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시한옥의 적응태
2015.08
학술자료 학위논문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대상 및 방법 4 제3절 선행연구 및 개념 정의 7 1. 선행연구 분석 7 2. 개념정의 10 제2장 도시의 확장과 도시한옥 입지(立地)변화 17 제1절 한양의 자연발생적 도심주거지 ‘서촌’ 32 1. 자연발생적으로 도시화된 주거지(1894년 이전) 32 2. 근대적 도시계획을 통한 일본인 ‘근린주거지역’으로 개발(1894~1962년) 40 3. 도로의 확폭과 고밀(高密)의 도심으로 변화(1962~1980년) 50 4. 자연발생적 주거지와 재개발(1980~2000년) 56 5. 한옥보존정책과 상업화·고급주거지로 변화( 2000~현재) 58 제2절 경성의 대형필지 개발로 만들어진 도심주거지 ‘북촌’ 63 1. 대형필지의 사대부 주거지(1894년 이전) 63 2. 대형필지의 분할로 개발된 가회동(1894-1962년) 63 3. 주택난과 한옥보존제도(1962-1980년) 74 4. 도시한옥주거지의 개발(1980-2000년) 75 5. 한옥보존제도로 ‘관광지화’, ‘고급주거지화’ 된 북촌(2000년-현재) 80 제3절 경성의 도시계획에 의한 교외주거지 ‘돈암지구’ 85 1. ‘조선시가지계획령’과 ‘돈암지구’(1894-1962년) 85 2. ‘보문로’의 상업화(1962-1980년) 96 3. 다가구·다세대 개발에 적합한 필지(1980-2000년) 98 4. 다세대·다가구의 개발과 근린상업화(2000년-현재) 107 제4절 서울의 주택난 해소를 위해 계획된 교외주거지 ‘청량리’ 111 1. 서울의 확장과 교통의 발달로 만들어진 청량리(1962년 이전) 111 2. 경제개발계획과 개량주택 건설(1962-1980년) 118 3. 시장의 발달과 도시한옥주거지의 변화(1980-2000년) 123 4. 도시한옥주거지의 시장화(2000-현재) 129 제5절 소결: 도시한옥밀집지역의 입지조건과 도시한옥과의 상관성 133 제3장 서울 도시한옥의 적응태(適應態) 145 제1절 ‘생활방식 변화’에 의한 적응태 153 1. 현대적 생활 수용을 위한 ‘수납공간 확장’ 153 2. 생활 동선의 편리를 위한 ‘공간의 연결’ 165 3. 거실개념(LDK) 등 새로운 주거개념 도입에 의한 ‘거실 중심화’ 173 제2절 ‘기술 발달’에 의한 적응태 183 1. 새로운 주택기반시설 개발에 의한 ‘마당구성 변화’ 183 2. 새로운 부자재 개발에 의한 ‘마당 내부화’ 191 3. 새로운 구조재 개발에 의한 ‘마당의 통합공간화’ 199 제3절 ‘제도 도입’에 의한 적응태 207 1. 다가구법에 의한 셋집(借家)구조로서의 ‘채 분리’ 207 2. 다가구법에 의한 주거지역 내 상업시설 허용에 의한 ‘채 결합’ 215 3. 한옥보존제도에 의한 고급주거지로서의 ‘초기형 지향’ 223 4. 한옥보존제도에 의한 초기형에서의 공간 확장을 위한 ‘새로운 공간 개발’ 230 제4절 연구에 대한 논의(論議) 236 제4장 결 론 239 참고문헌 241 ABSTRACT 249
보문동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증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정기황
  • 생산자 유형: 저자

생산시기

  • 생산시기: 2015.08

생산지

  • 생산지: 서울시립대학교
  • 생산지 유형: 제작사
  • 주소: 2504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 694 (서울시립대로 163)

기술통제

  • 작성자:
  • 작성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