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청각류
- 성북동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 이야기를 찾아서 3 표지
- 총 3권으로 구성된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이야기를 찾아서’ 중 제3권의 표지이다.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에서 주관하고 성북구청 문화체육과에서 발행하였다.
-
-
시청각류
- 성북동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 이야기를 찾아서 2 표지
- 총 3권으로 구성된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이야기를 찾아서’ 중 제2권의 표지이다.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에서 주관하고 성북구청 문화체육과에서 발행하였다.
-
-
시청각류
- 성북동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 이야기를 찾아서 1 표지
- 총 3권으로 구성된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이야기를 찾아서’ 중 제1권의 표지이다.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에서 주관하고 성북구청 문화체육과에서 발행하였다.
-
-
시청각류
- 길음동
-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발행한 민속지의 표지이다. 북구 길음동 길음 뉴타운 도시민속 조사의 일환으로 발간했다.
-
-
시청각류
- 한권으로 즐기는 성북 산책
- 성북구청에서 발행한 책으로 성북구의 여러 지원센터, 도서관, 체육관, 박물관 등을 소개하고 있는 책의 표지이다.
-
-
문서류
- 돈암: 도성 밖 신도시
-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발행한 책의 표지이다. 표지의 문구는 박완서 「그 남자네 집」에서 발췌하였다.
-
-
시청각류
- 돈암: 도성 밖 신도시
-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발행한 책의 표지이다. 표지의 문구는 박완서 「그 남자네 집」에서 발췌하였다.
-
-
시청각류
- 성북 마을 이야기
- 성북구마을만들기지원센터에서 발행한 책의 표지이다. 성북구의 북정마을, 장수마을, 삼태기마을, 소리마을 등 옛 정취를 간직한 마을에서의 주민활동과 성과를 기술하였다.
-
-
시청각류
- 동소문별곡
- 서울역사박물관, 성 베네딕도회 왜관 수도원, 성 베네딕도회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의 공동주최전시 ‘동소문별곡(2014.8.7.~2014.10.31.)’ 의 전시도록의 표지이다.
-
-
문서류
- 동소문별곡
- 서울역사박물관, 성 베네딕도회 왜관 수도원, 성 베네딕도회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의 공동주최전시 ‘동소문별곡(2014.8.7.~2014.10.31.)’ 의 전시도록이다.
-
-
문서류
- 청계천 기획연구4-성북천 조사
- 청계천 박물관에서 2023년 5월 31일 발행한 책. 도시 하천 생태계 복원의 모범 사례인 성북천을 통해 서울의 시대적 변화상을 기술하였다.
-
-
시청각류
- 청계천 기획연구4-성북천 조사
- 청계천 박물관에서 발행한 ‘청계천 기획연구4-성북천 조사’의 표지이다. 도시 하천 생태계 복원의 모범 사례인 성북천을 통해 서울의 시대적 변화상을 기술하였다.
-
-
시청각류
- 더하기축제 : 호박이넝쿨책 스케치 영상
- 호박이넝쿨책·야책에서 제작한 영상 기록물이다. 6월 3일, 정릉2동 주민센터 맞은편에 위치한 정릉2동 교통광장에서 개최된 '정릉더하기축제' 현장의 모습을 담았다.
-
-
시청각류
- [여기는 성북] 2023 선잠제
- 팡팡미디어(빛사모TV)에서 제작한 영상 기록물이다. 5월 21일 성북동에 위치한 선잠단지에서 진행된 선잠제의 현장을 담았다.
-
-
시청각류
- 천년고찰 미타사
- 팡팡미디어(빛사모TV)에서 제작한 영상 기록물이다. 보문동에 위치한 사찰인 미타사를 소개하고 있다.
-
-
시청각류
- [마을장터] 배밭골 마을 상점가
- 팡팡미디어(빛사모TV)에서 제작한 영상 기록물이다. 정릉동에 위치한 배밭골 골목형 상점가를 소개하고 있다.
-
-
시청각류
- [여기는 성북] 윷놀 한판 붙자, 종암동 척사대회
- 팡팡미디어(빛사모TV)에서 제작한 영상 기록물이다. 2월 4일, 종암동주민센터에서 개최된 '종암동 척사대회'의 현장을 담았다.
-
-
시청각류
- [성북을 찾다] 자수는 꽃보다 아름답다
- 팡팡미디어(빛사모TV)에서 제작한 영상 기록물이다. 성북동에 위치한 한상수자수박물관을 소개하고 있다.
-
-
시청각류
- [여기는 성북] 북한산 기슭에서 정릉천을 거슬러
- 팡팡미디어(빛사모TV)에서 제작한 영상 기록물이다. 정릉천을 따라 북한산 일대의 모습을 담았다.
-
-
시청각류
- [마을장터] 성북천 마을 상점가
- 팡팡미디어(빛사모TV)에서 제작한 영상 기록물이다. 한성대입구역 부근, 성북천변에 위치한 상점들을 소개하고 있다.
-
-
시청각류
- [여기는 성북] 서울특별시 제5호 성북거점형 우리동네키움센터
- 팡팡미디어(빛사모TV)에서 제작한 영상 기록물이다. 종암동에 위치한 성북거점형 우리동네키움센터를 소개하고 있다.
-
-
시청각류
- [여기는 성북] 성북천 봄꽃 축제
- 팡팡미디어(빛사모TV)에서 제작한 영상 기록물이다. 한성대입구역 부근에 위치한 성북천 분수마루에서 개최된 '성북천 봄꽃 축제' 현장을 담았다.
-
-
시청각류
- [성북을 찾다] 시인의 거리
- 팡팡미디어(빛사모TV)에서 제작한 영상 기록물이다. 시인들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는 성북동 일대의 모습을 담았다.
-
-
시청각류
- [와보숑이 만난 풍경 83회] 정릉 더하기 축제
- 성북마을방송 와보숑에서 제작한 영상 기록물이다. 6월 3일, 정릉2동 주민센터 맞은편에 위치한 정릉2동 교통광장에서 개최된 '정릉더하기축제' 현장의 모습을 담았다.
-
-
시청각류
- [와보숑이 만난 풍경 80회] 걸어서 성북 속으로
- 성북마을방송 와보숑에서 제작한 영상 기록물이다. 월곡동에 위치한 성북장애인복지관에서 장애인의 날을 맞이하여 개최한 지역 축제 '걸어서 성북 속으로'의 현장 모습을 담았다.
-
-
문서류
- 서울시보 제2973호
- 2010년 4월 22일 발행된 서울시의 시보이다. 성북구 일대 도로 중 2개 이상 자치구에 걸쳐있는 도로구간의 도로명 부여사유에 대한 설명이 서술되어 있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73)
- 고려대로6길 54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추녀 위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로 지붕을 개축하며 추녀를 가리고 금속제 방풍널을 설치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72)
- 고려대로6길 54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로 지붕을 개축하며 홑처마만 남겼다. 전면 벽면은 벽돌로 쌓았으며 합각은 금속제 판으로 마감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71)
- 고려대로6길 56-1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추녀 위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로 개축하며 목재와 금속제 빗물받이로 지붕을 마감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70)
- 고려대로6길 54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로 지붕을 개축하였고, 전면 벽면도 벽돌로 새로 쌓으며 창호를 현대식 창호로 교체하였다. 방풍널을 금속제 판으로 설치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9)
- 고려대로6길 56-1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로 지붕을 개축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8)
- 고려대로6길 56-1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로 지붕을 개축하였다. 방풍널을 금속제 판으로 설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안채는 부연과 서까래가 모두 확인되는 겹쳐마이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7)
- 고려대로6길 62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추녀 위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래 겹처마인 것으로 보이나 전면 벽면을 개축하여 홑처마로 하고, 기와 대신 금속제 빗물받이를 달아 높이 올렸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6)
- 고려대로6길 62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지붕과 벽면, 창호, 대문 모두 현대식으로 개축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5)
- 안암로3길 55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로변의 모서리에 위치하고 있어 전반적으로 외벽을 둘러 내부를 보호하고 있다. 현재는 사람이 살고있지 않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4)
- 안암로1길 48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외벽을 시멘트로 새로 올리고 페인트를 칠해 단장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3)
- 안암로1길 48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전통 기와를 사용하고 있으며, 처마를 개축하고 전면 벽면을 유리로 교체하였다. 현재 상가로 이용되고 있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2)
- 안암로1길 50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지붕에 설치된 방수포를 미루어 보아 전통기와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처마와 전면 벽면, 창호를 모두 현대식으로 개축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1)
- 안암로1길 50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추녀 위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전통기와를 사용하고 있으나 처마를 현대식으로 개축하여 추녀와 도리 등을 확인할 수 없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60)
- 안암로1길 57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방풍널을 볼 수 있으며 합각은 시멘트로 채워넣었다. 안채는 서까래와 부연이 모두 보이는 겹처마구조로 되어있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9)
- 안암로1길 57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전통기와를 사용한 지붕을 유지하고 있다.
합각을 기와로 채워넣었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8)
- 안암로1길 68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추녀를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를 이용하여 지붕을 개축하였으나, 도리, 사래, 추녀가 모두 잘 드러나있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7)
- 안암로1길 68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로 지붕을 개축하였으나 부연과 서까래가 모두 확인된다. 박공널이 확인되며 합각은 시멘트 혹은 나무로 마감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6)
- 안암로1길 66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추녀 위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 기와로 지붕을 개축하여 추녀가 확인되지 않으며 금속제 빗물받이가 설치되어있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5)
- 안암로1길 66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현대식기와로 지붕을 교체하였으며 정면 벽면에 타일을 둘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4)
- 보문로13다길 27-11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 진입로에 설치된 대문을 촬영한 사진이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3)
- 보문로13다길 27-6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측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래 겹처마로 부연과 서까래가 모두 노출되어 있었지만, 지붕을 현대식 기와로 개축하며 측면의 부연과 전면의 서까래 일부가 보이지 않는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2)
- 보문로13다길 27-5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전통기와를 사용하고 있으나 대문과 창호를 현대식으로 교체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1)
- 보문로13다길 27-5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외벽을 촬영한 사진이다. 전통창호를 현대식 창호로 교체하였다.
-
-
시청각류
- 보문동 도시형 한옥(50)
- 보문로13다길 27-6에 위치한 도시형 한옥의 정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전면 벽면은 타일을 두르고 대문을 금속제로 교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