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188] 길음동의 옛 동네를 기억하며, 김소진의 『눈사람 속의 검은 항아리』
- 11월 17일에 올겨울 첫눈이 내렸다는데, 다들 흩날리는 작은 눈송이들을 보셨을까요? 눈이 될 준비를 하고 있던 눈송이들이 겨울이 오고 있다는 소식을 전하러 잠시 찾아온 것 같습니다. 한겨울에 다다르고 있는 11월 말입니다. 오늘 금도끼에서는 하이얀 눈 속을 파헤치듯 길음동에서의 어린 시절을 더듬어 보는 소설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김소진의 단편 소설 『눈사람 속의 검은 항아리』을 살펴보면서 이 소설에 담긴 미아리 재개발에 관해서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작가 김소진을 소개하며 이야기를 시작해보겠습니다. 김소진은 1963년 철원에서 태어나 다섯 살이 되던 해인 1967년, 미아리고개 넘어 정릉 천변의 산동네였던 길음동으로 이사합니다. 김소진은 미아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보성중학교를 거쳐 서라벌고등학교를 다니는데요. 미아초등학교는 길음동에, 서라벌고등학교는 돈암동에 있었던 학교로 대학에 입학하기 전까지 김소진은 삶의 대부분의 시간을 성북구에서 보냈던 것 같습니다. 1982년 서울대에 입학하여 영문학을 전공하였고 이후 기자 생활을 하면서 소설을 쓰기 시작하는데, 1991년 단편 『쥐잡기』가 경향신문 신촌문예에 당선되어 등단합니다. 이후 김소진은 『열린사회와 그 적들』(1993), 『장석조네 사람들』(1995), 『자전거 도둑』(1996) 등의 작품을 잇달아 발표하며 1990년대 대표적인 사실주의 작가로 자리매김합니다. 김소진은 본인이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전소설을 상당수 집필했는데요, 어린 시절을 보낸 미아리 동네와 동네의 사람들이 창작의 원천이자 주요한 제재였습니다. 『고아떤 뺑덕어멈』(1993), 『장석조네 사람들』(1995), 『길』(1996), 『신풍근배커리 약사』(1996), 『70년대 민중의 마지막 꿈』(1997) 등 많은 작품에서 미아리와 미아리를 살아간 사람들을 담아냈습니다. 김소진이 어린 시절을 보낸 길음동 일대는 통상 미아리로 불렸던 것을 잠시 짚고 가려고 하는데요. 1950년 성북구 미아리가 미아동으로 개칭되었고 1959년에 미아제1동이 길음동이 되지만 1950년 이전 미아리에 속해있었던 여러 동이 계속해서 같은 생활권으로 인식되었고, 사람들은 이들을 묶어 통상 미아리로 불렀던 것 같습니다. 한편 1973년에 도봉구가 분리·신설되면서 길음동은 도봉구 미아동이 되는데요, 1975년 다시 성북구로 편입되면서 길음동이라는 이름을 되찾습니다. 김소진은 당시로서나 현재로서나 행정구역상으로 길음동에 거주했지만, 앞선 설명과 같은 관습으로 그 또한 자신이 살았던 곳을 미아리로 불렀던 것 같습니다.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조지훈
- 시인이자 학자, 교육가이다. 1939년 『문장』에 시 「고풍의상」과 「승무」, 1940년에 「봉황수」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해방 후 성북동에 한옥을 마련하여 ‘방우산장’이라는 당호를 붙이고, 근처에 살고 있던 김기창, 김환기, 윤이상 등과 교류했다. 그는 방우산장에서 박목월, 박두진과 모여 의견을 나누며 『청록집』을 간행하였는데 이 책의 장정은 김용준이 맡았다. 그의 작품은 민족정서와 불교적 색채를 띠고 있으며, 활동 후기에는 혼란한 현실 정치를 비판하며 『지조론』(1962)과 같은 산문집을 간행하기도 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영락모자원
- 성북구 솔샘로5길 47(정릉동 719)에 위치한 가족복지시설이다. 영락모자원은 1951년 영락교회가 부산으로 피난했을 때 피얼스 선교사의 협조로 부산에서 다비다 모자원으로 개원하였다. 부산의 다비다 모자원은 천막 3개동으로 전쟁미망인 가족 22세대(81명)을 수용하며 시작하였으며, 1954년 서울로 복귀할 때 서울시 성북구 돈암동으로 이전하였다가 1965년 정릉동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1972년 영락모자원으로 개명하였다. 시설은 지하1층, 지상4층 건물 2개 동으로 세대별 약 13평으로, 정원은 24세대이다.
- 이야기 더보기
- 성북마을 이야기
- 2013년 12월에 성북구마을만들기지원센터에서 발행한 책으로 소소하고도 중대한 일상의 역사를 기록하며 그 순간을 기록하고 보관하는 마을 책을 공동제작하는 취지로 발간되었다. 성북구의 북정마을, 장수마을, 삼태기마을, 소리마을 등 옛 정취를 간직한 마을에서의 주민활동과 성과를 기술하였다. 성북구 마을 거주민들의 구술자료와 성·아·들 (성북동 아름다운 사람들), 참길음공동체, 성북마을방송 와보숑 등에 실제로 참가했던 활동가들의 다양한 동네 이야기가 담겨 있다. 마을 사업을 기획하게 된 계기와 과정, 그로 인한 성과를 활동가의 경험을 기초로 작성했으며 성북구민들을 위한 작고 큰 공간들을 소개해 두었다.
- 이야기 더보기
- 성북동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 이야기를 찾아서 2
- 총 3권으로 구성된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이야기를 찾아서’ 중 제2권이다.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에서 주관하고 성북구청 문화체육과에서 발행하였다. 2010년 12월 20일에 발행한 제2권에서는 제1권과 마찬가지로 유치웅, 송영수, 서세옥, 임송희 등 성북동에서 활동 또는 거주 하였던 예술인을 소개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활동 중인 예술인들을 추가로 기재해 두었다. 조사 기간은 2010년 4월 12일 ~ 2010년 10월 31일이다. 예술인들의 연보와 대표작, 생활 방식, 성장 과정 등을 개인별로 기재해 두었다. 부록으로는 실제 거주했던 거주지의 위치를 나타낸 지도와 본문 수록 인물 목록, 성북동 문화유산과 문화기관 목록이 있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