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감수성 함양을 위한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성북선잠박물관을 중심으로
2024
학술자료 학위논문
국문초록 1. 서론 1) 연구 목적 및 내용 2) 연구 방법 및 범위 3) 용어 설명 2. 생태감수성 함양을 위한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교육현황 1)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의 이해 (1) 박물관교육과 친환경 의생활 교육의 개념 및 이론적 배경 (2)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의 개념 및 지향점 (3)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과 생태감수성의 관련성 2) 생태감수성 함양을 위한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 개발의 필요성 (1) 생태감수성 의미 및 구성 요소 이해 능력 함양 (2)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을 통한 생태감수성 함양 (3) 의생활 박물관의 생태전환교육 인식 증대 3) 생태감수성 함양을 위한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 현황 (1) 국내 현황 (2) 국외 현황 (3) 성북선잠박물관 교육 현황 3. 생태감수성 함양을 위한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분석 1)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선정 (2) 연구 절차 (3) 연구 방법 2) 생태감수성 함양을 위한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 개발 근거 (1) 구성주의 이론 (2) PBL 학습 모형 (3) 현장체험학습 3) 생태감수성 함양을 위한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분석 (1) 1단계: 프로그램 설계원칙 수립 (2) 2단계: 프로그램 설계 (3) 3단계: 수업 자료 개발 및 활용 (4) 4단계: 평가 방법 및 도구 (5) 5단계: 프로그램 적용 (6) 6단계: 결과 분석 4. 생태감수성 함양을 위한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및 활성화 방안 1) 교육적 효과 (1) 생태적 태도 및 정서의 긍정적 변화 (2) 의생활 박물관 콘텐츠에 대한 인식 향상 (3) 친환경 의생활 실천에 관한 관심 확대 2) 활성화 방안 (1) 친환경 소재의 교육 재료 활용 강화 (2)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의 의생활 콘텐츠 연계 강화 (3) 지속 가능한 실천을 고려한 교육 구성 5. 결론 참고문헌 참고사이트 부록 ABSTRACT
국문초록
본 논문은 생태감수성 함양을 위한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의 생태감수성 변화를 확인하여 의생활 박물관에서의 생태전환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오늘날 수많은 기후 문제는 현재와 미래 사회에 큰 위기를 초래하였다. 이런 기후비상시대에 대응해 나가기 위해 세계는 기후 위기 대응 전략과 함께 생태감수성을 함양한 생태시민을 필요로 하고 있다. 박물관 역시 시대적 변화에 따라 공동체의 관점 및 참여를 중시하며, 생태시민의 육성에 책임감을 가지고 범지구적 문제를 함께 해결해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오늘날 지구를 위협하는 환경문제는 우리의 삶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특히, 인간 생활의 핵심 구성 요소인 의류 관련 산업은 생산, 소비, 유통, 처리까지 모든 단계에서 환경을 오염시키며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의생활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었으나, 대부분은 실천해야 하는 생활 방식에 관한 내용을 다루며 실천의 기반이 되는 생태감수성은 강조하지 않는다는 한계를 보였다. 그러나 앞으로의 친환경 의생활 교육이 의미 있는 사회적 변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생태감수성의 함양을 통한 지속적인 실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최근 환경교육 역시 이러한 인식 변화에 따라 생태감수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 변화를 추구하는 ‘생태전환교육’으로 변화하고 있다. 친환경 의생활 교육이 이러한 생태전환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식 전달 방식을 탈피해, 자기주도학습과 실제적인 생태 경험을 포함하는 학습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범교과적 주제인 만큼 학교를 벗어나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학습 공간을 확장해 나가야 한다. 특히, ‘의생활 박물관’은 실제적이고 맥락적인 학습이 가능한 환경으로써, 새롭게 변화할 친환경 의생활 교육의 가장 효과적인 학습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가능성에도 최근 의생활 박물관에서 진행되는 친환경 의생활 교육을 살펴보면 대부분 친환경적 행동을 강조하던 과거의 환경교육을 답습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감수성 함양에 초점을 둔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함으로써, 의생활 박물관에서의 생태전환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먼저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의 개념과 지향점을 살펴보고,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과 생태감수성의 관련성을 모색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이후 현재 국내·외 박물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관련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을 개발할 때 박물관 콘텐츠를 활용하여 생태적 쟁점을 제시하고, 문제해결중심의 학습 방법을 적용하며, 지역의 생태현장을 활용하여야 한다는 지향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연구 대상 및 방법을 정리하고, 프로그램 개발 근거로써 활용될 구성주의 이론, PBL 학습 모형, 현장체험학습에 대해 분석하였다. 설계원칙은 PBL 학습 과정을 기반으로 생태감수성의 구성 요소가 골고루 발달할 수 있도록 수립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 박물관 콘텐츠를 통한 생태적 쟁점 접근과 지역의 생태현장 연계를 통한 생태 경험 제공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이후 수립한 설계원칙을 기반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4~6학년 13명을 대상으로 3회차에 걸쳐 적용하였다. 결과 분석에서는 학습자의 학습 결과물을 중점으로 PBL의 각 학습 과정이 적절하게 작용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프로그램 적용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효과를 도출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출한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적 태도 및 정서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의생활 박물관 콘텐츠에 대한 인식도가 향상되었다. 셋째, 친환경 의생활 실천에 관한 관심이 확대되었다. 이후 본 연구에서 아쉬웠던 부분을 토대로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에서 친환경 소재의 교육 재료 활용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에서 의생활 박물관 콘텐츠의 연계가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지속 가능한 실천을 고려하여 교육이 구성되어야 한다. 생태감수성 함양을 위한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은 결과적으로 학습자의 생태적 정서 및 태도에 긍정적 변화를 일으키고, 의생활 콘텐츠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도록 도왔으며, 친환경 의생활 실천에 관해 관심을 가지도록 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의생활 박물관의 생태감수성 함양을 위한 친환경 의생활 박물관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길 바라며, 나아가 박물관 생태전환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작점이 되길 기대한다.

기본정보

생산정보

  • 생산유형: 기타
  • 입수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 생산자 소속 및 이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은별
  • 생산자 유형: 저자
  • 비고: 석사학위논문

생산시기

  • 시대: 현대
  • 생산시기: 2024
  • 입수일자: 2024.03.13

생산지

  • 생산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생산지 유형: 발행처

원문 공개사항

기술통제

  • 작성자: 박유진
  • 작성일: 2024-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