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적 지역재생 모델로서의 커뮤니티비즈니스: 서울시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2014.08
학술자료 학위논문
제 1장 서론 1 제 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 2절 연구 대상 및 방법 3 제 2장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지역재생에 대한 이론적 고찰 7 제 1절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개념 7 1. 역사 및 정의 7 2. 유사용어와의 차이점 11 제 2절 지역재생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관계 18 1. 지역재생의 개념 18 2. 지역재생 발전모델로서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20 제 3장 지역재생을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동 24 제 1절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유형 24 1. 커뮤니티 비즈니스에 있어서의 지역성과 사업성 25 2. 지역과 사업성을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유형 분류 26 제 2절 지역기반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주요사례 27 1. 주요사례 분석 29 2. 주요사례를 통해서 본 시사점 45 제 4장 성북구 장수마을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동 분석 50 제 1절 성북구 장수마을 개관 51 1. 공간적 특성 52 2. 사회경제적 특성 53 제 2절 주요 활동 및 활동 내용 57 1. 장수마을 지역재생 프로세스의 도입-대안개발연구모임 57 2. 장수마을 지역재생 프로세스의 착수-동네목수 60 3. 장수마을 지역재생 추진 프로세스-주민협의회와 마을학교 64 4. 장수마을 지역재생 프로세스의 성과 74 5. 장수마을 지역재생 프로세스의 평가 77 제 5장 결론 80
삼선동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증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김현민
  • 생산자 유형: 저자

생산시기

  • 생산시기: 2014.08

생산지

  • 생산지: 서울시립대학교
  • 생산지 유형: 제작사
  • 주소: 2504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 694 (서울시립대로 163)

기술통제

  • 작성자:
  • 작성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