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227] 선잠단지 지킴이 30년 이만규 님의 이야기
- 성북문화원은 지역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는 다양한 책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이 중 <성북 사람들의 구술생애사> 시리즈는 성북문화원의 대표적인 간행물입니다. 2020년부터 매년 선보이고 있는 이 시리즈는 성북구 주민기록단과 함께 제작하는 책으로 성북구에 오랫동안 거주하신 어르신의 삶과 지역의 역사를 그분의 입을 통해 듣고 채록함으로써 사소하지만 중요한 지역의 역사를 기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특히 그 과정을 주민기록단과 함께한다는 점에서 <성북 사람들의 구술생애사>는 공동체아카이브를 지향하는 성북마을아카이브의 보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보물을 좀 더 많은 사람과 공유하고자 앞으로 10회에 걸쳐 <성북 사람들의 구술생애사> 시리즈를 한 권 한 권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처음으로 소개해 드릴 분은 성북동의 이만규 님입니다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김영기
- 삼선동에서 거주한 독립운동가이다. 1932년부터 대구사범학교에서 한문·조선어 교사로 근무하며 학생들에게 민족적 긍지를 심어주면서 학생들의 황도교육비판·민족정신을 함양시켰다. 대구사범학교 학생들의 문예부 등 비밀결사의 조직은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았으나 그의 실질적 지도아래 이루어졌다. 1941년 대구사범학교 윤독회의 간행물인 『반딧물』이 일본 경찰의 손에 들어가게 됨으로써 비밀결사의 전모가 드러나 체포되었고, 6개월간 대전형무소에 수감되었다. 광복 후 대구사범학교 교장, 경북 교육회장, 서울시 교육위원 문화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정부에서는 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고,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독립유공자 공훈록에 의하면 서울 성북 삼선1 247-1에 거주한 것으로 확인된다.
- 이야기 더보기
- 이동화
- 성북동에서 거주한 독립운동가이다. 1936년 도쿄제국대학 졸업 후 혜화전문학교 교수로 부임했다. 경성콤그룹 학생부의 비합법 독서회에서 이론을 지도했다. 1941년 성북정 하숙집에서 경성콤그룹의 김한성으로부터 혁명운동에 참여할 것을 의뢰받았는데, 경성콤그룹에 대한 탄압이 시작되면서 체포되었다. 1944년 경성지방법원에서 무죄판결을 받고 석방되었다. 광복 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에 참가했고, 북한으로 가서 평양민보 주필, 조소문화협회 부위원장 등을 지냈으며, 김일성대학에서 정치학을 강의했다. 월남하여 대한민국 육군본부 정보국에서 일했고,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1955년 진보당 창당준비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5.16군사정변 이후 혁신계 엄단조치에 의해 1962년 구속, 1964년 형집행정지로 석방되었다.
- 이야기 더보기
- 서울도시과학기술고등학교
- 성북구 종암로 196(하월곡동 90-1)에 위치한 학교이다. 1964년 숭인공업고등학교로 개교하였다가 1967년 서울북공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73년에는 2부 설립을 인가받아 기술인력에 대한 사회적 수요에 맞춰 많은 학생을 교육하여 배출하였다. 2013년에는 서울도시과학기술고등학교로 교명 변경하면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2014년 해외건설플랜트 분야에서 마이스터고로 지정되었고, 2016년에 해외건설플랜트 마이스터고로 개교하였다. 마이스터고는 중견기술인력 육성을 목표로 하는 전문계 특성화 고등학교로, 학생들에게는 수업료 등 학비를 면제하고 기숙사를 제공하는 등의 특전도 있다.
- 이야기 더보기
- 월곡중학교
- 성북구 장월로 6(상월곡동35-1)에 위치한 공립중학교이다. 1986년 1월 29일 설립 인가되었고, 1986년 3월 개교하였다. 교훈은 ‘성실, 창조, 협동’이며, ‘소통과 배려의 행복 월곡’이라는 이상을 품고 멋이 있는 학생, 전문성이 있는 교사, 참여하는 학부모, 능동적인 행정을 구현하려 노력하고 있다. 2017년 진로교육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과 학교체육활성화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을 받았고, 2018년에는 학교기초학력향상사업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을 수상하였다. 2020년 2월 제32회 졸업식을 진행하였고, 누적 졸업생 10,512명을 배출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