신문명: 매일신보사
발행일: 1934년 9월 29일
발행구분: 석간
기사위치: 7면
-
-
기타
- 보전교(普專校) 신축지(新築地) 안암리(安岩里)로 결정(決定)
- 내용: 경성부 송현동에 위치했던 보성전문학교의 신교사 위치가 경기도 숭인면 안암리로 확정되었다는 기사이다. 신교사 평수 등 부지에 대한 설명도 담고 있다.
신문명: 매일신보사
발행일: 1933년 5월 14일
기사위치: 2면 1단
-
-
기타
- 안암리(安岩里) 주재소(駐在所)에 부랑자(浮浪者) 취체(取締) 엄중(嚴重)
- 내용: 영도사(현 개운사) 근처 불량배들이 많이 출몰하자 영도사 입구인 안암리에 경관 주재소를 증설하여 불량배들에 대한 엄중한 제재를 실시한다는 내용의 기사이다.
신문명: 중외일보
발행일: 1929년 10월 12일
발행구분: 석간
기사위치: 2면
-
-
기타
- 躍進途上(약진도상)의普專(보전) 石造圖書舘竣工(석조도서관준공)
- 내용: 보성전문학교 창립 30주년 기념사업으로 석조도서관을 준공된 것과 개관식을 한 것에 대한 기사이다. 도서관의 특징과 공사비를 다룬 내용을 추가로 담고 있다.
신문명: 동아일보
발행일: 1937년 9월 3일
발행구분: 조간
기사위치: 2면
-
-
기타
- 武運長久祈願(무운장구기원) 明夜(명야),時局講演(시국강연)도開催(개최)
- 내용: 조선불교중앙교무원이 무운장구를 기원해 개운사에서 기원회를 실시할 것과 부내 부민관에서 시국강연회를 개최할 것을 알리는 기사이다.
신문명: 동아일보
발행일: 1937년 8월 5일
발행구분: 석간
기사위치: 2면
-
-
기타
- 坊坊谷谷(방방곡곡)에서聲援(성원) 자라가는大普專(대보전)
- 내용: 보성전문학교의 창립 30주년 기념사업으로 기념 도서관과 대강당 등을 건축하는 내용을 담은 기사이다. 건축하는 데 도움을 준 후원자들과 기부금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신문명: 동아일보
발행일: 1936년 7월 30일
발행구분: 석간
기사위치: 2면
-
-
기타
- 東南(동남)에縱橫貫通(종횡관통)될 五條(오조)의大幹線路(대간선로)
- 내용: 경성부의 1차적 도로망 실현 공사 착수에 관한 기사이다. 토목사업에 대한 내용으로 돈암정에서 안암정에 이르는 도로를 공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신문명: 동아일보
발행일: 1936년 7월 5일
발행구분: 석간
기사위치: 2면
-
-
기타
- 구매표교환조건(購賣票交換條件)으로 수개월정회비강징(數個月町會費强徵)
- 내용: 정회에서 면직물을 판매할 때 발행하는 구매표에 대한 문제점을 시사한 기사이다. 구매표가 필요한 것을 이용해 수개월치 정회비를 받고 구매표를 내주는 등 강제적인 행위를 하는 폐단이 이어지자 이에 대한 문제점을 담고 있다.
신문명: 조선일보
발행일: 1940년 7월 31일
발행구분: 조간
기사위치: 2면
-
-
기타
- 금후신설(今後新設)할소교기지(小校基地) 전년도(前年度)에예매방침(豫買方針)
- 내용: 경성부의 ‘초등교육확충계획’으로 매년 소학교 3개교를 짓는 데 있어서 몇 년 동안 지주들이 협조하지 않고 땅값을 올리는 등에 대한 행동을 설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지침을 소개한 기사이다. 경성부에서는 기존 올해 개교할 소학교의 부지만 구매했지만 내년에 개교할 부지까지 함께 산다는 것과 지주들이 과도하게 가격을 올릴 경우 수용령을 적용하여 단호하게 땅을 이용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내년 구매 예정에 '안암소학'이 포함되어 있다.
신문명: 조선일보
발행일: 1940년 5월 11일
발행구분: 조간
기사위치: 2면
-
-
기타
- 명년신설교(明年新設校) 전농(典農) 당산(堂山) 안암(安岩)
- 내용: 경성부에서 주관하는 '초등교육단기확충계획'에 따라 매년 소학교가 3개교씩 신설되는데 올해는 마장, 북아현, 공덕에 신설된 것과 내년은 전농, 당산, 안암으로 결정되었다는 기사이다.
신문명: 조선일보
발행일: 1940년 1월 25일
발행구분: 조간
기사위치: 2면
-
-
기타
- 새정회(町会)새기염순청기(氣焰巡聽記) 헐려진토막(土幕)우에 완성(完成)될탄탄대로(坦坦大路)
- 내용: 경성부의 구역 정리로 이전에 낙후되었던 안암과 종암이 '안암종암연합정회'로 합쳐져 개발될 것이라는 내용을 담은 기사이다. 이전에 낙후된 안암과 종암의 모습들이 묘사되어 있고 이후 제반 작업과 여러 공사를 통해 공원과 명승지를 만들 계획을 담고 있다.
신문명: 조선일보
발행일: 1938년년 10월 9일
발행구분: 조간
기사위치: 3면
-
-
기타
- 보전주최(普專主催)의 중등축구(中等蹴球)
- 내용: 보성전문학교가 주최하는 제10회 조선중등학교 축구대회 참가 신청 시기, 방법과 축구대회가 언제 열리는지에 대해 보도한 기사이다.
신문명: 조선일보
발행일: 1937년 5월 4일일
발행구분: 석간
기사위치: 2면
-
-
기타
- 역사(歷史)기픈구사석별(舊舍惜別) "대보성(大普成)"금일이반(今日移搬)
- 내용: 보성전문학교가 1934년 9월 28일 새 건물로 이전하여 이전식을 진행하고 10월 2일부터 새교사에서 수업을 시작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기사이다.
신문명: 조선일보
발행일: 1934년 9월 29일
발행구분: 석간
기사위치: 2면
-
-
기타
- 안암주민팔십여(安岩住民八十餘) 대지사수동맹(垈地死守同盟)
- 내용: 대지 소유주로부터 대지 사수를 위한 80여명의 안암동민이 모여 동맹을 만들어 소유주에게 요구사항을 전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고 갈등한 내용을 다룬 기사.
신문명: 조선일보
발행일: 1929년 1월 23일
발행구분: 석간
기사위치: 2면
-
-
기타
- 김교신 선생 숨결 담긴 선교사역공간-한국 순교자의 소리 김교신홈 개관
- 내용: 2018년 4월 한국순교자의 소리에서 김교신이 소유했던
정릉동 땅에 김교신홈을 개관하였다는 소식을 전하는 뉴스이다.
발행 형태: 인터넷 신문 뉴스
발행일: 2018.04.09.
-
-
기타
- [아유경제_재개발] 정릉골구역 재개발, 사업시행인가 향해 ‘성큼’
- 내용: 정릉골 재개발 사업 관련 기사.
발행 형태: 인터넷 신문 기사.
발행일: 2021.11.01 12:08
-
-
기타
- 70년대에 머문 '정릉골'···이제는 사라질 성북구 달동네를 가다
- 내용: 정릉골 재개발 사업 관련 기사.
발행 형태: 인터넷 신문 기사.
발행일: 입력 2021.11.13 0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