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1. 연구배경과 목적 1
2. 연구범위 및 방법 4
II. 이론적 배경 및 기본개념
1. 건강의 사회적 의미 6
1) 사회적 관계로서의 건강 6
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7
2. 주민참여 건강마을만들기 9
1) 보건의료에서 주민참여 9
2) 건강 마을만들기 11
III. 건강마을의 전개 과정
1. 서울시 복지건강마을 사업 16
1) 사업의 배경 17
2) 사업의 취지 20
3) 사업 목표 21
4) 복지건강마을의 개념 23
5) 사업 추진 체계와 지원단 25
2. 건강친화마을만들기 30
1) 강북구 번2동 148마을 31
2) 성북구 월곡2동 삼태기마을 36
IV. 분석과 평가 : 건강마을만들기 사업의 성과와 한계
1. 성과 43
1) 기존 보건의료 사업과 다른 접근을 통한 주민의 성장과 조직의 형성 43
2) 보건의료 전문가가 아닌 주민활동가의 활약 50
3) 병의원이 아닌 대안적 주민참여 건강증진공간 55
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고려한 접근 63
5) 보건의료운동의 새로운 지향점 69
2. 한계 73
1) 사업주체의 불안정성 73
2) 짧은 사업 기간으로 인한 주민의 역동성의 검증 부족 78
3) 마을만들기 사업 자체의 한계 80
V. 결론
1. 연구요약 83
2. 제언 86
1) 주민건강증진 활동가의 양성 86
2) 건강증진 활동 패러다임의 전환 87
3) 주민 주도의 작고 다양한 건강 공동체 운동의 시도 88
3.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 90
참고문헌 93
ABSTRACT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