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문동 지역은 단순히 서울로 편입된 것에 그치지 않았다. 돈암동, 성북동, 동선동, 삼선동, 안암동 일부 지역과 함께 ‘돈암지구’로 명명되어 제1차 토지구획정리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것이다. 토지구획정리사업은 일정한 지구 내 토지의 불규칙한 구획을 정리하고 공공시설물을 축조하여 토지의 효용성을 증진시키는 사업이다. 공사는 1937년부터 진행되었다. ‘경성시가지계획’과 ‘토지구획정리사업’은 같은 해 시작된 중일전쟁과, 이어지는 태평양 전쟁 등으로 계획대로 시행되지 못하였으나 돈암지구는 같이 1차 토지구획 정리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영등포지구(공업지구)와 함께 사업이 완료되었다. 지금 보문동의 길이 곧게 뻗은 것은 이때의 결과물이다. 부지 조성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1939년과 1940년 사이에 도시형 한옥들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사업은 원활히 이루어졌다. 1939년 8월 현재 동대문경찰서 건축계에는 매일 40여 건의 주택 신축원이 접수되었으며, 이런 추세는 1940년 말까지 계속되었다. 1940년 조선총독부가 〈택지건물등가격통제령〉을 발표하기 전까지 약 1,000호의 도시형 한옥이 들어섰다. 도시형 ‘한옥’이 건축된 것이 보여주듯 주민들을 대부분 조선인이었다. 본래 총독부는 돈암지구를 ‘근린주구’이면서 ‘내선인’ 혼주 지구로 계획했다. 하지만 내선인 혼주 지구 계획은 뜻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주택지는 일본식 주거에 맞춰 장방형으로 설계되었지만, 실제로 들어선 건물들은 조선식의 도시형 한옥이었다. 자연히 새로 유입된 사람들도 대부분 조선인이었다. 그 중에서도 이곳에 필지를 분양받고 한옥을 건축할 수 있는 중산층 이상이 거주하기 시작했다. 1942년 7월, 돈암, 안암, 신설정의 전체 인구는 6만 9,904명이었는데 이중 일본인은 1,001명(1.43%)에 지나지 않았다.
박수진, 백외준, 민문기, 김영미, 최호진, 최보민, 고종성, 김민성, 2017,
보문동∙안암동, 73-7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