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1] 3.1운동 101주년 기념 '주제로 보는 성북: 독립운동' 페이지 공개
- 올해는 3.1운동 101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그날의 함성을 기억하며, 성북문화원에서는 <성북마을아카이브> 홈페이지에 '독립운동' 주제를 새롭게 준비하였습니다. 도심과 가깝고 교통편이 편리했으며, 주변에 교육기관이 많은 지리적 조건으로 인해 성북구는 수많은 독립지사들과 연을 맺었습니다. 성북구와 인연이 있는 인물들의 독립운동은 의병활동부터 의열 활동, 3.1운동, 무장투쟁, 임시정부 활동 등 거의 모든 유형의 독립운동을 포괄합니다. 해방 이후에도 성북구는 독립지사들의 보금자리가 되었습니다. 링크를 따라가면 만나는 페이지에는 독립운동과 관련된 성북의 장소, 사건, 그리고 많은 독립지사들의 이야기가 담겨있습니다.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부터 독립유공자 공적조서, 그리고 독립기념관으로부터 제공받은 독립운동가들의 사진 등 여러 기관의 협조를 통해 자료들을 더욱 풍성하게 모을 수 있었습니다. 이 자료들에는 비단 널리 알려진 독립운동가뿐만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의 행적 또한 담겨있습니다. 여성과 남성, 양반과 평민, 서적행상과 타자수(Typist) 등 성별, 신분, 직업에 관계없이 많은 이들이 한마음으로 독립운동이라는 물결에 크고 작은 물줄기가 되어주었습니다. 이번 주말에 <성북마을아카이브>를 통해 순국선열과 애국지사의 용기와 희생을 기억하는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요?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박목월
- 시인, 교육가이다. 1939년 정지용의 추천으로 『문장』에 「길처럼」 「그것은 연륜이다」 등을 발표하며 등단하였다. 박두진·조지훈과 함께 『청록집』을 간행하며 청록파시인으로 활동하였다. 대표작품으로 「청노루」(1946), 「나그네」(1946) 등이 있다. 그의 초기 작품들은 향토적 색채가 가미된 서정시였으나, 6.25전쟁 후에는 인간의 운명이나 사물의 본성에 관한 깊은 통찰을 보여주게 된다. 수필 분야에서도 일가의 경지를 이루어 『구름의 서정』(1956), 『토요일의 밤하늘』(1958), 『행복의 얼굴』(1964) 등이 있다. 돈암동에 있던 서라벌예술대학에서 후학을 가르쳤고, 종암동에는 박목월의 시비가 있다.
- 이야기 더보기
- 경동고등학교
- 성북구 보문로29길 49(삼선동3가 43-1)에 위치한 학교이다. 경동고등학교는 일제강점기인 1940년에 조선공립중학교관제에 의해 설립된 ‘욱구(旭九, 아사히오카)공립중학교’로 출발하였는데, 설립 당시에는 용산공립중학교의 학교 건물 일부를 빌려 한국인과 일본인 공학제(共學制)로 개교하였다. 1941년에 현재 위치로 이전했고, 1945년 해방과 함께 일본인 교사와 학생이 퇴교하며 일시 휴교하였다가 곧바로 경동공립중학교로 개칭하고 10월에 재개교하였다. 한국전쟁 때에는 부산에서 임시수업장을 열기도 하였다. 1951년 학제 개편으로 경동고등학교와 돈암중학교로 분리되었고, 돈암중학교는 1953년 경동중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72년 폐교되었다.
- 이야기 더보기
- 고려대학교 병설 보건전문대학
- 성북구 정릉로 161(정릉동 산1-2)에 있었던 보건전문대학이다. 1963년에 종로구 명륜동에 ‘수도의과대학 병설 의과기술 초급대학’으로 설립된 뒤, 1966년에 ‘우석대학교 병설 의학기술초급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71년에 고려중앙학원과 우석학원이 병합함으로써 ‘고려대학교 병설 의학기술초급대학’으로 바뀌었고, 1975년에 정릉동으로 이전하였다. 1979년에는 ‘고려대학교 병설 보건전문대학’이 되었다가 1998년 보건전문대학에서 보건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었고, 2006년 3월 고려대학교로 통폐합되어,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안암로 145) 내로 이전하고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이 되었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