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타운 사업추진 단계별 재정착의사 및 주민의식 변화에 관한 비교분석 : 서울시 성북구 장위뉴타운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2010.02
학술자료 학위논문
제 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방법 제 2장 관련 이론의 검토 제1절 도시재생사업 1. 도시재생의 의미 2. 도시재생 사업의 범위 제2절 도시재정비촉진사업 1. 도시재정비촉진사업의 주요 내용과 추진 현황 2. 도시재정비촉진사업의 의의 제3절 도시정비사업과 주민 재정착 1. 저소득층계층의 보호와 사회 통합 2. 도시정비사업과 재정착율 제고 3. 주민 재정착 측면에서 서울시 도시정비 사업의 문제점 제 3장 장위뉴타운 사업 추진현황 제1절 장위뉴타운 사업 추진현황 1. 일반 현황 2. 주변 개발현황 3. 장위뉴타운 사업추진 경위 제2절 장위 재정비촉진계획 주요 내용 1. 재정비촉진계획 상의 계획테마 2. 재정비촉진계획 세부 계획 제 4장 장위뉴타운 주민 설문조사 분석 제1절 설문조사 개요 1. 2006년 8월 성북구청 주민 설문조사 2. 2009년 10월 본 연구 설문조사 3. 조사대상 비교 제2절 설문조사 내용 분석 1. 장위뉴타운 개발의견 2. 장위뉴타운 개발희망 이유 3. 장위뉴타운 현 상태 유지이유 4. 개발 후 거주(영업) 희망 지역 5. 개발 후 장위뉴타운 거주희망 이유 6. 주택소유자 향후 주거대책(계획) 7. 주택세입자 향후 주거대책(계획) 8. 개발기간 동안 거주(영업) 지역 9. 장위뉴타운 개발목표 10. 장위뉴타운 개발방식 11. 개발주체 12. 재정착율 향상을 위해 필요한 대책 13. 자영업자를 위해 필요한 대책 14. 바람직한 상가형태 15. 장위뉴타운 필요 시설 16. 바람직한 이웃과 교류장소 17. 재입주시 희망 소유형태 및 규모 제3절 설문조사 분석에 따른 시사점 도출 1. 뉴타운사업, 재정비촉진사업에 대한 인식 변화 2. 높은 재정착 의사 3. 공공과의 파트너쉽에 의한 점진적 개발 방식 선호 제 5장 주민 재정착률 제고 정책 검토 제1절 해외재정착률 제고 사례 1. 일본의 사례 2. 영국의 사례 제2절 원주민 재정착률 제고 정책 설정 1. 가구유형별 주거안정방안 2. 자영업자 대책 검토 3. 주민부담능력에 맞는 주택공급 4. 공공임대주택 규모 확대 5. 임대료 차등화 방안 6. 존치지역 확대통한 주택제고 확보 7. 생활권을 고려한 지구의 설정 8. 주민상담소 설치 운영 9. 단계적 개발, 순환재개발 시행 제 6장 결론 제1절 연구의 요약 제2절 주민 재정착률 제고를 위한 정책제언 설문지 참고문헌
장위동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증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최병락
  • 생산자 유형: 저자

생산시기

  • 생산시기: 2010.02

생산지

  • 생산지: 광운대학교
  • 생산지 유형: 제작사
  • 주소: 1897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 447-1 (광운로 20)

기술통제

  • 작성자:
  • 작성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