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대상 및 절차 4
제2장 이론적 제도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7
제1절 이론적 배경 7
1. 주민참여 7
2. 정부와 시민단체의 역할 13
가. 정부의 역할 : 여론수렴 13
나. 시민단체의 역할 : 매개기능, 교육기능 17
3. 정치효능감 21
4. 정부와 시민단체의 역할, 정치효능감 그리고 주민참여의 관계 26
제2절 제도적 배경 29
1. 마을만들기의 배경 29
2. 마을만들기의 개념 및 유형 31
제3절 선행연구 검토 39
제3장 연구설계 46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 46
1. 분석의 틀 및 연구가설 46
2. 변수 선정 및 측정 49
제2절 분석 방법 57
1. 자료수집 방법 57
2. 분석 방법 58
제4장 실증분석 59
제1절 사례개요 59
1. 대상지선정 59
가. 성북구 장수마을 59
나. 은평구 산새마을 62
2. 사례 기술분석 64
제2절 구조모형 분석 87
1. 요인 및 상관분석 87
2. 구조모형 93
3. 다중집단분석 99
제3절 토론 105
제5장 결론 108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108
제2절 연구의 함의 109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113
[참고문헌] 114
[부록] 123
[ABSTRACT]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