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정체성 함양을 위한 시각정보디자인 프로그램 연구 : 정릉동을 중심으로
2019.08
학술자료 학위논문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문제 3. 연구방법 4. 연구의 범위 및 한계점 Ⅱ. 지역정체성 함양을 위한 지역사회미술과 시각정보디자인 1. 지역사회미술 교육 2. 지역사회와 지역정체성 3. 시각정보 디자인 Ⅲ. 정릉동의 지역정체성과 관련된 지역행사 1. 정릉동의 지역정체성 2. 정릉동의 문화예술단체 및 문화공간 그리고 정릉예술마을만들기 프로젝트 3. 정릉동의 지속적인 행사 4. 성북진경 페스티벌 <정릉편> Ⅳ. 지역정체성 함양을 위한 시각정보미술 프로그램의 실제 1. 지역정체성 함양을 위한 시각정보미술 프로그램의 설계 2. 지역정체성 함양을 위한 시각정보디자인 프로그램의 실제 Ⅴ. 결과분석 1. 사전·사후설문지분석 2. 작품 및 자기평가지 분석 3. 집단 인터뷰 분석 Ⅵ. 결론
정릉동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표는 정릉동을 중심으로 지역정체성을 함양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지역정체성의 함양을 위해 정릉동의 지역정체성 형성 과정과 지역의 축제를 사례 조사 하였다. 이를 토대로 정릉동에 거주하는 7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시각 정보 디자인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지역정체성 함양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사후 설문지, 자기평가지, 집단인터뷰로 구성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집단 인터뷰를 통해 지역정체성의 형성 과정을 알아보았다. 사전·사후 설문지의 결과는 지역정체성의 요소인 지역관심도, 지역애착도, 지역자긍심의 평균이 모두 상승하였다. 자기평가지의 결과는 학습자들의 지역정체성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집단 인터뷰의 결과는 지역관심도와 지역애착도가 주로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집단 인터뷰는 분석을 하기 위해 지역정체성의 형성 과정에서 자료 수집 방법으로 검색을 통한 자료수집방법, 경험적 지식,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자료 수집으로 나누었다. 인터뷰의 분석 결과는 자료 수집의 방법들이 각기 다른 영향을 주고 있다. 검색을 통한 자료 수집은 학습자들의 객관적인 지역정체성의 발전, 강화 및 축소에 영향력을 주는 인지를 만들어 주었다. 반면, 경험적 지식은 주관적인 지역정체성의 형성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검색을 통해 얻은 지식과 경험적 지식은 소통을 통해 서로 영향을 주었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자료조사는 앞선 검색을 통한 자료수집과 경험의 지식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상호 소통을 하면서 주관적인 지역정체성과 객관적인 지역정체성이 모두 함양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들은 수업 환경에서 지역에 대한 원활한 소통을 통해 지역정체성을 형성하였으며, 본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에게 지역정체성을 함양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김민진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19.08

생산지

  • 생산지: 국민대학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로 77)
  • 비고: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염현주
  • 작성일: 2022-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