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만린
1935.10.03 - 2020.11.17
인물 개인 조각가
인물 개인 교육가
조각가이다. 1935년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경기중학교 시절부터 조각 공부를 시작하여 서울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하였고, 박사학위를 받은 후에는 모교의 교수로 재직하였다. 살 곳을 선택할 때에도 반포지구의 아파트 분양 혜택을 거부하고, “생명을 찾고 예술로 표현하는 사람은 땅을 밟고 흙을 만지며 살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자연이 가까운 곳을 선택, 정릉동에 손수 집을 짓고 살았다. 대표작으로는 「이브」, 「O」 시리즈가 있는데, 생명의 본질을 더욱 단순화된 형태로 승화시키면서 자신만의 방법과 소재로 작품을 만들었다. 자택은 성북구 솔샘로 7길 23(정릉동 716-16)에 위치한다.
돈암동 정릉동
  • 조각가 최만린(1)
  • 조각가 최만린(2)
  • 조각가 최만린(3)
  • 최만린, 「O 12-1-1」, 2012
  • 최만린, 「이브 58-1」, 1958
  • 최만린, 「천지 73-7」, 1973
  • 혜화동 성당 부조 작업 중인 최만린, 김세중, 송영수(1960)
  • 혜화동 성당 부조 작업
  • 2018년도 성북장학회 장학증서 수여식

기본정보

시기

주소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 716-16 (성북구 솔샘로 7길 23)

근거자료 원문

  • 생명의 이미지를 조각으로 표현하는 최만린은 1935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넉넉하지 않은 집안 형편에 어렵게 학비를 대는 어머니를 보며 어릴 때부터 훌륭한 사람이 되겠다는 다짐으로 공부를 한다. 1947년 들어간 경기중학교는 명문 학교로 실력도 있고 집안도 좋은 학생들이 많이 다녔다. 해방 후 기반이 잡히지 않은 사회에서 살아나려면 열심히 공부해서 실력을 키우고 누구나 부러워하는 사회적 지위에 오르는 수밖에 없었다. 외교관을 꿈꾸며 입시 준비를 하던 중 여러 과목 중 하나라고 생각했던 미술시간에 자신도 몰랐던 재능을 발견하게 된다. 당시 미술교사는 우리나라 1세대 조각가인 김복진의 제자이자 일본 동경미술대학을 나온 박승구였다. 그는 숙제로 그려온 최만린의 그림을 칠판에 걸어놓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고, 자신이 만든 조각반으로 들어오라고 권유하였다. 미술반이 있는 학교는 몇 군데 있었지만 조각반은 경기중학교가 유일했다. 공부로 성공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때라 미술에는 별다른 관심이 없었지만 방과 후 남는 시간에 취미로 해 보자는 생각으로 조각반에 들어갔다. 점차 자신의 재능을 아껴주고 이끌어 주는 스승 밑에서 조각에 재미를 붙이고, 예술가에 대한 꿈을 키워 나간다. 어느 날 박승구는 자신의 작품을 주며 최만린의 작품도 같이 가지고 가서 미술관에 접수하라는 심부름을 시켰다. 두 작품을 품에 안고 경복궁에 있던 미술관에 가보니 처음으로 개최된‘대한민국미술대전’이었다. 박승구는 <성관음상>으로 최고상인 문교부장관상을 수상하였고, 15살이었던 최만린은 <친구 얼굴>로 최연소 나이에 입선한다. 미술실에서 소조를 하다가 바닥에 흙을 떨어뜨리자 조용히 다가와 손수 그것을 주워 박승구 선생님은 ‘흙은 살이거든, 살을 다루듯 하라’고 가르쳐 주셨다. 이렇게 선생님의 지도를 받으며 조각가로서의 꿈을 키워 나갔다. - 최만린의 말 - 어렴풋하게 조각이란 예술세계에 눈을 뜨던 때 한국전쟁이 일어나며 무자비한 전쟁 속에 부모님을 잃고, 스승 박승구는 월북한다. 현실의 무게가 너무도 무거워, 산 속으로 들어가 세상과 단절하고 살겠다는 결심까지 하지만 이내 목탁을 치며 수도하는 스님처럼 자신은 흙을 두드리며, 스스로를 다듬으며 살겠다는 다짐을 하였다. 대학진학을 앞둔 1954년, 부모님과 같았던 할아버지의 기대를 저버릴 수 없어 서울대학교 경제학부에 입학원서를 내려고 했다. 미술공부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진로에 대해 방황을 하던 어느 날, 명동 다방에서 한 화가를 만난다. ‘화가가 된 것을 후회하지 않느냐’는 물음에 그 화가는 ‘내가 갈 길을 가고 있어 좋다’고 대답하였다. 이 말을 들은 최만린은 자신이 원하는 길을 가겠다는 의지를 품고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 지원하여 입학한다. 조각가 김종영, 김세중의 가르침을 받으며, 최정태, 최의순, 송영수 등과 함께 조각을 배웠다. 한국전쟁 이후 처음으로 국내에서 미술교육을 받은 1세대 작가였던 이들은 전쟁 속에서 죽음을 맞닥뜨렸고, 죽음과 삶의 경계, 인간 본연의 문제에 대해 절실히 고민했다. 서울대학교의 엄격한 교육방식 안에서 자신의 색채를 고민하던 최만린은 좀 더 공부를 하고 싶어 어려운 사정이지만 대학원에 진학한다. 학비를 마련하기 위해 학생들도 가르치고, 이리저리 일자리를 구하다 우연히 KBS 제1방송 아나운서 모집한다는 라디오 광고를 듣고 한 번 해보자는 마음에 원서를 냈다. TV가 없던 시절이라 라디오방송에 대한 관심이 높아, 남산에 있던 방송국에는 많은 사람들이 시험을 보러 와 있었다. 서울말을 쓰고, 목소리가 좋다는 얘기를 곧잘 들었던 최만린은 목소리 테스트와 필기시험을 통과하여 합격하고, 3개월간 연수를 거쳐 아나운서 생활을 시작한다. 아나운서 일은 다른 직업보다 시간을 조정하기가 수월해서 학교 수업을 병행할 수 있었다. 학위를 받은 뒤 다행히 모교 강사로 출강하게 되며 아나운서 생활을 만 2년 만에 마치고, 학교에 자리를 잡는다. 대학과 대학원, 강의를 하면서도 끊임없이 책을 찾아 읽고 예술의 본질에 대해 고민하였지만, 어딘지 모르게 생각이 막히고 명쾌한 답이 나오지 않았다. 그 때 최만린의 눈에 2만 년 전 구석기 시대에 만들어진 <빌렌도르프의 비너스>가 들어왔다. 작은 돌조각이지만 생명에 대한 염원을 담은 이 작품에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모든 것을 아우르는 것이 바로 생명감이라는 영감을 받았다. 이것을 계기로‘생명’에 집중하는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우리 것의 근원은 무엇일까, 내 아버지, 그 아버지들이 살았던 마음은 어땠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려 가면을 연구한다. 민속학자 이두현 선생과 함께 간 하회마을에서 하회탈을 본뜨거나 종이탈을 만들며 그 속에서 선조들의 정신을 만날 수 있었다. 최만린은 미술 전공자로서는 이례적으로 탈의 의미와 공예작품으로서 가치를 주제로 「한국가면의 조형성」(1963)이라는 졸업논문을 발표하였다. 격동의 시대에 자랐던 암울한 시간, 잠도 못 자고 지새운 긴 밤이 지나 멀리서 떠오르는 여명의 아련함으로 로댕과 미켈란젤로를 배웠던 시절 그러나 서양미학이 자신의 모습이 될 수 없고 아득하긴 하지만 한 걸음 내딛는 마음으로 우리의 바탕이 되는 동쪽을 향해 자생하고 뿌리내릴 수 있는 자신의 모습을 찾고자 우리 것의 조형방법을 모색하던 시절 - 최만린의 회고 - ‘생명’과 ‘생을 가능하게 하는 원천’을 탐구하는 첫 시작은 <이브>의 탄생이었다. ‘생명의 고귀함을 지키다 쓰러져간 한 인간’의 모습을 형상화한 <이브>는 잔혹한 전쟁을 겪으며 목격한 고통 받는 사람들의 모습 속에서 발견한 생명력의 표현이었다. <이브>시리즈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가던 최만린은 전시장에서 본 서예 작품에서 또 다른 영감을 얻는다. 붓으로 그어진 선은 끊어질 듯 이어지는 무한한 움직임으로 생명력을 담는 것 같았다. 연필 대신 붓을 들고 드로잉 작업을 시작하여 생명의 이미지를 입체화 시켜나간다. 1973년 개최한 제1회 개인전에서는 <천天>·<지地>·<현玄>·<황黃> 시리즈와 우리 민족 전통에서 작품의 모티프를 찾는 작업으로 장승의 모습을 추상화시킨 <일월日月> 시리즈를 선보인다. 대학로에 있던 서울대학교가 관악산으로 옮겨가며 학교에서는 교직원에게 한강 남쪽, 반포지구의 아파트를 분양받을 수 있는 혜택을 주었다. 그러나 최만린은 편리한 아파트 보다 자연이 가까이에 있는 곳을 선택한다. ‘생명’을 찾고, 예술로 표현하는 사람이기에 땅을 밟고, 흙을 만지며 살아야 한다는 생각이었다. 1964년 정릉 골짜기, 친구가 가지고 있던 여든 평 남짓의 텃밭을 사서 터를 다지고 손수 집을 짓기 시작했다. 건축비가 넉넉지 않아 시멘트로 기초를 올리고, 정릉 천변에서 모래로 만들어 파는 벽돌을 사다가 벽을 쌓았다. 눈 오는 겨울에는 집짓기를 멈추고, 부지런히 돈을 모아 건축비를 마련했다. 아나운서 시절 인기 성우로 이름을 날린 아내 김소원을 맞아 묵정동 문간방에서 조촐하게 살림을 시작해 돈암동 전셋집을 거쳐 처음 가지게 된 집이었다. 여기 아주 예쁜 산이 있고, 개천에 물이 흐르고. 아지랑이 길도 좋고. 소박하고. 전원생활이었지. 정릉에서 50년 가까이 살았어. 여기서 일생 산거야. - 최만린의 말 - 이듬해 봄 하얀 담 위에 빨간 기와를 올린 작은 집이 완공되었다. ‘열세 평, 사 홉짜리 아주 작은 병아리 집’이었다. 빨간 기와가 이국적이었는지, 이웃들은‘불란서집’이라고 불렀다. 집 앞에는 정릉천에서 둥그런 돌을 주어다 대문 기둥을 만들고 철문을 달았다. 대문 양쪽에 담도 쌓지 않아 제대로 된 문 기능은 하지 못했지만 문패를 달아 가족들의 손길과 희망이 담긴 집의 완공을 알렸다. 마당에는 아내와 아이들이 산에서 캐 온 야생화를 마당 가득 심고, 작은 연못도 만들었다. 그때까지 학교 안 좁은 창고 같이 변변치 않은 작업실에서 작품 활동을 하던 최만린은 가족들의 생활공간인 단층집이 완성된 뒤, 이층 높이의 스무 평 되는 화실을 덧대 지었다. 1970년대 정릉일대 택지개발이 시작되며 정릉집 주변으로 대규모 주택지가 조성되었다. 새로 구획이 나뉜 땅을 사한동안 텃밭으로 가꾸면서 집을 새로 지을 준비를 하였다. 땅을 사고 10년이란 시간을 들여 지은 두 번째 집은 큰 창문이 있어 앞뒤 마당이 한눈에 들어오는 2층 양옥이었다. 이사 후에는 옆집을 사서 작업실로 삼고, 천장을 높였다. 천장이 높으면 작업하기에도 좋았지만, 넓고 높아진 공간만큼 생각이 트이는 것 같았다.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도 시야를 넓히고 새롭게 공부하고 싶은 열망이 생겨났다. 책을 통해서 본 고대의 위대한 예술품들을 직접 눈으로 보고 싶었다. 무엇보다 나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아는 것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내가 속한 문화와 세계를 보는 체험이 필요했다. 마침 1973년 록펠러재단의 후원으로 미국 프랫대(PrattInstitute)에서 공부할 기회가 생긴다. 한국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였지만 처음 시작하는 마음으로 학생들과 함께 기초교육 과목부터 듣기 시작했다. 그 나라의 예술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알기 위해 밑바탕부터 살펴보고, 우리의 교수법과 어떤 것이 다른지 비교해 보기 위해서였다. 수업이 끝나면 책에서 보던 작품들을 찾아 다녔다. 직접 작품을 볼 수 있는 기쁨과 감동도 있었지만, 고대부터 지금까지 인류의 역사와 예술이 집약된 유물을 뛰어넘는 자신만의 예술에 대한 고민 또한 깊어졌다. 망망대해에서 자연과 사투를 벌이는『노인과 바다』의 주인공처럼 느껴졌다. 치열한 시간을 보낸 끝에‘서구 미술이 이질적인 자아임’을 발견한 최만린은 우리만의 고유한 아름다움과 표현방식을 찾으며 작품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한국이란 작은 나라에서 온 동양인의 작업에 관심도 없었던 사람들은 조금씩 자신과 다른 낯선 표현방식에 관심을 보였고, 한 미국인 교수는 이전에 보지 못한 강렬한 인상을 받았다는 평을 한다.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거둔 수확이었다. 미국 생활이 나를 스스로 느끼는 시간을 줬고. 거기서 내가 작업을 느끼는 내 마음의 작업을 했어. 내가 작든 크든 나를 확인해왔고. 그곳에서 확인한 것은 위대한 작가의 가슴에 내 귀를 대고 있으면 안 된다는 거야. 그건 남의 심장 소리야. 자기 심장 소리는 자기가 듣질 못하지만 남의 소리를 듣다보면 내 고동을 잊게 돼. 근데 내가 움직이는 것은 내 심장 때문이야. 자기를 살아야지. - 최만린의 말 - 첫 개인전을 가진 뒤로 십여 차례 전시를 열고, 일상 속에서 쉽게 작품을 만날 수 있는 공공미술을 통해서도 작품을 선보였다. 1982년에는 한미수교 100년 기념조각을 인천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세웠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만물의 근원인 인간과 인간이 존재하는 자연과 우주, 생명의 근원 모두를 상징하는 <O>시리즈를 발표하는데, 생명의 본질을 더욱 단순화된 형태로 승화시켰다. ‘O’는 수가 없다는 영零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 무한함과 영원성의 공空, 시작과 끝, 없음과 있음 등 다양하게 해석 가능한 열린 개념이다. 작품 소재에도 얽매이지 않고, 가슴의 울림을 찾아 자신만의 방법과 소재로 작품을 만들었다. 나의 소재는, 연필이나 펜처럼 도구를 쓰는 것과 마찬가지로, 작품을 꾸며서 만드는 소재는 해본 적이 없고. 자연스럽게 나의 상념을 형상화 할 수 있는 재료를 중심으로 해서 흙도 썼고, 나무도 썼고, 쇠붙이도 썼고. 기본은 흙이야. 거기에는 표현의 방법에 적합한 것을 쓰는 것이지, 소재가 좌우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나는 재료에 대해서는 뭐를 하면 참 근사하겠다고 생각하지 않았어요. 나의 마음을 가까이 할 수 있는, 거기에 적합한 재료를 썼지. 나의 마음에 있는 것을 형상화하면 그것을 보는 사람이 같이 마음으로 나눌 수 있는 거지. - 최만린의 말 - <이브>에서 <O>시리즈까지 60년의 세월이 흘렀다. 최만린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조각가가 되어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고, 1997년에는 국립현대미술관장을 역임하며 미술계의 발전을 이끌었다. 최만린은 자신의 마음 속에 떠 있는‘예술’이라는 별자리를 믿고 따르며 살았고, 지금까지도 계속해서 새로운 모습의 ‘생명’을 조각으로 탄생시키고 있다.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2013, 정릉동 :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이야기를 찾아서, 98-106쪽
  • 최만린 1935년 서울 출생 1958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196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 1974년 미국 프랫대학 연수 1965년 제4회 파리비엔날레 참여(파리, 프랑스) 1967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1969년 제10회 상파울루비엔날레 참여(상파울루, 브라질) 1973년 첫 번째 개인전 개최(신세계미술관, 서울) 1997년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2001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표작품 <이브>, <천지>, <일월>, <天>, <地>, <玄>, <黃>, <胎>, <脈>, <O>, <서울의 만남>, <통일염원의 탑>, <EXPO‘93기념조형물> 등 상훈 김세중조각상(1991), 대한민국미술인대상(2007), 대한민국예술원상(2012)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2013, 정릉동 :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이야기를 찾아서, 107쪽
  • 다양한 ‘생명’의 모습을 작품에 담아내는 조각가이다. 197년 경기중학교 재학시절 일본 동경미술대학을 나온 미술교사 박승구의 권유로 조각을 시작하게 됐다. “미술실에서 소조를 하다가 바닥에 흙을 떨어뜨리지 조용히 다가와 손수 그것을 주워 박승구 선생은 ‘흙은 살이거든, 살을 다루듯 하라’고 가르쳐주셨다. 이렇게 선생님의 지도를 받으며 조각가로서의 꿈을 키워 나갔다”라고 조각에 입문하게 된 계기에 대해 회고했다. 1949년 열린 제1회 대한민국미술대전에 <친구얼굴>을 출품해 최연소 나이로 입선했다. 서울대 미술대학에서 김종영과 김세중의 가르침을 받은 이후 모교에서 강사, 교수로 재직한다. 1973년 록펠러재단의 후원으로 미국 프랫대학에 유학하는 중 <빌렌도르프의 비너스>에서 영감을 받아 ‘생명’에 집중하는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2만여년 전 만들어진 ‘빌레도르프의 비너스’를 화집에서 봤는데 ‘이거다’ 몇 만년 전에 그 분이 이 상을 만드는 그 마음 오늘날 내가 이런 조각가가 되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생명의 원천, 생명을 거부하는 인간이 과연 있겠는가. 동서양을 건너뛸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생명감이다” 그의 작품시기는 대개 습작기(1956~1960), 인체추상화 시기(1961~1965), 추상조각 모색기 (1965~1970), 추상조각 제1기(1970~1987)와 제2기(1987~1996) 등 5시기로 나눌 수 있다. 불안한 시대의 인간 초상을 형상화한 ‘이브’ 시리즈에서 시작해 60년대에 한자의 획에서 드러나는 표상을 작품한 ‘천-지-현-황’ 시리즈, 장승 이미지를 추상적으로 표현한 ‘일-월’ 시리즈를 선보였다. 70~80년대의 생명 이미지를 조형화한 ‘태’ 시리즈, ‘점’ 시리즈에서는 자연에 대한 믿음과 애정을 주제로 조각 세계를 확장했다. 최만린 조각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인 생명주의는 어떤 특정한 자연물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기 보다는 인간이 인식하기 이전에 우주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생명력의 본질을 표현한 것이다. 돈암동 전셋집에서 1965년 정릉동에 하얀 담 위에 빨간 기와를 올린 이국적 스타일의 멋진 집을 짓고 옮겨 왔다. 택지개발로 인해 근처에 두 번째 집을 지어 이사하고, 집 옆으로 작업실을 따로 마련하였다. 1997년 국립현대미술관장을 지내며 미술계의 발전을 위해 일하였다.
    성북구청 문화체육과, 성북문화원, 2016, 성북동 역사문화자원 조사·연구, 216-217쪽
  • 최만린 1935~ 어려운 집안 형편에 학비를 대는 어머니를 보며 훌륭한 사람이 되겠다는 다짐으로 공부를 했다. 1947년 명문 경기중학교에 들어가 외교관을 목표로 입시준비를 하였다. 그러던 중 당시 미술교사였던 박승구가 최만린의 재능을 발견하고 조각반으로 들어오길 권유했다. 별다른 관심은 없었지만 취미로 여기며 들어간 그곳에서 자신의 재능을 아껴주고 이끌어주는 스승 덕분에 조각가의 꿈을 키우게 된다. 1954년 대학진학을 앞두고 고민하고 방황하던 최만린은 자신이 원하는 길을 가겠다는 의지로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 입학했다. 이후 어려운 사정이지만 대학원에 진학해 공부를 이어나갔다. 2년간 시간 조정이 수월한 라디오 아나운서 일을 하며 학교 수업을 병행하였고 학위를 받은 뒤에는 모교의 강사로 출강하여 자리를 잡았다. 대학과 대학원 강의를 하면서 끊임없이 예술의 본질에 대해 고민하던 최만린은 「빌렌도르프의 비너스」를 계기로 생명과 생을 가능하게 하는 원천에 집중하는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첫 시작은 「이브」의 탄생이었다. 대학로에 있던 서울대학교가 관악산으로 옮겨지며 학교에서는 교직원에게 반포지구의 아파트 분양 혜택을 주었지만 “생명을 찾고 예술로 표현하는 사람은 땅을 밟고 흙을 만지며 살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자연이 가까운 곳을 선택, 정릉 골짜기 여든 평 남짓의 텃밭을 사 손수 터를 다지고 집을 짓기 시작했다. 정릉천의 모래를 이용해 벽돌을 만드는 사람들에게 벽돌을 사다가 벽을 쌓았다. 겨울에는 집짓기를 멈추고 부지런히 돈을 모아 건축비를 마련했다. 이듬해 봄 하얀 담 위에 빨간 기와를 올린 아주 작은 병아리 집이 완공되었다. 여기 아주 예쁜 산이 있고, 개천에 물이 흐르고, 아지랑이 길도 좋고, 소박하고, 전원생활이었지. 정릉에서 50년 가까이 살았어. 여기서 일생 산 거야. - 최만린의 말 정릉천에서 둥그런 돌을 주어다 대문 기둥을 만들고 철문과 문패를 달았다. 마당에는 가족들이 산에서 캐온 야생화를 가득 심었고 작은 연못도 만들었다. 빨간 기와가 이국적이었는지, 이웃들은 ‘불란서집’이라고 불렀다. 1970년대 정릉 일대 택지개발이 시작되며 정릉집 주변으로 대규모 주택지가 조성되었다. 땅을 사고 10년의 시간을 들여 지은 두 번째 집은 큰 창문이 있어 마당이 한 눈에 들어오는 2층 양옥이었다. 최만린은 1980년대 후반부터 만물의 근원인 인간과 인간이 존재하는 자연과 우주, 생명의 근원 모두를 상징하는 「O」 시리즈를 발표한다. 생명의 본질을 더욱 단순화된 형태로 승화시키면서 자신만의 방법과 소재로 작품을 만들었다. 「이브」에서 「O」 시리즈까지 60년 세월 동안 작품 활동과 함께 많은 제자들을 길러내고 미술계의 발전을 이끌었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조각가 최만린의 가옥은 2018년 성북구의 노력으로 최만린 작품 100점을 전시하는 ‘최만린 미술관’으로 재탄생할 예정이다.
    정릉 마을 한 바퀴 주민실행위원회, 2017, 정릉 마을 한 바퀴, 116-117쪽
  • 성북구 정릉동 716-16. 살짝 비탈진 주택가 한가운데 마당 딸린 지상 2층짜리 적벽돌 건물이 있다. 원로 조각가 최만린(84)은 1988년부터 지난해까지 꼬박 30년을 이곳에서 지냈다. 최만린은 한국 근현대 조각, 특히 추상 조각 전개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온전한 형체는 사라진 채 거친 표면을 한 데뷔작 '이브'(1958)는 생명의 고통, 전후 사회의 절망 등을 드러내며 주목받았다. 최만린은 1960년대부터는 한국 조각의 정체성을 찾아내려 애썼다. 한자 서체를 형상화한 '천·지·현·황', 동양철학을 녹여낸 '천지'와 '일월', 생명 에너지를 분출한 '태'(胎) 등이 그 결과물이다. 최만린은 1987년부터 버림의 미학이 돋보이는 '○' 작업에 천착했다. 그 삶터이자 일터였던 정릉동 주택은 성북구립미술관 분관인 최만린미술관으로 탈바꿈했다. EMA건축사사무소가 1년여간 자택을 리모델링했다. (하략)

기술통제

  • 작성자: 오진아
  • 작성일: 2020-02-10

관련 마을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