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의 다리들
성북구에는 북악산에서 발원한 성북천, 북한산 정릉계곡에서 시작한 정릉천, 북한산 우이봉 아래에서 발원한 우이천이 흐르고 있습니다. 이전, 성북천와 정릉천을 중심으로 하천과 그 주변의 다양한 모습을 소개한 바 있습니다. 도시를 가로지르는 하천은 주민들에게 휴식을 제공해 주고, 때로는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때로는 아이들의 놀이터가 됩니다. 하천은 여러 기능을 맡는 동시에 자신을 중심으로 양옆을 나누어 놓기도 합니다. 우리는 나뉜 공간을 잇기 위해 다리를 놓아왔습니다. 다리를 놓음으로써 하천의 주변은 비로소 하나의 풍경이 됩니다. 우리 주변에는 오랫동안 사람을 이어주었던 다리들이 있습니다. 요즈음 다리에 걸린 현수막과 안내 전광판, 게시판은 물리적인 차원을 떠나 사람들의 마음까지 이어줍니다. 이름이 없는 다리부터 ‘도란도란교’와 같이 아기자기한 이름의 다리까지. 다양한 크기와 모습, 이름을 가진 다리들의 모습을 만나보세요.
  • 전체
  • 성북천
  • 정릉천
  • 우이천
  • 우이천 월계2교(1)
    시청각류
    우이천 월계2교(1)
    강북구과 성북구의 경계에 놓인 우이천의 월계2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 우이천 월계2교(2)
    시청각류
    우이천 월계2교(2)
    우이천 월계2교의 교명석이다. 월계2교는 강북구과 성북구의 경계에 놓인 우이천의 다리이다.
  • 우이천 월계2교(3)
    시청각류
    우이천 월계2교(3)
    우이천 월계2교의 설계 정보이다. 월계2교는 강북구과 성북구의 경계에 놓인 우이천의 다리이다.
  • 우이천 벼루말교(1)
    시청각류
    우이천 벼루말교(1)
    장위동 우이천의 벼루말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수위를 알아볼 수 있는 눈금자도 붙어있다. 벼루말교는 장월로에 있는 우이천의 다리이다.
  • 우이천 벼루말교(2)
    시청각류
    우이천 벼루말교(2)
    우이천 벼루말교의 교명석이다. 벼루말교는 장월로에 있는 우이천의 다리이다.
  • 우이천 벼루말교(3)
    시청각류
    우이천 벼루말교(3)
    우이천 벼루말교의 설계 정보이다. 벼루말교는 장월로에 있는 우이천의 다리이다.
  • 우이천 장월교(1)
    시청각류
    우이천 장월교(1)
    장위동 우이천의 장월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다리 주변에 벤치와 운동기구 등이 놓여있다. 장월교는 광운로에 있는 우이천의 다리이다.
  • 우이천 장월교(2)
    시청각류
    우이천 장월교(2)
    우이천 장월교의 교명석이다. 장월교는 광운로에 있는 우이천의 다리이다.
  • 우이천 장월교(3)
    시청각류
    우이천 장월교(3)
    우이천 장월교의 설계 정보이다. 장월교는 광운로에 있는 우이천의 다리이다.
  • 한천로96길의 우이천 다리
    시청각류
    한천로96길의 우이천 다리
    성북구 한천로96길과 노원구 광운로2길을 잇는 장위동 우이천의 작은 다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을 촬영한 당시(2024년 6월)에는 바로 옆에서 장위6구역 주택재개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 우이천 월계472교(1)
    시청각류
    우이천 월계472교(1)
    성북구와 노원구의 경계에 놓인 우이천에 있는 월계472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 우이천 월계472교(2)
    시청각류
    우이천 월계472교(2)
    우이천 월계472교의 교명석이다. 월계472교는 한천로96길에 있는 우이천의 다리이다.
  • 우이천 월계472교(3)
    시청각류
    우이천 월계472교(3)
    우이천 월계472교의 설계 정보이다. 월계472교는 한천로96길에 있는 우이천의 다리이다.
  • 우이천 월계472교(4)
    시청각류
    우이천 월계472교(4)
    우이천의 다리 월계472교에 붙은 성북구와 노원구의 방향을 알려주는 표지판이다.
  • 정릉시장  개울장 앞 풍경
    시청각류
    정릉시장 개울장 앞 풍경
    정릉시장에서 열리는 마을장터 '개울장'에 앞 정릉천에서 노는 아이들의 모습니다. [주민기록단 구정숙 작성]
  • (정릉시장) 정릉시장 오픈카카오톡 오픈 안내 현수막
    시청각류
    (정릉시장) 정릉시장 오픈카카오톡 오픈 안내 현수막
    2023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의 일환으로 촬영된 사진이다. 보국문로 11길 18-6에서 정릉천 다리에 있는 현수막을 촬영하였다.
  • 정릉천 다리를 자전거로 건너는 모습(1976)
    시청각류
    정릉천 다리를 자전거로 건너는 모습(1976)
    1976년에 촬영한 정릉천과 다리의 모습이다. 성북구청으로부터 제공받은 사진이다. 이 사진은 성북구청 개청 70주년 기념 온라인 사진전 '성북과 함께한 순간들'에도 공개되어 있다.
  • 정릉천 화랑교(1)
    시청각류
    정릉천 화랑교(1)
    종암동 정릉천의 화랑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아래로는 정릉천이, 위로는 북부간선도로와 내부순환도로 고가가 지나고 있다. 화랑교는 종암로30길과 화랑로를 잇는 정릉천의 다리이다.
  • 정릉천 화랑교(2)
    시청각류
    정릉천 화랑교(2)
    정릉천 화랑교의 교명석이다. 화랑교는 종암로30길과 화랑로를 잇는 정릉천의 다리이다.
  • 정릉천 장월1교(1)
    시청각류
    정릉천 장월1교(1)
    종암동 정릉천의 장월1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아래로 정릉천, 위로는 고가도로가 있고, 장월2교와 가깝다. 촬영 당시(2024년 6월) 장월1교 주변에는 월곡IC를 위한 공사가 진행 중이었다.
  • 정릉천 장월1교(2)
    시청각류
    정릉천 장월1교(2)
    정릉천 장월1교의 교명석이다. 장월1교는 종암로30길과 화랑로를 잇는 정릉천의 다리이다.
  • 정릉천 장월2교(1)
    시청각류
    정릉천 장월2교(1)
    종암동 정릉천의 장월2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아래로 정릉천, 위로는 고가도로가 있고, 장월1교와 가깝다. 장월2교는 종암로30길과 화랑로를 잇는 정릉천의 다리이다.
  • 정릉천 장월2교(2)
    시청각류
    정릉천 장월2교(2)
    정릉천 장월2교의 교명석이다. 장월2교는 종암로30길과 화랑로를 잇는 정릉천의 다리이다.
  • 정릉천 장월2교(3)
    시청각류
    정릉천 장월2교(3)
    정릉천 장월2교의 설계 정보와 관리부서 안내판이다. 장월2교는 종암로30길과 화랑로를 잇는 정릉천의 다리이다.
  • 정릉천 종월2교(1)
    시청각류
    정릉천 종월2교(1)
    종암동 정릉천의 종월2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긴 다리 아래로 운동기구 등의 시설이 놓여있고 위로는 내부순환도로 고가도로가 있다. 종월2교는 월곡로10길과 회기로5길을 잇는 정릉천의 다리이다.
  • 정릉천 종월2교(2)
    시청각류
    정릉천 종월2교(2)
    정릉천 종월2교의 교명석이다. 종월2교는 월곡로10길과 회기로5길을 잇는 정릉천의 다리이다.
  • 정릉천 종월2교(3)
    시청각류
    정릉천 종월2교(3)
    정릉천 종월2교의 설계 정보이다. 종월2교는 월곡로10길과 회기로5길을 잇는 정릉천의 다리이다.
  • 정릉천 종월교(1)
    시청각류
    정릉천 종월교(1)
    종암동 정릉천의 종월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위로 내부순환도로 고가도로가 지나고 있다.
  • 정릉천 종월교(2)
    시청각류
    정릉천 종월교(2)
    정릉천 종월교의 교명석이다. 종월교는 월곡로10길과 회기로5길을 잇는 정릉천의 다리이다.
  • 정릉천 종월교(3)
    시청각류
    정릉천 종월교(3)
    정릉천 종월교의 설계 정보이다. 종월교는 월곡로10길과 회기로5길을 잇는 정릉천의 다리이다.
  • 정릉천 종암대교(1)
    시청각류
    정릉천 종암대교(1)
    성북구과 동대문구의 경계에 놓인 정릉천의 종암대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위로 내부순환도로 고가도로가 지나고 있다.
  • 정릉천 종암대교(2)
    시청각류
    정릉천 종암대교(2)
    정릉천 종암대교의 교명석이다. 정릉대교는 월곡로10길과 고산자로60길 사이에서 회기로로 이어지는 다리이다.
  • 정릉천 종암대교(3)
    시청각류
    정릉천 종암대교(3)
    정릉천 종암대교의 설계 정보이다. 정릉대교는 월곡로10길과 고산자로60길 사이에서 회기로로 이어지는 다리이다.
  • 보국문로37길의 정릉천 다리
    시청각류
    보국문로37길의 정릉천 다리
    성북구 보국문로37길에 있는 정릉동 정릉천 다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아파트 입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산책로와 이어지지 않는다는 안내판이 있다.
  • 정릉천 청수2교(1)
    시청각류
    정릉천 청수2교(1)
    정릉동에 있는 정릉천 청수2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빌라와 빌라를 이어주는 청수2교는 보국문로37길에 있다.
  • 정릉천 청수2교(2)
    시청각류
    정릉천 청수2교(2)
    정릉천 청수2교의 교명석이다. 청수2교는 보국문로37길에 있는 정릉천의 다리이다.
  • 정릉천 청수2교(3)
    시청각류
    정릉천 청수2교(3)
    정릉천 청수2교의 설계 정보이다. 청수2교는 보국문로37길에 있는 정릉천의 다리이다.
  • 정릉천 청덕교(1)
    시청각류
    정릉천 청덕교(1)
    정릉동에 있는 정릉천 청덕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청덕교는 보국문로와 보국문로35길을 잇는 다리이다.
  • 정릉천 청덕교(2)
    시청각류
    정릉천 청덕교(2)
    정릉천 청덕교의 교명석이다. 청덕교는 보국문로와 보국문로35길을 잇는 다리이다.
  • 정릉천 청덕교(3)
    시청각류
    정릉천 청덕교(3)
    정릉천 청덕교의 준공일이 한자로 새겨져 있다. ‘1975년 5월 20일 준공’이라고 쓰여있다. 청덕교는 보국문로와 보국문로35길을 잇는 다리이다.
  • 정릉천 정릉771교
    시청각류
    정릉천 정릉771교
    정릉동에 있는 정릉천 정릉771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정릉771교는 보국문로29길과 보국문로 27길 사이에 있다.
  • 정릉천 청수1교(1)
    시청각류
    정릉천 청수1교(1)
    정릉동에 있는 정릉천 청수1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다리의 통과높이가 1.6M 가량 밖에 되지 않아 통행에 주의를 요한다. 청수1교는 보국문로27길에 있다.
  • 정릉천 청수1교(2)
    시청각류
    정릉천 청수1교(2)
    정릉천 청수1교의 교명석이다. 청수1교는 보국문로27길에 있다.
  • 정릉천 청수1교(3)
    시청각류
    정릉천 청수1교(3)
    정릉천 청수1교의 설계정보이다. 청수1교는 보국문로27길에 있다.
  • 정릉천 청수1교(4)
    시청각류
    정릉천 청수1교(4)
    정릉천 청수1교에 부착된 안내 표지판이다. 다리의 통과높이가 1.6M 가량 밖에 되지 않아 통행에 주의를 요한다.
  • 정릉천 극락교(1)
    시청각류
    정릉천 극락교(1)
    정릉동에 있는 정릉천 극락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보국문로 대로변과 경국사를 잇는 극락교는 연꽃 모양으로 장식되어 있다.
  • 정릉천 극락교(2)
    시청각류
    정릉천 극락교(2)
    정릉천 극락교의 교명석이다. 극락교는 보국문로 대로변과 경국사를 잇는다.
  • 정릉천 극락교(3)
    시청각류
    정릉천 극락교(3)
    정릉천 극락교의 준공일이 한자로 새겨져 있다. ‘불기 2525년 12월 8일 준공’이라고 쓰여있다. 극락교는 보국문로 대로변과 경국사를 잇는다.
  • 반야교
    장소
    반야교
    성북구 보국문로 113-10(정릉동 753)에 위치한 경국사 입구에 놓인 돌다리이다. 경국사 일주문 앞에 놓인 널찍한 다리를 건너다보면, 왼쪽으로 화강암을 다듬어 쌓은 작은 돌다리 하나가 보이는데 그 다리가 바로 반야교이다. 철제 난간만 최근에 새로 설치한 것일 뿐, 교각과 다리바닥의 매끈하지 않은 표면을 보면 석재를 다룬 솜씨가 오늘날의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는데, 1932년 황금정(지금의 을지로 일대)의 부호였던 이원우의 시주를 받아 중수한 것이다. 정릉동 일대에서 화강암을 채취하고 다듬었던 석공들의 흔적이 남아있는 유물이다.
  • 정릉천 반야교
    시청각류
    정릉천 반야교
    성북구 보국문로25길에 있는 반야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극락교 아래에 놓인 작은 다리는 주택가와 이어진다.
  • 정릉천 솔샘교(1)
    시청각류
    정릉천 솔샘교(1)
    정릉동에 있는 정릉천 솔샘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다리에 안내 전광판이 붙어있고, 주변으로 안내 게시판, 위치 및 이용 안내, 흡연 금지 안내판이 있다. 솔샘교는 솔샘로에 있는 다리로, 정릉4동주민센터사거리와 정릉굴다리 방향을 잇는다.
  • 정릉천 솔샘교(2)
    시청각류
    정릉천 솔샘교(2)
    정릉천 솔샘교의 교명석이다. 솔샘교는 솔샘로에 있는 다리로, 정릉4동주민센터사거리와 정릉굴다리 방향을 잇는다.
  • 정릉천 솔샘교(3)
    시청각류
    정릉천 솔샘교(3)
    정릉천 솔샘교의 설계 정보이다. 솔샘교는 솔샘로에 있는 다리로, 정릉4동주민센터사거리와 정릉굴다리 방향을 잇는다.
  • 정릉천 솔샘교 걷기 안내판
    시청각류
    정릉천 솔샘교 걷기 안내판
    정릉천 솔샘교에 붙어있다. 근처 다리, 화장실이나 북한산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표시 되어있는 안내판이다. 솔샘교는 솔샘로에 있는 다리로, 정릉4동주민센터사거리와 정릉굴다리 방향을 잇는다.
  • 보국문로 정릉천 다리
    시청각류
    보국문로 정릉천 다리
    성북구 보국문로에 있는 정릉동 정릉천에 있는 다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북한산보국문역 근처에 위치 해있으며 큰 도로와 골목을 이어주고 있다.
  • 정릉천 정릉308교(1)
    시청각류
    정릉천 정릉308교(1)
    정릉동에 있는 정릉천 정릉308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다리에 확성기와 현수막 등이 붙어있다. 정릉308교는 보국문로17길에 있다.
  • 정릉천 정릉308교(2)
    시청각류
    정릉천 정릉308교(2)
    정릉천 정릉308교의 교명판이다. 정릉308교는 보국문로17길에 있다.
  • 정릉천 예원빌라3교(1)
    시청각류
    정릉천 예원빌라3교(1)
    정릉동에 있는 정릉천 예원빌라3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다리를 장식하는 푸른 아치 위에 ‘개울장 정릉시장’이라고 쓰여있다. 예원빌라3교는 솔샘로18길에 있다.
  • 정릉천 예원빌라3교(2)
    시청각류
    정릉천 예원빌라3교(2)
    정릉천 예원빌라3교의 교명석이다. 예원빌라3교는 솔샘로18길에 있다.
  • 정릉천 예원빌라3교(3)
    시청각류
    정릉천 예원빌라3교(3)
    정릉천 예원빌라3교의 설계 정보이다. 예원빌라3교는 솔샘로18길에 있다.
  • 정릉천 청수교(1)
    시청각류
    정릉천 청수교(1)
    정릉동에 있는 정릉천 청수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현수막과 안내 전광판, 확성기 등이 설치되어있다. 청수교는 정릉시장 중앙, 보국문로11길과 정릉로23길 사이에 있다.
  • 정릉천 청수교(2)
    시청각류
    정릉천 청수교(2)
    정릉천 청수교의 설계 정보이다. 청수교는 정릉시장 중앙, 보국문로11길과 정릉로23길 사이에 있다.
  • 청수교(青水橋)~월암교(月岩橋) 86년까지 모두복개
    기타
    청수교(青水橋)~월암교(月岩橋) 86년까지 모두복개
    내용: 정릉천 복개 및 개발 계획에 대한 보도 기사. 신문명: 경향신문 발행일: 1984년 4월 30일 월요일. 발행 호수: 제11873호 판본: 2판 기사 위치: 10면 1단
  • 정릉천 개울다리(1)
    시청각류
    정릉천 개울다리(1)
    정릉동에 있는 정릉천 개울다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개울다리는 정릉로21가길과 정릉로23길을 잇는다.
  • 정릉천 개울다리(2)
    시청각류
    정릉천 개울다리(2)
    정릉천 개울다리의 교명석이다. 개울다리는 정릉로21가길과 정릉로23길을 잇는다.
  • 정릉천 개울다리(3)
    시청각류
    정릉천 개울다리(3)
    정릉천 개울다리의 설계 정보이다. 개울다리는 정릉로21가길과 정릉로23길을 잇는다.
  • 정릉로21가길의 정릉천 다리
    시청각류
    정릉로21가길의 정릉천 다리
    성북구 정릉로21가길과 23길을 잇는 정릉동 정릉천 다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다리 위에 의자가 있고 차양이 씌워져 있다. 개울다리와 가깝게 붙어있다. 다리 아래에는 여러 종류의 운동기구가 놓여있다.
  • 정릉천 늘푸른교(2)
    시청각류
    정릉천 늘푸른교(2)
    정릉동에 있는 정릉천 늘푸른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난간과 같은 색의 푸른 아치가 다리를 장식하고 있다. 늘푸른교는 정릉로와 보국문로 사이를 잇는다.
  • 정릉천 늘푸른교(3)
    시청각류
    정릉천 늘푸른교(3)
    정릉천 늘푸른교의 교명석이다. 늘푸른교는 정릉로와 보국문로 사이를 잇는다.
  • 정릉천 늘푸른교(4)
    시청각류
    정릉천 늘푸른교(4)
    정릉천 늘푸른교의 설계 정보이다. 늘푸른교는 정릉로와 보국문로 사이를 잇는다.
  • 정릉천 늘푸른교(1)
    시청각류
    정릉천 늘푸른교(1)
    정릉천 늘푸른교 모습이다. [주민기록단 구정숙 작성]
  • 정릉로의 정릉천 다리
    시청각류
    정릉로의 정릉천 다리
    성북구 정릉로에 있는 정릉동 정릉천 다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벽이 높고 내리막처럼 경사져 있다.
  • 정릉천 현진교(1)
    시청각류
    정릉천 현진교(1)
    정릉동에 있는 정릉천 현진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대로변과 아파트 사이를 잇는다. 현진교는 정릉로에 있다.
  • 정릉천 현진교(2)
    시청각류
    정릉천 현진교(2)
    정릉천 현진교의 교명판이다. 현진교는 정릉로에 있다.
  • 정릉천 현진교(3)
    시청각류
    정릉천 현진교(3)
    정릉천 현진교의 설계 정보이다. 현진교는 정릉로에 있다.
  • 정릉천 정릉16교(1)
    시청각류
    정릉천 정릉16교(1)
    정릉동에 있는 정릉천 정릉16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현진교와 아주 가깝게 놓여있다. 정릉16교는 정릉로에 있다.
  • 정릉천 정릉16교(2)
    시청각류
    정릉천 정릉16교(2)
    정릉천 정릉16교의 교명판이다. 정릉16교는 정릉로에 있다.
  • 정릉천 정릉16교(3)
    시청각류
    정릉천 정릉16교(3)
    정릉천 정릉16교의 설계 정보이다. 정릉16교는 정릉로에 있다.
  • 길음교
    장소
    길음교
    동소문로의 미아리고개를 넘어 돈암동과 길음동을 연결하는 다리이다. 처음 만들어진 시기는 1934년으로, 시멘트로 만들어진 교량이라는 의미로 ‘양회다리’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의정부나 포천 등지에서 서울로 들어오는 연결로인 미아로를 따라 건립되어 서울입성관문으로서의 역할을 했으며, 미아리에 공동묘지가 있던 시절에는 상여가 다니는 길목으로도 이용되었다. 이후 1976년 한 차례 보수되었고, 통행량이 많아짐에 따라 전면 확장공사를 벌여 폭 35m, 길이 45m로 1989년 준공되었다.
  • 길음교 사거리
    시청각류
    길음교 사거리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수집한 길음교 사거리의 사진이다. 이 사진은 1995 서울시 사진기록화사업의 일환으로 촬영되었다.
  • 길음교(1)
    시청각류
    길음교(1)
    미아리고개를 넘어 정릉천 위를 길음교가 연결하고 있다. 건립초기부터 석회로 만들어져 '양회다리'로 불려온 길음교는, 의정부나 포천 등지에서 서울로 들어오는 연결로인 미아로를 따라 건립되어 서울입성관문으로의 역할을 했다. 공동묘지가 있던 시절에는 상여가 다니는 길목으로도 이용된 길음교는 '양회다리', '인수교' 등으로 불리우다 1975년 현 길음1동이 길음동으로 명명되면서 '길음교'라 불리게 되었다. 『사진으로 담은 길음동』(2010), 216쪽[서울역사아카이브 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 내용 인용]
  • 길음교(2)
    시청각류
    길음교(2)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수집한 길음교 사진이다. 이 사진은 2010 서울시 사진기록화사업의 일환으로 촬영되었다.
  • 길음교 부근 (1)
    시청각류
    길음교 부근 (1)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수집한 길음교 부근 사진이다. 이 사진은 2000 서울시 사진기록화사업의 일환으로 촬영되었다.
  • 길음교 부근(2)
    시청각류
    길음교 부근(2)
    길음교와 그 주변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뒤쪽으로 길음동 삼부아파트의 모습도 함께 촬영되었다. 이 사진은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수집하였으며, 1995 서울시 사진기록화사업의 일환으로 촬영되었다.
  • 길음교 부근(3)
    시청각류
    길음교 부근(3)
    길음교 부근 모습을 정릉동 방향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이 사진은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수집하였으며, 1995 서울시 사진기록화사업의 일환으로 촬영되었다.
  • 길음교 부근(4)
    시청각류
    길음교 부근(4)
    길음교 부근 모습을 정릉동 방향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이 사진은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수집하였으며, 1995 서울시 사진기록화사업의 일환으로 촬영되었다.
  • 길음교 일대
    시청각류
    길음교 일대
    길음교에서 바라본 내부순환로와 정릉동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 길음교 인근 전경
    시청각류
    길음교 인근 전경
    길음교에서 길음교사거리 일대의 모습을 촬영한 타임랩스 영상이다. 촬영 형식: 삼각대 고정 영상 길이: 1분 41초 영상 속도: 15배속
  • 길음교 보수공사 현장(1)
    시청각류
    길음교 보수공사 현장(1)
    길음교 보수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현장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 길음교 보수공사 현장(2)
    시청각류
    길음교 보수공사 현장(2)
    길음교 보수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현장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 길음교 보수공사 현장(3)
    시청각류
    길음교 보수공사 현장(3)
    길음교 보수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현장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 길음교 보수공사 현장(4)
    시청각류
    길음교 보수공사 현장(4)
    길음교 보수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현장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 길음교 보수공사 현장(5)
    시청각류
    길음교 보수공사 현장(5)
    길음교 보수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현장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 길음교 보수공사 현장(6)
    시청각류
    길음교 보수공사 현장(6)
    길음교 보수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현장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 길음교 보수공사 현장(7)
    시청각류
    길음교 보수공사 현장(7)
    길음교 보수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현장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1)
    시청각류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1)
    길음교-월암교간 도로개설공사 기공식이 열려 구자춘 서울시장이 참석하였다. 서울시가 2억원의 공사비를 투입하여 착공하는 석관동-월암교 도로가 준공되면서 이 지역의 교통이 원활해졌다. (내용출처: 경향신문, 1976.06.19., 7면)[서울사진아카이브 상세설명 인용]
  •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2)
    시청각류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2)
    길음교-월암교간 도로개설공사 기공식이 열려 구자춘 서울시장이 참석하였다. 서울시가 2억원의 공사비를 투입하여 착공하는 석관동-월암교 도로가 준공되면서 이 지역의 교통이 원활해졌다. (내용출처: 경향신문, 1976.06.19., 7면)[서울사진아카이브 상세설명 인용]
  •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3)
    시청각류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3)
    길음교-월암교간 도로개설공사 기공식이 열려 구자춘 서울시장이 참석하였다. 서울시가 2억원의 공사비를 투입하여 착공하는 석관동-월암교 도로가 준공되면서 이 지역의 교통이 원활해졌다. (내용출처: 경향신문, 1976.06.19., 7면)[서울사진아카이브 상세설명 인용]
  •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4)
    시청각류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4)
    길음교-월암교간 도로개설공사 기공식이 열려 구자춘 서울시장이 참석하였다. 서울시가 2억원의 공사비를 투입하여 착공하는 석관동-월암교 도로가 준공되면서 이 지역의 교통이 원활해졌다. (내용출처: 경향신문, 1976.06.19., 7면)[서울사진아카이브 상세설명 인용]
  •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5)
    시청각류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5)
    길음교-월암교간 도로개설공사 기공식이 열려 구자춘 서울시장이 참석하였다. 서울시가 2억원의 공사비를 투입하여 착공하는 석관동-월암교 도로가 준공되면서 이 지역의 교통이 원활해졌다. (내용출처: 경향신문, 1976.06.19., 7면)[서울사진아카이브 상세설명 인용]
  •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6)
    시청각류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6)
    길음교-월암교간 도로개설공사 기공식이 열려 구자춘 서울시장이 참석하였다. 서울시가 2억원의 공사비를 투입하여 착공하는 석관동-월암교 도로가 준공되면서 이 지역의 교통이 원활해졌다. (내용출처: 경향신문, 1976.06.19., 7면)[서울사진아카이브 상세설명 인용]
  •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7)
    시청각류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7)
    길음교-월암교간 도로개설공사 기공식이 열려 구자춘 서울시장이 참석하였다. 서울시가 2억원의 공사비를 투입하여 착공하는 석관동-월암교 도로가 준공되면서 이 지역의 교통이 원활해졌다. (내용출처: 경향신문, 1976.06.19., 7면)[서울사진아카이브 상세설명 인용]
  •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8)
    시청각류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8)
    길음교-월암교간 도로개설공사 기공식이 열려 구자춘 서울시장이 참석하였다. 서울시가 2억원의 공사비를 투입하여 착공하는 석관동-월암교 도로가 준공되면서 이 지역의 교통이 원활해졌다. (내용출처: 경향신문, 1976.06.19., 7면)[서울사진아카이브 상세설명 인용]
  •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9)
    시청각류
    길음교-월암교간 도로 기공식(9)
    길음교-월암교간 도로개설공사 기공식이 열려 구자춘 서울시장이 참석하였다. 서울시가 2억원의 공사비를 투입하여 착공하는 석관동-월암교 도로가 준공되면서 이 지역의 교통이 원활해졌다. (내용출처: 경향신문, 1976.06.19., 7면)[서울사진아카이브 상세설명 인용]
  • 길음교 부근 내부순환도로 공사
    시청각류
    길음교 부근 내부순환도로 공사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수집한 길음교 부근 내부순환도로 공사 당시 사진이다. 이 사진은 1995 서울시 사진기록화사업의 일환으로 촬영되었다.
  • 월곡동
    장소
    월곡동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위치한 행정구역인 동의 하나이다. 월곡동은 현재 하월곡동에 있는 천장산의 형세가 마치 반달과 같다고 하여 그 산 근방에 있는 마을을 다릿골‧다릿굴이라 부르는 데서 유래했다. 이 중 위쪽을 ‘웃다릿골‧웃다릿굴’, 아래쪽을 ‘아래다릿골‧아래다릿굴’이라 했는데, 이것이 지금의 상월곡동과 하월곡동이 되었다고 한다. 서울로 편입되기 전 상월곡동에 살던 주민들은 주로 농사를 지으며 살았으나 서울로 편입된 후, 인구의 팽창으로 농지로 사용되던 곳이 점점 주택가로 변했다. 서울의 외곽이었던 이 곳에는 서울 내의 철거민들이 몰려들어 살았는데, 1960년대 이후에는 재개발되어 주택단지들이 본격적으로 들어서게 되었다.
  • 상월곡동
    장소
    상월곡동
    성북구 동쪽에 위치한 동네이다. 상월곡동은 법정동으로, 행정동제 개편 이후 현재 월곡2동에 포함되어 있다. ‘월곡’이란 이름은 천장산의 모습이 마치 반달 같다 하여 그 산 주변 마을을 다릿굴(골)이라고 불렀는데, 이 중 높은 지역을 웃다리골(상월곡리), 아래 지역을 아랫다릿골(하월곡리)이라 불렀다. 조선시대부터 월곡리라는 이름은 있었고, 해방 후 1949년 성북구가 신설될 때 성북구 관할이 되면서 상·하월곡리로 분리되었다. 원래 이 지역은 농지가 많은 시골 마을이었으나 서울의 인구가 늘면서 유입되는 인구가 늘어나고, 1960년대부터는 도심지의 철거민이 집단 이주하면서 주거지역으로 변모하였다. 현재는 동네정비와 재개발이 진행되고, 천장산을 중심으로 산책로와 운동 시설이 마련되어 쾌적한 주거환경을 갖추고 있다.
  • 하월곡동
    장소
    하월곡동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위치한 행정구역인 동의 하나이다. 월곡동은 현재 하월곡동에 있는 천장산의 형세가 마치 반달과 같다고 하여 그 산 근방에 있는 마을을 다릿굴‧다릿골이라 부르는 데서 유래했다. 다릿굴‧다릿골 중 위쪽을 ‘웃다릿굴‧웃다릿골’, 아래쪽을 ‘아래다릿굴‧아래다릿골’이라 했는데, 이것이 지금의 상월곡동과 하월곡동이 되었다고 한다. 다른 전설은 이곳에 주막이 많았는데, 지방에서 달밤에 도착해서 숙박을 하고 아직 달이 채 지지않은 새벽 무렵에 일어나 흥정했다고 월곡이라 했다고도 한다.
  • 성북동 쌍다리 풍경
    시청각류
    성북동 쌍다리 풍경
    한국저작권위원회 공유마당 홈페이지에서 수집한 성기점의 「성북동 쌍다리 풍경」이다. 쌍다리는 지금의 덕수교회(이종석 별장),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구 본원, 성북구립미술관, 수연산방(상허 이태준 가옥) 등이 마주보고 있는 지점에 놓여 있던 나무다리와 돌다리이다.
  • 쌍다리
    장소
    쌍다리
    성북천에 있었던 다리이다. 간송미술관 앞을 지나면서 도로는 2차선으로 좁혀지고 ‘쌍다리’라고 하는 곳이 나온다. 덕수교회(이종석 별장),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구 본원, 성북구립미술관, 수연산방(상허 이태준 가옥) 등이 마주 보고 있는 이곳에는 복개 전 성북천 위로 두 개의 다리가 놓여 있었다고 한다. 아래쪽은 돌다리, 위쪽은 나무다리였다. 1970년대 철근으로 만든 다리로 바뀌었다가 1980년대 성북천의 복개로 철거되었다. 지금은 ‘쌍다리’라는 지명만이 남아 버스 정류장명과 상호명으로 사용되고 있다.
  • 운수교
    장소
    운수교
    성북구 성북동 60번지 부근에 놓였던 다리이다. 운수동(雲水洞) 앞에 놓인 다리라 하여 운수교라고 불렀다는 기록이 1966년 발간된 『한국지명총람』에 기술되어 있는데, 복개공사로 인해 현재 철거되었다. 1970년 이 다리를 기준으로 하류 쪽을 성북 제1동, 상류 쪽을 성북 제2동으로 구분하여 관할하였다.
  • 삼선교
    장소
    삼선교
    성북천에 있었던 콘크리트 다리이다. 삼선교라는 이름은 삼선평에서 따온 것으로, 동소문동과 성북동, 삼선동의 경계가 되는 동소문로에 놓여있었다. 혜화동 고개 넘어 삼선교와 돈암동 옛 전차 종점을 거쳐 미아리고개로 이어지는 도로는 강북과 도심을 잇는 주요 교통로였다. 성북천이 복개되고 삼선시장과 상가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사라지게 되었지만, 지명으로 계속해서 사용되고 있다. 성북구에는 조선시대 5군영의 하나인 어영청과 대한제국 친위대의훈련장이 있었는데 지금의 삼선교 근처(삼선평)에 위치했다. 의병투쟁과 무장독립운동에 참여했던 김규식, 나중소와 같은 군인들이 삼선평 인근에 다수 거주했다.
  • 삼선평과 삼선교 표지석(1)
    시청각류
    삼선평과 삼선교 표지석(1)
    하나은행 삼선교지점 앞에 위치한 삼선평과 삼선교 표지석이다.
  • 삼선평과 삼선교 표지석(2)
    시청각류
    삼선평과 삼선교 표지석(2)
    하나은행 삼선교지점 앞에 위치한 삼선평과 삼선교 표지석이다.
  • 성북천 삼선교(1)
    시청각류
    성북천 삼선교(1)
    성북천이 복개가 끝나는 지점인 삼선교이다. 한성대입구역은 삼선교역으로도 불렸다. 그 말처럼 한성대입구역 바로 앞에 위치해있다. 삼선교 위는 분수광장으로 꾸며져 있으며, 다양한 행사들이 진행되기도 한다. 삼선교는 삼선교로와 동소문로 사이에 있다.
  • 성북천 삼선교(2)
    시청각류
    성북천 삼선교(2)
    성북천 삼선교의 안내판이다. 삼선교는 삼선교로와 동소문로 사이에 있다.
  • 동소문로2길 27
    시청각류
    동소문로2길 27
    성북천변 동소문로2길 27에 위치한 상점들의 모습이다.
  • 김재황 집터
    시청각류
    김재황 집터
    돈암동에 거주한 독립운동가 김재황의 집터로 추정되는 장소이다. 성북천이 한성대입구역쪽으로 접어들면서 꺽이는 곳으로 지금은 많은 음식점들이 늘어서 있다.
  • 성북천 도란도란교(1)
    시청각류
    성북천 도란도란교(1)
    삼선동에 있는 성북천 도란도란교(도란도란다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바로 근처에는 꽃 모형이 장식되어 있다. 도란도란교는 삼선교로와 동소문로2길을 잇는다.
  • 성북천 도란도란교(2)
    시청각류
    성북천 도란도란교(2)
    성북천 도란도란교(도란도란다리)의 안내판이다. 도란도란교는 삼선교로와 동소문로2길을 잇는다.
  • 성북천 도란도란교(3)
    시청각류
    성북천 도란도란교(3)
    성북천 도란도란교(도란도란다리)의 교명판이다. 도란도란교는 삼선교로와 동소문로2길을 잇는다.
  • 삼선동 희망의 다리에서 본 성북천 풍경 그림
    시청각류
    삼선동 희망의 다리에서 본 성북천 풍경 그림
    동덕여자대학교 학생들과 함께 진행한 <삼선동 일대 그리기>의 일환으로 제작된 그림이다. 삼선동 희망의 다리에서 성신여대입구역 방향으로 바라 본 성북천 일대의 모습을 마카와 플러스펜으로 표현했다.
  • 성북천 희망의 다리(1)
    시청각류
    성북천 희망의 다리(1)
    삼선동에 있는 성북천 희망의 다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석재로 되어있는 희망의 다리는 삼선골목시장과 한성대학교 방면을 이어준다. 희망의 다리는 동소문로6길에 있다.
  • 성북천 희망의 다리(2)
    시청각류
    성북천 희망의 다리(2)
    성북천 희망의 다리의 안내판이다. 희망의 다리는 동소문로6길에 있다.
  • 성북천 희망의 다리(3)
    시청각류
    성북천 희망의 다리(3)
    성북천 희망의 다리의 교명석이다. 희망의 다리는 동소문로6길에 있다.
  • 성북천 희망의 다리(4)
    시청각류
    성북천 희망의 다리(4)
    성북천 희망의 다리의 설계 정보이다. 희망의 다리는 동소문로6길에 있다
  • 성북천 늘벚다리(1)
    시청각류
    성북천 늘벚다리(1)
    삼선동에 있는 성북천 늘벚다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다리 아래에 박민철 작가의 ‘송사리의 여정’이 걸려있다. ‘송사리의 여정’은 2012 마을미술프로젝트로 제작되었다. 또, 작은 운동기구, 어린이 목마와 같은 시설들이 자리 잡고 있다. 늘벚다리는 동소문로8길에 있다.
  • 성북천 늘벚다리(2)
    시청각류
    성북천 늘벚다리(2)
    성북천 늘벚다리의 안내판이다. 늘벚다리는 동소문로8길에 있다.
  • 성북천 늘벚다리(3)
    시청각류
    성북천 늘벚다리(3)
    성북천 늘벚다리의 교명석이다. 늘벚다리는 동소문로8길에 있다.
  • 성북천 늘벚다리(4)
    시청각류
    성북천 늘벚다리(4)
    성북천 늘벚다리의 설계 정보이다. 늘벚다리는 동소문로8길에 있다.
  • 성북천 물빛다리(1)
    시청각류
    성북천 물빛다리(1)
    삼선동에 있는 성북천 물빛다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안내 현수막과 시계가 설치되어 있다. 다리 아래에는 벤치와 운동기구들이 놓여있다. 물빛다리는 동소문로10길에 있다.
  • 성북천 물빛다리(2)
    시청각류
    성북천 물빛다리(2)
    성북천 물빛다리의 안내판이다. 물빛다리는 동소문로10길에 있다.
  • 성북천 물빛다리(3)
    시청각류
    성북천 물빛다리(3)
    성북천 물빛다리의 교명석이다. 물빛다리는 동소문로10길에 있다.
  • 성북천 물빛다리(4)
    시청각류
    성북천 물빛다리(4)
    성북천 물빛다리의 설계 정보이다. 물빛다리는 동소문로10길에 있다.
  • 성북천(삼선동 부근)(2)
    시청각류
    성북천(삼선동 부근)(2)
    성북3교 부근에서 한빛다리 방향으로 촬영한 성북천 사진이다.
  • 성북천 한빛다리(1)
    시청각류
    성북천 한빛다리(1)
    삼선동에 있는 성북천 한빛다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물결과 같이 화려한 모습이다. 한빛다리는 보문로37길과 보문로39길을 잇는다.
  • 성북천 한빛다리(2)
    시청각류
    성북천 한빛다리(2)
    성북천 한빛다리의 안내판이다. 한빛다리는 보문로37길과 보문로39길을 잇는다.
  • 성북천 한빛다리(3)
    시청각류
    성북천 한빛다리(3)
    성북천 한빛다리의 교명판이다. 한빛다리는 보문로37길과 보문로39길을 잇는다.
  • 성북천 성북3교(1)
    시청각류
    성북천 성북3교(1)
    삼선동에 있는 성북천 성북3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다리 위는 왕복 5차선의 큰 도로이고, 성북구청 입구 사거리와 삼선동 주민센터 방향을 잇는다. 성북3교는 보문로에 있다.
  • 성북천 성북3교(2)
    시청각류
    성북천 성북3교(2)
    성북천 성북3교의 안내판이다. 성북3교는 보문로에 있다.
  • 성북3교 교명판
    시청각류
    성북3교 교명판
    성북3교는 성북구청입구교차로에서 삼선동주민센터 혹은 성북구청 방향으로 성북천을 가로지르는 다리이다. 성북천이 복개·복원의 과정을 겪기 이전에 '돈암교'로 불리던 다리가 있었던 위치로 추정된다.
  • 성북3교 설명판
    시청각류
    성북3교 설명판
    성북3교는 성북구청입구교차로에서 삼선동주민센터 혹은 성북구청 방향으로 성북천을 가로지르는 다리이다. 성북천이 복개·복원의 과정을 겪기 이전에 '돈암교'로 불리던 다리가 있었던 위치로 추정된다.
  • 성북천 풍경(7)
    시청각류
    성북천 풍경(7)
    서울연구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한 성북천 풍경 사진이다. 이 사진은 서울경관기록화의 일환으로 촬영되었다.
  • 성북천 여울다리(1)
    시청각류
    성북천 여울다리(1)
    삼선동에 있는 성북천 여울다리를 촬영한 사진이다. 아치 모양의 다리 아래에 머리조심 안내판이 함께 붙어있다. 여울다리는 보문로36길과 보문로38길을 잇는다.
  • 성북천 여울다리(2)
    시청각류
    성북천 여울다리(2)
    성북천 여울다리의 안내판이다. 머리조심 경고판이 함께 붙어있다. 여울다리는 보문로36길과 보문로38길을 잇는다.
  • 삼선동 하늘다리(1)
    시청각류
    삼선동 하늘다리(1)
    성북경찰서 앞에서 바라 본 성북천 하늘다리의 모습이다. 박완서의 소설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를 보면, "집에서 성북경찰서까지는 골목을 나가서 신안탕 앞에서 꺾여서 천변을 끼고 2백 미터쯤 가다가 널찍한 양회다리만 건너면 곧이었다." 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 내용으로 미루어 보아 사진 속 다리의 위치가 소설 속 양회다리의 위치인 것으로 추정된다.
  • 삼선동 하늘다리(2)
    시청각류
    삼선동 하늘다리(2)
    성북천 하늘다리 설계 관련 정보이다. 하늘다리는 성북경찰서 부근에 위치하여 돈암동성당 방향으로 성북천을 가로지르는 다리로, 성북천이 복개되었다가 다시 복원되면서 설계되었다.
  • 삼선동 하늘다리(3)
    시청각류
    삼선동 하늘다리(3)
    성북천 하늘다리의 교명판이다. 하늘다리는 성북경찰서 부근에 위치하여 돈암동성당 방향으로 성북천을 가로지르는 다리로, 성북천이 복개되었다가 다시 복원되면서 설계되었다.
  • 삼선동 하늘다리(4)
    시청각류
    삼선동 하늘다리(4)
    성북경찰서와 성북구청의 모습이 함께 담긴 성북천 하늘다리 사진이다. 박완서의 소설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를 보면, "집에서 성북경찰서까지는 골목을 나가서 신안탕 앞에서 꺾여서 천변을 끼고 2백 미터쯤 가다가 널찍한 양회다리만 건너면 곧이었다." 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 내용으로 미루어 보아 사진 속 다리의 위치가 소설 속 양회다리의 위치인 것으로 추정된다.
  • 삼선동 하늘다리(5)
    시청각류
    삼선동 하늘다리(5)
    성북경찰서와 성북구청의 모습이 함께 담긴 성북천 하늘다리 사진이다. 박완서의 소설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를 보면, "집에서 성북경찰서까지는 골목을 나가서 신안탕 앞에서 꺾여서 천변을 끼고 2백 미터쯤 가다가 널찍한 양회다리만 건너면 곧이었다." 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 내용으로 미루어 보아 사진 속 다리의 위치가 소설 속 양회다리의 위치인 것으로 추정된다.
  • 성북천 바람마당교(1)
    시청각류
    성북천 바람마당교(1)
    동선동에 있는 성북천 바람마당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성북구청 바로 앞에 있는 다리 위는 광장처럼 꾸며져 있다. 다리에는 현수막과 시계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마당교는 보문로34길에 있다.
  • 성북천 바람마당교(2)
    시청각류
    성북천 바람마당교(2)
    성북천 바람마당교의 안내판이다. 바람마당교는 보문로34길에 있다.
  • 성북천 바람마당교 옆 걷기 안내도
    시청각류
    성북천 바람마당교 옆 걷기 안내도
    성북천 바람마당교 밑에 위치한 성북천의 걷기 안내도이다. 현 위치인 바람마당교를 기점으로 소요 시간과 칼로리 등의 정보가 쓰여있다. 바람마당교는 보문로34길에 있다.
  • 성북천 보문2교(1)
    시청각류
    성북천 보문2교(1)
    동선동에 있는 성북천 보문2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경동고교 입구 사거리와 성신여자대학교 방면을 잇는다. 보문2교는 보문로30길에 있다.
  • 성북천 보문2교(2)
    시청각류
    성북천 보문2교(2)
    성북천 보문2교 안내판이다. 보문2교는 보문로30길에 있다.
  • 성북천 보문2교(3)
    시청각류
    성북천 보문2교(3)
    성북천 보문2교의 교명석이다. 보문2교는 보문로30길에 있다.
  • 성북천 보문2교(4)
    시청각류
    성북천 보문2교(4)
    성북천 보문2교의 설계 정보이다. 보문2교는 보문로30길에 있다.
  • 성북천 용문교(1)
    시청각류
    성북천 용문교(1)
    안암동에 있는 성북천 용문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아파트 단지와 안암초등학교 방면을 잇는다. 다리 아래에는 벤치와 운동기구가 놓여있다. 용문교는 고려대로5길과 고려대로7길을 잇는다.
  • 성북천 용문교(2)
    시청각류
    성북천 용문교(2)
    성북천 용문교의 교명석이다. 용문교는 고려대로5길과 고려대로7길을 잇는다.
  • 성북천 보문3교(1)
    시청각류
    성북천 보문3교(1)
    안암동에 있는 성북천 보문3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보문역과 보문3교 사거리를 잇는 왕복 5차선 다리이다. 우천시 대피안내 안내판이 붙어있다. 보문3교는 고려대로에 있다.
  • 성북천 보문3교(2)
    시청각류
    성북천 보문3교(2)
    성북천 보문3교의 안내판이다. 보문3교는 고려대로에 있다.
  • 성북천 보문3교(3)
    시청각류
    성북천 보문3교(3)
    성북천 보문3교의 교명석이다. 보문3교는 고려대로에 있다.
  • 성북천 보문3교(4)
    시청각류
    성북천 보문3교(4)
    성북천 보문3교의 설계 정보이다. 보문3교는 고려대로에 있다.
  • 성북천 보문4교(1)
    시청각류
    성북천 보문4교(1)
    안암동에 있는 성북천 보문4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보문로와 고려대로 사이를 잇는다. 다리에는 시계가 붙어있고, 아래에 운동기구와 벤치가 놓여있다. 보문4교는 보문로22길에 있다.
  • 성북천 보문4교(2)
    시청각류
    성북천 보문4교(2)
    성북천 보문4교의 안내판이다. 보문4교는 보문로22길에 있다.
  • 성북천 보문4교(3)
    시청각류
    성북천 보문4교(3)
    성북천 보문4교의 교명석이다. 보문4교는 보문로22길에 있다.
  • 성북천 보문4교(4)
    시청각류
    성북천 보문4교(4)
    성북천 보문4교의 설계 정보이다. 보문4교는 보문로22길에 있다.
  • 성북천 안암교(1)
    시청각류
    성북천 안암교(1)
    안암동에 있는 성북천 안암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다리에 전광판과 조명, 시계가 붙어있고, 성북구 소식 알림판도 함께 놓여있다. 안암교는 보문로18길에 있다.
  • 성북천 안암교(2)
    시청각류
    성북천 안암교(2)
    성북천 안암교의 안내판이다. 안암교는 보문로18길에 있다.
  • 성북천 안암교(3)
    시청각류
    성북천 안암교(3)
    성북천 안암교의 교명석이다. 안암교는 보문로18길에 있다.
  • 성북천 보문1교 아래
    시청각류
    성북천 보문1교 아래
    성북구 보문동 보문1교 아래 성북천의 모습이다. 옆에 위치한 성북천 산책로에는 3.1만세운동 기념벽화가 있으며, 보문1교 부근에는 성북동주민센터가 위치하고 있다.
  • 성북천 보문1교(1)
    시청각류
    성북천 보문1교(1)
    보문동에 있는 성북천 보문1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다리 아래에 운동기구와 벤치가 놓여있다. 보문1교는 보문로14길에 있다.
  • 성북천 보문1교(2)
    시청각류
    성북천 보문1교(2)
    성북천 보문1교의 안내판이다. 보문1교는 보문로14길에 있다.
  • 성북천 보문1교(3)
    시청각류
    성북천 보문1교(3)
    성북천 보문1교의 교명석이다. 보문1교는 보문로14길에 있다.
  • 보문제1교에서 바라 본 성북천과 북한산
    시청각류
    보문제1교에서 바라 본 성북천과 북한산
    보문제1교 위에서 촬영한 성북천 사진이다. 사진에 보이는 다리는 안암교이며, 멀리 북한산이 보인다.
  • 성북천 안암2교(1)
    시청각류
    성북천 안암2교(1)
    성북구과 동대문구의 경계에 놓인 성북천의 안암2교를 촬영한 사진이다. 안암2교는 안암로에 있다.
  • 성북천 안암2교(2)
    시청각류
    성북천 안암2교(2)
    성북구과 동대문구의 경계에 놓인 성북천의 안암2교의 안내판이다. 안암2교는 안암로에 있다.
  • 성북천 안암2교(3)
    시청각류
    성북천 안암2교(3)
    성북구과 동대문구의 경계에 놓인 성북천의 안암2교의 교명석이다. 안암2교는 안암로에 있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