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야기 보러가기
- 06월 14일, 1983년 | 안암동 삼익아파트 상가
- 성북구 안암로9가길 1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3년 6월 14일이다. 면적은 10,390.1㎡이다. 건물은 지하 1층과 지상 1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가 건물에 가기 위해서는 짧은 계단을 올라가야 한다. 지하 1층에는 오렌지 마트가 있는데, 창고로 쓰이며 현재 운영하지 않는다. 지하 1층에 주변 상가도 있던 것으로 추정되나, 문이 닫혀있고 복도에 불이 꺼져 사람이 다니지 않는다. 오렌지 마트, 봉우리 식당, 맞춤.수선, 삼익장식, 삼익크리닝상사, 국수생각&돈까스, 우편취급국이 입점해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이야기 보러가기
- 06월 14일, 1983년 | 안암동 삼익아파트
- 성북구 안암로9길 30에 있는 아파트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3년 6월 14일이다. 면적은 8,874㎡, 연면적은 28,620.38㎡이다. 총 204세대로, 주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이다. 건물은 총 10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마다 아파트 앞에 벤치가 설치돼있다. 아파트 외부도 깔끔하며 지속적으로 공사하고 관리한 건물로 보인다. 동마다 내부 지하 1층에 비상용 지하공간이 있다. 주민들이 그곳에서 대화를 하거나 빨래를 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반려견과 함께 다니는 주민이 많고, 동 사무소 앞에 체육관이 크게 지어져 있어 주민들이 애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보 3분 거리에 성북천이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이야기 보러가기
- 06월 04일, 1985년 | 성북동 창원빌딩
- 성북구 성북로 108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5년 6월 4일이다. 건축면적은 278.5㎡이고, 연면적은 1333.39㎡이다. 지하에 낙지마당이라는 음식점이 있고, 1층에 옷 가게가 있다. 이외에, 5층까지 다양한 기업과 스튜디오가 입점해 있다. 상가라기보다 사무실 빌딩에 가깝지만, 상업, 영업 활동도 이루어지고 있다. 외관의 꾸밈은 거의 없다. 간판도 거의 달려 있지 않다. 건물의 외관이 오랫동안 거의 바뀌지 않았다. 내부의 복도와 계단, 층계참은 넓고, 입점 공간도 상당히 넓다. 내부의 층별 소개에 따르면 규모가 있는 창원금속 서울사무소가 한 층을 다 차지하고 나머지 층은 대부분 두 공간으로 나뉘어 두 상가씩 입점해 있다. 외부엔 주차장이 있으며 지하공간도 있다. 옥상의 통신 설비가 눈에 띄는 요소이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이야기 보러가기
- 06월 15일, 1970년 | 종암동 고려시장상가
- 성북구 종암로 56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0년 6월 15일이다. 면적은 506㎡, 연면적은 1,837.6㎡이다. 8개의 동(가~아) 3층 건물로 이루어진 상가이며 영세 산업용품, 의류용품, 직물·원단, 금속 처리 업체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동 1층의 경우 대부분 공업사, 프린트 전사, 전기, 공예, 레이저 컷팅 등 영세기업이 입주해 있었으며 간혹 슈퍼와 식당도 있다. 8개의 동에 모두 빽빽하게 들어서 있었고 건물 한 개의 동 앞뒤로 다른 업체인 경우도 종종 있다. 건물 앞뒤로 주차가 많이 되어있고, 소방 안전을 위해 1열로 주차하라는 안내판이 있었지만 거의 지켜지지 않았다. 2층으로 이어지는 입구가 각 동 별로 약 네 군데 있다. 입구 중 대부분은 쓰레기봉투와 마대 자루가 막고 있다. 입구뿐만 아니라 길거리에도 각종 짐이 놓여 있다. 고려시장상가 뒤 편으로는 빌라들이 자리 잡고 있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이야기 보러가기
- 06월 17일, 1977년 | 종암동 해원빌딩
- 성북구 종암로 83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7년 6월 17일이며, 연면적은 1,034.67㎡이다. 종암로 대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 바로 앞에 노약자&교통약자 버스정류소가 있어서 버스가 정차해 있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건물 외부에는 붉은 벽돌이 사용됐다. 삼성 오토바이의 경우 오토바이들이 가게 앞으로 여러 대 주차되어 있었으나 나름 줄을 맞춰 세워져 있다. 정면에서 봤을 때 입점 상가의 간판에서 건물의 오래된 흔적이 가장 크게 느껴졌고 전반적으로 세월이 느껴진다. 내부 역시 페인트칠을 꽤 최근에 한 것 같지만 특유의 철문과 걸려있는 빛바랜 사진 액자가 건물의 연식을 짐작케 한다. 건물 뒤쪽 편에 서면 온갖 전선들을 볼 수 있다. 건물 뒤 전신주로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연결 되어있다. 건물 뒤쪽은 벽돌이 아닌 페인트로 마감한 모습이다. 간혹 상태가 좋지 않은 창문들이 몇 개 보인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이야기 보러가기
- 06월 10일, 1970년 | 월곡동 보배반점 건물
- 성북구 종암로184(하월곡동90-1695)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사용승인일은 1970년 6월 10일이며, 연면적은 347.6㎡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이며 1층 정문과 2층 또는 3층으로 올라가는 통로는 별개이다. 건물 1층에는 중식당인 보배반점이 입점해 있다. 보배반점과 나란히 위치한 아이스크림 판매점은 별도의 가건물로 지어져 있어 보배반점 건물과 어울리지 않는 모습이다. 2층은 바둑을 둘 수 있는 성북기원이 있고, 3층은 대한불교 임제종 평인사라는 종교시설이 있다. 성북기원의 내부는 최근 도배를 해서 깨끗한 모습이며, 기원 안에는 바둑을 두고 있는 지역 어르신들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건물 가까이에 버스정류장이 있어 접근성이 좋다. 주변에는 숭곡초등학교, 숭곡중학교, 서울도시과학기술고등학교가 인접해 있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