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공동체 사업 만족도가 공동체 의식 및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서울특별시 성북구 마을공동체 사업을 중심으로
2020.02
학술자료 학위논문
제1장 서론 제2장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제3장 분석의 틀 설정 제4장 성북구 마을공동체사업에 대한 영향모델 분석 - 성북구 마을공동체 사업 특성 분석 - 마을공동체 사업 전반적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 마을공동체 사업의 만족도가 공동체의식 및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관계 분석 제5장 결론
성북구
국문초록
서울시는 시민의 삶의 질과 행복의 가치를 내걸고 마을공동체 회복을 핵심시정으로 제시함과 동시에 이를 위해 2012년부터 마을 만들기 지원조례 제정 후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을 시행중에 있으며, 마을공동체사업1기 사업이 마무리가 되고 2기 사업을 시행중에 있다. 서울시 마을 공동체 사업의 정책목적인 공동체성 회복과 주민들의 삶의 질을 위해서 주민들 간의‘공동체 의식’과‘주민참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 ‘공동체 의식’과 ‘만족도’는 마을에 활력과 생기를 불어넣기 위해 시도되고 있는 마을 만들기 사업 등과 같은 사업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요인이며, 주민참여는 참여하는 주민들에게 공동체 의식을 배양한다. 본 연구는 마을공동체 사업의 주요한 목표인 공동체성 회복 및 의식 증진, 자발적인 주민 참여활성화를 위해 사업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공동체의식과,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동체 의식의 구성요소는 소속감, 연대감, 공동체 만족으로 구성하였으며, 주민참여의 구성요소는 주민참여 관심도, 정도, 의향으로 선정하여 영향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지는 서울시에서 성과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사업의 지속성을 고려하여 성북구를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대상지의 사업 참여자 설문조사와 인터뷰조사를 시행 후, PLS-회귀분석과, PLS-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통계분석 및 결과 해석을 진행하였다. 사업 참여자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 여성으로 전업주부나 회사원이며, 지역 내에 거주한 기간은 1년에서 10년 사이며, 주로 연립주택과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공동체 사업 요소들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모두 보통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전반적 만족도가 공동체 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동체 의식이 주민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공동체 사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계획단계에서부터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사업을 진행해 나가야 하며,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활발한 참여를 위해 다양한 활동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야 한다. 또한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서는 공동체 의식의 형성 및 회복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사업들이 일회성에 그치거나 성과주의에 의해 운영될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사업을 보완해 나가야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성북구 마을 공동체 사업의 주요한 목표인 공동체 의식의 증대와 자발적인 주민참여 영향관계 분석을 통해, 추후 서울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마을공동체 사업에 대한 계획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에서는 연구가 부족한 공동체의식과 주민참여에 관한 영향관계에 대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심현학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20.02

생산지

  • 생산지: 한양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 비고: 도시대학원 도시설계·경관생태조경학과 도시재생·설계전공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염현주
  • 작성일: 2022-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