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소
- 6호선 안암역
- 성북구 안암동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6호선은 서울시 제2기 지하철 건설계획에 포함되어 1994년 1월 8일 착공하여 1998년까지 완공할 계획으로 추진되었으나 IMF의 여파로 공사 기간이 연장되었다. 이에 따라 봉화산역에서 상월곡역까지의 1차 공사는 2000년 8월 7일에, 상월곡역부터 응암역까지의 2차 공사는 같은 해 12월 15일에 완료되어 개통되었다. 안암역은 2차 개통 구간에 포함되는 곳으로 2000년 12월 15일에 개통되었다. 안암동 일대는 도로가 협소하고 교통 환경이 열악했으나 지하철 6호선의 개통으로 교통 환경이 개선되었다. 안암역은 지하 3층의 규모로 연면적은 8,300.81㎡이다. 설계는 (주)건축사 사무소 시공동인 측에서 담당하였고 시공자로는 (주)쌍용건설과 (주)현대산업개발이 참여하였다. 지하 1층과 2층은 대합실과 상업 용도로 이용되며, 지하 3층에 승강장이 들어서 있다.
-
-
장소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안암로 145 (안암동5가 126-28)에 위치한 연구기관이다. 고려대학교 부설연구소로, 1957년에 설치되었다. 당시에는 '한국고전국역위원회'라는 이름으로 개소하였으나 1963년 '민족문화연구소'로 개칭되었고 시인이자 고려대학교 교수였던 조지훈이 초대 소장으로 취임하였다. 1997년 11월에 '민족문화연구원'으로 승격되고 6개의 산하연구소 및 한국학도서관·정보센터가 설치되어 현재에 이른다. 한국학 및 한국문화 연구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
장소
- 성모의 집 공부방 지역아동센터
- 보국문로29가길 24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이다. '영원한도움의성모수도회'에서 운영하는 곳으로 1990년 12월부터 지역사회 아동들에게 공부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시작되었다. 공부방의 위치는 북한산 자락 밑, 정릉골로 정릉3동과 4동 지역의 초등학교, 중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학습능력의 증진, 올바른 청소년기 성장, 아이들 생활환경의 자발적 개선에 이바지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처음에는 60여명의 아동들이 함께 하였으나 2006년, 지역아동센터로 정식 등록이 되면서 정원 19명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한부모가정, 조손부모가정, 다문화가정, 다자녀가정, 맞벌이가정 등 돌봄이 필요한 가정의 아이들을 위한 공간으로 자원봉사자와 외부강사들이 학습지도 및 문화체험을 지원한다. [성모의 집 공부방 지역아동센터 홈페이지 참고]
-
-
장소
- 삼선불학승가대학원
- 성북구 동소문로26마길 40에 있는 종교시설이자 교육기관이다. 승려 지광이 서울에서 통학하던 학인을 위해 의정부에 있던 강원을 서울 삼선교 사거리로 옮겨 1979년 3월 1일 강원(삼선승가대학)과 함께 삼선포교원을 함께 개원하였다. 1983년 지금의 자리로 이전하였고, 매년 10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1994년에는 종단개혁 당시 비구니 개혁모임인 ‘정혜도량’이 삼선포교원에서 출범하였다. 삼선승가대학은 여승교육의 한 축을 담당하였으나 2014년 졸업생을 끝으로 문을 닫았다. 이 과정에서 졸업 동문들이 삼선승가대학의 학맥을 잇고 도심 속 교육도량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힘썼고, 같은 해 3월 조계종교육원으로 인가받아 개방형 전문교육기관인 삼선불학승가대학원으로 다시 문을 열게 되었다.
-
-
장소, 인물
- 서울석관초등학교
- 성북구 돌곶이로22길 21(석관동 205)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1971년 5월 25일 설립 인가를 받았다. 교훈은 ‘슬기롭고 튼튼하며 서로 돕는 어린이’이고, 지성·인성·창의성을 갖춘 어린이를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05년 3월 석계초등학교로 일부 학생을 분리하였고, 2009년 5월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다. 2017년 진로교육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을 받았고, 2018년 초1.2안정과 성장 맞춤 교육과정우수학교, 기초학력향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을 받았다. 2019년 2월 제46회 졸업식을 거행하여 누적 졸업생 26,171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서울일신초등학교
- 성북구 월곡로 74(종암동 1-79)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1996년 3월 1일 설립인가를 받고 2000년 10월 25일 개교식을 거행하였다. 꿈과 사랑으로 행복을 가꾸어 가는 학교를 만드는 것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으며, 교훈은 ‘새롭게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며 건강하게 생활하자’이다. 2017년 생활교육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을 받았다. 2019년 2월 제18회 졸업식을 거행하였고, 누적 졸업생 2,569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용문중학교
- 성북구 고려대로17길 46(안암동2가 96-1)에 위치한 사립고등학교이다. 1946년 11월 19일 성도중학교라는 이름으로 개교하였고, 1949년 4월 재단법인 겸산학원 설립을 인가받았다. 1953년 5월 명성중학교를 인수하고, 재단법인 강문학원으로 개칭하였다. 1964년 4월 30일 창신동 교사에서 안암동 교사로 이전하였다. 1970년 3월 학교법인 용문학원으로 변경하고 용문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교훈은 ‘배우자, 참되자, 이기자’이며, 조국과 민족을 사랑하고 선진 조국을 이끌어갈 자율적이고 실력과 인성을 갖춘 도덕적 창의적 인간 교육에 역점을 두고 있다. 2020년 1월 8일 제69회 졸업식을 진행하였다.
-
-
장소, 인물
- 동구여자중학교
- 성북구 성북로8길 71(성북동 168-275)에 위치한 사립고등학교이다. 1946년 6월 17일 동구 가정 실수 여학교 설립을 인가받아 개교하였다. 1950년 2월 15일 재단법인 동구학원을 설립하였다. 같은 해인 1950년 4월 동구여자상업중학교와 동구여자 상업고등학교로 개편하였고, 1969년 3월부터는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분리하여 운영하였다. 1961년 3월 31일 동대문에서 현재의 성북동 교사로 이전하였다. 교훈은 ‘정심(正心)’이며, ‘인화봉사(人和奉仕), 학문정진(學問精進), 자기발견(自己發見)’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
-
장소, 인물
- 고명중학교
- 성북구 북악산로 870(돈암동 45-88)에 위치한 사립중학교이다. 1939년 3월 종로구 연건동에서 홍아실무학원으로 개원하였고, 1946년 5월 20일 서울고등학원으로 명칭을 변경, 1950년 5월 20일 재단법인 고명학원을 설립하였다. 1954년 3월 현재의 교지로 이전하였고 1955년 3월 15일 고명중학교 설립을 인가받았다. 교훈은 ‘참되게·굳세게·꾸준히’이며, 교육목표는 ‘자립(自立)과 자조(自助)’이다. 2018년 2월 제69회 졸업식을 진행하였고, 누적 졸업생 16,854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성신초등학교
- 성북구 북악산로 918(돈암동 산11-269)에 위치한 사립초등학교이다. 1936년 4월 이숙종 박사가 성신여학교를 창립하였다. 1965년 1월 13일 성신여자사범대학이 설립을 인가받고, 1965년 1월 30일 성신여자사범대학교 부속 국민학교라는 교명으로 설립을 인가받았다. 건학이념은 ‘성신(誠信) 지신(知新), 자동(自動)’이며, 교훈은 ‘정성으로 슬기닦고 착한일에 앞장서자’이다. 2018년 제52회 졸업식을 진행하고 누적 졸업생 6,776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서울청덕초등학교
- 성북구 정릉로9라길 11(정릉동 847)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1967년 9월 6일 서울숭덕초등학교(현 숭덕초등학교)에서 아동 2,397명을 인수하여 1967년 11월 30일 개교식을 거행하였다. 1986년 3월 10일 서울청덕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다. 2017년 안정과 성장 맞춤 교육과정 꿈을 담은 교실 6개를 완공하여 놀면서 공부하는 자유로운 공간으로 탈바꿈하였다. 2018년 학교예술교육활성화 우수학교 표창, 2019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을 받았다.
-
-
장소, 인물
- 서울정수초등학교
- 성북구 장월로8가길 41(장위동 68-8)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1986년 4월 6일 개교하였다. 서울형혁신학교로서 함께 가르치며 배우는 행복한 학교를 만들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9년 학습텃밭운영사례 우수학교 서울특별시장 표창과 과학교육 우수학교 성북강북교육장 표창을 받았다. 2020년 2월 제33회 졸업식을 진행하였다. 2020년 2월 24일 한옥도서관 기공식을 가졌으며, 도서관은 2020년 8월 준공할 예정이다.
-
-
장소, 인물
- 서울장위초등학교
- 성북구 장월로8가길 41(장위동 68-8)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1946년 11월 숭인공립국립학교 장위분교장으로 설립되었다가 1946년 11월 1일 서울장위국민학교로 승격되었다. 2009년 12월 교사 개축 및 복합화 시설을 준공하였다. 2019년 11월 1일 개교 70주년을 기념하여 ‘함께한 70년 장위사랑 한마당’축제를 개최하였고, 교훈을 ‘행복한 오늘 꿈을 이루는 내일’로 재 지정하였다. 같은 해 12월 교육복지 협력 교육장 표창을 받았다. 2020년 2월 제69회 졸업식을 진행하고, 누적 졸업생 32,364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서울정릉초등학교
- 성북구 솔샘로25가길 8(정릉동 798)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1985년 7월 10일 설립인가를 받았다. 바른 인성으로 꿈을 펼치는 정릉 교육을 비전으로 독서교육, 인성교육과 함께 녹색 안전 학교 조성 및 소통과 배려로 서로 존중하는 학교 문화 형성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3년 체육교육 우수기관(장) 서울시장 표창을 받았고, 2014년 2014 생활 교육 우수학교 표창을 받았다. 2019년 2월 제33회 졸업식을 진행하였다.
-
-
장소, 인물
- 서울장월초등학교
- 성북구 한천로101길 66(장위동 316)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2006년 7월 19일 초대 교장이 부임하였고, 장곡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인수받아 같은 해 9월 1일 개교하였다. 교훈은 ‘푸른 꿈, 밝은 마음’이며, 꿈과 열정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건강한 학생을 기르는 것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2017년 서울형 혁신학교로 지정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성북강북교육발전 우수학교 교육장상 표창을 받았다. 2020년 제13회 졸업생들이 졸업하여, 누적 졸업생 1,320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서울장곡초등학교
- 성북구 장월로23길 16(장위동 235)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1978년 2월 22일 설립인가를 받았다. 2000년 3월 교사를 개축 이전하였고, 2006년 서울 장월초등학교로 학생을 분리하였다. 2015년 학부모교육 우수학교 교육부장관 표창을 받았고, 2016년 마을결합형학교 우수학교 성북강북교육지원청 교육장 표창을 받았다. 2017년 2월 제38회 졸업식을 진행하고, 누적 졸업생 15,336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서울월곡초등학교
- 성북구 장월로3길 42(장위동 246-194)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1971년 9월 1일 설립인가를 받고 1972년 7월 14일 개교하였다. 교훈은 ‘건강하게, 슬기롭게, 유익하게’이고, 개개인의 가능성을 발현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서울형 혁신학교로 지정되었다. 2017년 2017 학교경영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을 받았다. 2018년 제45회 졸업식을 진행하여, 누적 졸업생 16,680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서울안암초등학교
- 성북구 고려대로7가길 39(안암동2가 93)가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1956년 3월 24일 설립 인가를 받았다. 교훈은 ‘즐겁게 공부하고, 바르게 행동하며, 튼튼하게 자라자’이다. 미래핵심역량을 갖추고 꿈을 키워가는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핵심역량중심교육, 실천중심 협력적 인성교육, 체험 중심 진료교육 등의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2019년 서울형혁신학교로 재지정 받았고, 같은 해 2019 청렴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을 받았다.2020년 2월 제58회 졸업식을 진행하고 누적 졸업생 13,919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서울숭례초등학교
- 성북구 종암로5길 14(종암동 22-1)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1922년 6월 숭인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고 1936년 경성부로 편입되었다. 1937년 3월 경성종암공립보통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임시 휴교하였다. 1945년 11월 1일 초등학교로 신발족하고 개교하였다. ‘창의·인성·건강이 조화된 민주시민을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예절교육, 독서·토론·인문 소양교육, 맞춤식 진로교육 등을 운영하고 있다. 2019년 제8회 종암동 북바위 청포도 문화제, 제9회 책모꼬지 행사 등을 진행하였고, 같은 해 12월 진로교육 학교우수상 교육장 표창을 받았다. 2020년 2월 제73회 졸업식을 진행하고, 누적 졸업생 40,132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서울숭곡초등학교
- 성북구 종암로 40길 30(하월곡동 84-86)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1972년 3월 1일 설립인가를 받았다. 개교 당시 동양 최대의 학생 수를 자랑했던 숭인초등학교의 학생들을 분산 수용하였으며, 교지를 구하지 못해 숭인국민학교(현 숭인초등학교)의 운동장을 절반으로 나눈 대지 위에 교사를 세웠다. 교훈은 ‘튼튼하게 슬기롭게 다정하게’이며, ‘마음을 열고 꿈과 희망을 가꾸는 행복숭곡교육’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2001년 3월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으며, 2017년 창의적체험활동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을 받았다. 2018년과 2019년 SW선도학교로 지정되어 다양한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019년 2월 제47회 졸업식이 진행되었고, 누적 졸업생 21,892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서울석계초등학교
- 성북구 한천로 58길 273(석관동 27-3)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2005년 1월 5일 설립인가를 받았다. 교훈은 ‘스스로 깨우치며 밝게 생활하는 넉넉한 어린이’이며, 실력과 인성을 갖춘 창의적인 어린이를 기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7년 성교육, 성폭력예방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과 교육환경관리영역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을 받았고, 2018년 학생자치활동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을 받았다. 2019년 2월 15일 제14회 졸업식을 진행하고 누적 졸업생 1,621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서울미아초등학교
- 성북구 삼양로77(길음동1168)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1962년 3월 28일 개교하였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게 튼튼하게’이며, 지성·감성·인성 핵심 역량 신장을 통한 행복한 학교를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8년 2018 안정과 성장 맞춤 교육과정 운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을 받았고, 2019년 학생자치활동 우수학교 성북강북교육장 표창을 받았다. 2020년 2월 11일 제57회 졸업식을 진행하고 누적 졸업생 33,573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서울동신초등학교
- 성북구 보문사길 50(보문동3가 228)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1948년 11월 1일 개교하였다. 교육목표는 ‘협력적 교육활동을 통해 생각이 깊고 함께 공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어린이’를 기르는 것이며, 교훈은 ‘슬기롭고 예절바르며 튼튼하게’이다. 2005년 8월 본관 교사를 전면 개축하였고, 같은 해 11월 개교 57주년 기념 타임캡슐을 안치하였다. 2018년 학교 경영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을 받았다. 2019년 2월 15일 제66회 졸업식을 진행하고 누적 졸업생 23,771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서울길원초등학교
- 성북구 길음로15길 55(길음동1280-4)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2005년 7월 교명이 제정되었고, 2006년 1월 5일 설립인가를 받았다. 2006년 학교교육목표구현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을 받았고, 2007년 영어교육 내실화 우수학교 서울시교육감 표창을 받았다. 2011년 3월 초등학교 국정도서 현장적합성검토를 위한 정책 연구학교로 지정되었다. ‘실력과 인성을 갖춘 창의적인 길원 어린이’를 기르기 위해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한 ‘느끼는 감성교육’강화, 자기주도적 학교문화 조성을 통한 학습력 강화, 꿈과 끼를 키우는 예체능 교육 강화를 특색 사업으로 운영하고 있다. 2020년 2월 13일 제14회 졸업식을 진행하였다.
-
-
장소, 인물
- 서울개운초등학교
- 성북구 정릉로48길 52(돈암동 2-8)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2002년 7월 10일 설립인가를 받고, 같은 해 11월 5일 개교식을 했다. 교육비전은 ‘성장과 공유의 개운’이며, 교훈은 ‘슬기롭고 창의적이며 건강하게’이다. 2017년 서울독서교육대상 교육감 표창, 교육부 주최 100대 교육과정 선정 부총리겸 교육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2019년 2월 15일 제16회 졸업식을 진행하였다.
-
-
장소, 인물
- 매원초등학교
- 성북구 북악산로 870(돈암동 45-88)에 위치한 사립초등학교이다. 1950년에 재단법인 고명학원이 설립되었고, 1963년 12월 5일 학교 설립을 인가받았다. 건학이념은 자립·자조이며, 교훈은 ‘스스로 바르게 꾸준히’이다. 나눔·배려·공감하는 기본생활 습관 내면화를 위하여 실천 위주의 인성교육과 창의력을 기르기 위해 창의융합 ICON 프로젝트 수업을 하고 있으며, 예체능 교육은 전공교사에 의한 교과 전담제를 운영하고 있다. 2019년 서울시교육청전자교과서 선도학교로 지정되었다. 2020년 제56회 졸업식을 진행하였다.
-
-
장소, 인물
- 대광초등학교
- 성북구 안암로 5(보문동7가 111)에 위치한 사립초등학교이다. 영락교회의 한경직 목사가 경천애인(敬天愛人)의 건학 이념을 바탕으로 설립한 초등학교로, ‘사랑을 실천하는 선생님, 미래를 준비하는 어린이’를 교육의 지표로 삼고 있다. 1965년 12월 1일 설립인가를 받고, 이듬해 3월 신입생을 받았다. 현재 수준별 단계형 영어교육, 인성교육, 음악교육, 특성화교육 등 대광초등학교만에 특색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2018년 2월 제49회 졸업식을 진행하고 누적 졸업생 6,685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광운초등학교
- 성북구 한천로 693(장위동 128)에 위치한 사립초등학교이다. 공학자이자 교육자인 조광운이 설립한 학교로 1965년 10월 25일 월계 국민학교라는 이름으로 설립인가를 받고, 이듬해 3월 광운대학교에서 개교하였다. 1987년 광운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교훈은 ‘슬기롭고 바르며 건강한 어린이’이며, ‘튼튼한 몸과 참된 마음, 슬기로운 지혜로 미래를 가꾸어 가는 성실하고 유능한 한국인을 기른다’를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학년에 맞는 체육교육과 영어, 중국어 등 외국어 교육에 힘쓰고 있다. 2019년 제50회 졸업식을 진행하여 누적 졸업생 7,103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서울삼선초등학교
- 성북구 보문로 29길 106(삼선 3가 30-4)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1949년 9월 1일 개교하였다. 1950년 2월 신축 교사를 준공하였고, 1966년과 1967년에는 별관을 준공하였다. 1976년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다. 1983년 본관 목조건물을 철거하고 이듬해 본관 교사를 개축하고 동관을 신축하였다. 2017년 장애인식개선 백일장대회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받았고, 2018년 12월 청렴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을 받았다. 교훈은 ‘건강한 몸으로 바르게 자라며 슬기롭게 배우자’이다. 2019년 2월 제66회 졸업식을 진행하고 누적졸업생 28,121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서울숭인초등학교
- 성북구 오패산로16길 37(하월곡동 225-3)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1937년 4월 1일 경기도 숭인공립 보통학교로 개교하였고, 1949년 8월 14일 서울특별시로 편입하였다. 1960~1970년대에는 동양에서 가장 학생 수가 가장 많다고 하여 '콩나물학교'라고도 불렸으나 1972년 숭곡국민학교(현 숭곡초등학교)가 신설되면서 학생 수가 분산되었다. 원래는 하월곡동 87-1에 있었으나 2009년 3월 현재의 신축교사로 이전하였고, 같은 해 11월 4일 이전식을 개최하였다. 교훈은 '슬기롭고, 예절바르고, 튼튼하게'이다. 2017년 제76회 졸업식을 기준으로 누적 졸업생 41,243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삼선중학교
- 성북구 동소문로3길 69(동소문동4가 278-174)에 위치한 공립중학교이다. 1960년 2월 19일 삼성중·고등학교 신설을 인가받고 같은 해 5월 3일 개교하였다. 1971년 삼선중·고등학교에서 삼선중학교로 분리운영되었다. 2007년 성북교육청 과학중심학교, 정보과학영재원이 설립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2019년 영재교육기관 우수학교 성북강북교육지원청 교육장상 수상하였다. 교훈은 ‘성실하자 부지런하자 서로 돕자’이며, ‘함께의 행복 속에 채워가는 지성·인성·감성’을 교육 비전으로 삼고 있다. 2020년 2월 제58회 졸업식을 거행하였고, 누적 졸업생 34,291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북악중학교
- 성북구 정릉로12길 41(정릉동 640-3)에 위치한 중학교이다. 1984년 1월 10일 설립인가를 받고, 같은 해 4월 27일 개교식을 진행하였다. 교훈은 ‘성실, 협동’이며, 꿈과 끼를 키우는 학교, 참된 인성을 갖춘 민주시민 육성, 미래사회 적응력을 갖춘 생활인 육성, 창의성과 자기주도 능력을 갖춘 인간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2015년 서울형 자유학기제 운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을 받았다. 2020년 2월 제34회 졸업생을 진행하였고, 누적 졸업생 10,953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 성북구 정릉로 161(정릉동 산1-2)에 위치한 사립중학교이다. 1967년 12월 학교법인 우석학원을 인가받고 우석중학교를 설립하였고, 1968년 2월 11일 정릉동 교사에서 개교하였다. 1970년 2월 여자학급의 증설인가를 얻어 총 39학급으로 증설하였고, 1971년 4월 신축 교사로 이전하였다. 1971년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과 우석학원이 병합하면서 1972년 고려중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1996년 3월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교훈은 ‘협조, 창조, 실천’이며, 참여와 협력을 통한 미래 인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2020년 2월 제50회 졸업식을 진행하였다.
-
-
장소, 인물
- 월곡중학교
- 성북구 장월로 6(상월곡동35-1)에 위치한 공립중학교이다. 1986년 1월 29일 설립 인가되었고, 1986년 3월 개교하였다. 교훈은 ‘성실, 창조, 협동’이며, ‘소통과 배려의 행복 월곡’이라는 이상을 품고 멋이 있는 학생, 전문성이 있는 교사, 참여하는 학부모, 능동적인 행정을 구현하려 노력하고 있다. 2017년 진로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과 학교체육활성화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을 받았고, 2018년에는 학교기초학력향상사업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을 수상하였다. 2020년 2월 제32회 졸업식을 진행하였고, 누적 졸업생 10,512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숭곡중학교
- 성북구 종암로 208(하월곡동 87-1)에 위치한 공립중학교이다. 2011년 1월 13일 설립인가를 받았다. 원래 이 자리는 숭인초등학교가 있었던 곳으로, 숭인초등학교가 이전한 후 남아있던 건물을 허물고 새로운 건물을 건축한 후 숭곡중학교를 설립한 것이다. 삶의 주인이 되어 더불어 행복한 사람을 키우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2011년 3월 자율학교 및 서울형 혁신학교로 지정되었고, 2012년 수업혁신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을 받았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교육감배 학교 스포츠클럽 대회 줄넘기 여중부 부분에서 1위를 하였다. 2019년 2월 제6회 졸업식을 진행하여 224명이 졸업하였다.
-
-
장소, 인물
- 석관중학교
- 성북구 한천로 526(석관동 88-2)에 위치한 공립중학교이다. 1982년 12월 설립인가를 받고, 1983년에 개교하였다. 1986년 3월 서울특별시교육위원회 지정 체육 시범학교를 운영하였고, 1998년 3월에는 교육부 지정 과학교육 연구 시범학교를 운영하였다. 바른인성과 알찬 실력으로 꿈을향해 노력하는 행복한 석관인을 육성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2020년 2월 제35회 졸업식을 진행하였고, 누적 졸업생 18,506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계성고등학교
- 성북구 길음로 63(길음동 1284-15)에 위치한 사립고등학교이다. 여성에게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한 근대식 교육을 하기 위해 여학교 설립을 신청했으나 일제의 불허로 전수학교로 개교하였다. 1944년 8월 계성여자상업전수학교 설립을 인가받았고 같은 해 9월 8일 개교하였다. 1946년 6월 6년제 계성여자중학교로 인가되었으며, 1950년 학제 개편에 따라 계성여자고등학교와 계성여자중학교로 분리되었다. 명동 지역의 학생 수 감소와 명동성당 특별계획 구역에 포함되어 이전 사업이 추진되었다. 2016년 3월 현재의 위치로 교사를 이전하고 남녀공학으로 전환하여 교명을 계성고등학교로 변경하였다.
-
-
장소, 인물
- 길음중학교
- 성북구 길음로 144(길음동 635-7)에 위치한 공립중학교이다. 2012년 1월 15일 설립 인가되었으며, 미래 역량과 참된 인성으로 자주적 협력적 삶을 가꾸는 글로컬(glocal)한 인간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2012년 3월 서울특별시교육청 혁신학교로 지정되었고, 같은해 12월 창의적 체험활동부분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을 받았다. 2019년 2월 제5회 졸업생을 진행하여 268명이 졸업하였다.
-
-
장소, 인물
-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 성북구 성북로14가길 23(성북동 151)에 위치한 사립중학교이다. 1931년 6월 이기윤(李基潤)이 세운 외국어 교육기관인 경성외국어학원에서 출발하여, 1939년 3월 현재의 위치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1954년 4월 12일 성북중·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되어 1954년 6월 15일에 개교하였다. 1969년 중학교 평균화로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분리되었다. 1972년 6월 홍익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77년 3월에는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4년에는 개교 50주년을 맞아 학교 정보도서관, 체육관 준공식을 하고 『홍익 50년사』를 출판하였다. 2020년 2월 제66회 졸업식을 진행하여 누적 졸업생 26,833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종암중학교
- 성북구 종암로5길 80-17(종암동 32-3)에 위치한 중학교이다. 1980년 4월 9일 설립인가를 받았다. 1987년 11월 21일 종암여자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가 2002년 03월 다시 종암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3년에는 정보화관, 2013년에는 체육관을 개관하였다. 2017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우수학교로 교육감 표창을 받았다. 2019년 2월 제36회 졸업생을 진행하고 누적 졸업생 19,680명을 배출하였다.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으로 인해 개학이 연기되고 교육 당국이 온라인개학이 검토하면서 2020년 3월 30일 원격수업을 시범 운영하기도 하였다.
-
-
장소, 인물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 성북구 월곡로36(종암동 7-10)에 위치한 국립 중학교이다. 1945년 10월 1일 경성사범학교와 경성여자사범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46년 9월 경성사범학교 보통과와 경성여자사범학교 심상과를 합치면서 창립되었다. 1947년 10월 남자부가 을지로 교사에서 용두동 여자부 교사로 이전하여 남녀 공학을 실시하였다. 1968년 국립학교설치령이 개정됨에 따라 1969년 본교 여학생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로 분리하였다. 1975년 5월 12일 용두동 교사에서 현 종암동 교사로 이전하였고, 1993년 3월 신축 교사를 준공하였다. 2011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로 교명을 개명하였다. 2020년 1월 8일 제70회 졸업식을 진행하였으며, 누적 졸업생 26,429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장위중학교
- 성북구 장위로4길 70(장위동 231-623)에 위치한 공립중학교이다. 1984년 12월 08일 15학급 설립을 인가받고 이듬해인 1985년 3월 4일 개교하였다. 1998년 과학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을 받았으며, 1999년에는 학생 수령활동 우수학교, 특별활동 운영 우수학교로 선정되어 교육감 표창을 받았다. 2018년에는 교육발전 우수학교(자유학기제) 교육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2019년 기준으로 누적 졸업생 13,643명을 배출하였다.
-
-
장소, 인물
- 남대문중학교
- 성북구 한천로95길 28(장위동 124-1)에 위치한 사립 중학교이다. 1934년 5월 20일 조광운 박사가 전자공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능인 양성을 위해 남대문 인근인 중구 봉래동에 조선무선강습소라는 이름으로 학교를 설립하였다. 이후 1940년 5월 30일 조선무선공과학원으로 교명을 개칭하였고, 1948년 1월 27일 재단법인 조선무선중학교를 인가받았다. 1952년 8월 25일에는 학제 변경으로 인해 남대문중학교와 동국무선고등학교로 분리되었고, 1969년 3월 3일 현재의 교사로 신축 이전하였다. 자유학기제 연구 학교로 지정되어 2014년 12월 ' 2015 서울형 자유학기제 운영 우수교'로 선정되어 교육감 표창을 받았다.
-
-
장소, 인물
- 서울길음초등학교
- 성북구 길음로 142(길음동 635-7)에 위치한 학교이다. 길음초등학교는 1984년에 ‘길음국민학교’로 설립되었다. 그리고 1995년 초등학교로 명칭을 바꾸는 교육법 개정으로 1996년에 ‘길음초등학교’로 개칭하였다. 길음동에 거주하면서 이 지역을 소설의 배경으로 삼았던 김소진(1963~1997)의 소설에 자주 등장하였다.
-
-
장소, 인물
- 홍익북국민학교
- 성북동에 있었던 초등학교이다. 1963년 성암국민교로 설립돼 1970년에 홍익재단이 인수, 1974년에는 18학급 1천 22명이 재학하고 있었다. 1975년 같은 구내의 홍익 중·고교 평준화 계획에 따라 시설을 확장하고 교육환경을 개선한다는 이유로 폐교되었다.
-
-
장소
-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고등학교
- 성북구 성북로14가길 23(성북동 151)에 위치한 사립고등학교이다. 1931년 6월 이기윤(李基潤)이 세운 외국어 교육기관인 경성외국어학원에서 출발하여, 1939년 3월 현재의 위치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1943년 9월 일본이 영어 교육을 강제 폐쇄시키면서 성북중학원(城北中學園)으로 변경하였다가 12월에 경북중학원(京北中學園)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해방 후 잠시 휴원되었다가 1949년 9월 성북중학원으로 다시 개원하였고, 1954년 4월 재단법인 계원학원을 설립하여 성북중학교와 성북고등학교를 설립하게 되었다. 1970년 계원학원을 학교법인 홍익학원에서 흡수·합병하고, 1972년 6월 교명을 홍익고등학교로 변경하였다. 1977년 3월 교명을 다시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고등학교로 변경하여 오늘에 이른다.
-
-
장소
- 행복한 우리 어린이집
- 성북구 아리랑로19다길 38-14(정릉2동 559-86)에 위치한 아동 교육시설이다. 아이들의 육아와 교육환경을 고민하던 주민들이 아이들에게 자연과 더불어 공동체적 삶을 배워 나가는 공간을 만들어주기 위하여 모임을 결성하고 행동에 옮기면서 설립되었다. 2001년 성북공동육아협동조합이 결성되었고, 현재 위치의 ‘터전’을 구입하여 제1차 정기총회를 거쳐 2002년에 개원하였다. 부모가 조합원으로서 운영의 주체가 되고, 아이들은 인근의 정릉, 북악산 등 여러 장소로 나들이를 하며, 선생님들과 함께 직접 텃밭을 가꾸고 식자재로 사용하고 있다. 2008년에는 터전을 리모델링하여 교육환경을 개선하였고, 현재까지 공동 육아와 관련한 마을공동체 활동의 선구적이고 모범적인 사례로서 운영되고 있다.
-
-
장소
- 한성여자중학교
- 성북구 삼선교로16길 118(삼선동2가 391-4)에 위치한 교육 시설이다. 한성여자고등학교는 1945년 10월에 김의형(金義衡)이 기존 경성여자기예학교를 인수하여 1946년 7월에 6년제 고등중학교인 한성여학교로 출발하였고, 1951년 학제변경에 따라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로 분리되었다. 1953년 1월에는 재단법인 한성학원이 설립 인가를 받았고, 1964년 1월에 학교법인으로 개편하였다. 1960년 한성여자중학교에 재학중이던 진영숙이 4월 19일 데모에 나갔다가 희생당하자 한성여자중학교에서는 묘비를 기증하고 동급생이 졸업하는 1962년 2월, 명예졸업장을 수여했다.
-
-
장소
- 한성여자고등학교
- 성북구 삼선교로16길 117(삼선동2가 391-4)에 위치한 교육시설이다. 한성여자고등학교는 1945년 10월에 김의형(金義衡)이 기존 경성여자기예학교를 인수하여 1946년 7월에 6년제 고등중학교인 한성여학교로 출발하였고, 1951년 학제변경에 따라 한성여자중학교와 한성여자고등학교로 분리되었다. 1953년 1월에는 재단법인 한성학원이 설립 인가를 받았고, 1964년 1월에 학교법인으로 개편하였다. 1986년 7월에 학칙변경으로 현 건물로 교사를 이전하여 오늘에 이른다.
-
-
장소
- 한성대학교
-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삼선동2가 389)에 위치한 교육 시설이다. 한성대학교는 1972년 한성여자대학으로 출발하였다. 1945년 10월 김의형(金義衡)이 돈암동에 있는 기존의 경성여자기예학교를 인수하여 다음 해 한성여학교로 교육사업을 시작하였다. 1953년에는 한성학원 설립인가를 받고 1964년 학교법인으로 개편하였다. 1978년 1월에는 교명을 한성여자대학에서 한성대학으로 변경함과 동시에 주·야간 남녀공학으로 전환함으로써 학교 발전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1986년 7월에는 현재의 위치로 교사를 확장·이전하여 대학의 발전은 본궤도에 들어서게 되었다.
-
-
장소
- 6호선 안암역
-
-
장소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
장소
- 성모의 집 공부방 지역아동센터
-
-
장소
- 삼선불학승가대학원
-
-
장소, 인물
- 서울석관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일신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용문중학교
-
-
장소, 인물
- 동구여자중학교
-
-
장소, 인물
- 고명중학교
-
-
장소, 인물
- 성신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청덕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정수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장위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정릉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장월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장곡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월곡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안암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숭례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숭곡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석계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미아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동신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길원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개운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매원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대광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광운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삼선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숭인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삼선중학교
-
-
장소, 인물
- 북악중학교
-
-
장소, 인물
-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
-
장소, 인물
- 월곡중학교
-
-
장소, 인물
- 숭곡중학교
-
-
장소, 인물
- 석관중학교
-
-
장소, 인물
- 계성고등학교
-
-
장소, 인물
- 길음중학교
-
-
장소, 인물
-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
-
장소, 인물
- 종암중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
-
장소, 인물
- 장위중학교
-
-
장소, 인물
- 남대문중학교
-
-
장소, 인물
- 서울길음초등학교
-
-
장소, 인물
- 홍익북국민학교
-
-
장소
-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고등학교
-
-
장소
- 행복한 우리 어린이집
-
-
장소
- 한성여자중학교
-
-
장소
- 한성여자고등학교
-
-
장소
- 한성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