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226] 상실의 시대를 노래했네
- 1990년대를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라고 하는 평자들이 많습니다. 그전까지 트로트가 주류였던 대중음악계에는 언더그라운드의 포크, 발라드, 댄스, 블루스, 민중가요, 록, 힙합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이 여러 매체를 통해 전파되며 대중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형식뿐 아니라 노랫말로 표현하는 음악의 내용도 풍성해졌습니다. 남녀의 사랑과 이별을 노래한 것이 대다수이긴 했지만 색다른 주제의 노래들이 등장해서 잔잔한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이를테면 ‘그리움’ 같은 것입니다. 물론 떠나간 연인이나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것이 가장 많지만 개중에는 이제는 갈 수 없는 유년 시절의 장소와 시간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를 담은 노래들도 있었습니다. 왜 1990년대에 그런 노래들이 등장했던 것일까요? 그 시절 우리 도시의 모습이 급격하게 변하다 보니 상실감이 컸던 것은 아닐까 생각합니다. 예전의 집과 골목들이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과거의 추억을 떠올릴 수 있는 물질적 조건들이 사라지고 만 것이죠. 이주와 이사가 예사였던 것도 한 이유가 될 것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줄곧 한 집에서 자란 이들도 거의 없었을 테니까요. 1990년대 베스트셀러 소설 중 하나가 『상실의 시대』였던 것도 이런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즈음 발표된 노래 중에는 1970년대 성북구의 풍경을 떠올리게 하는 노래들이 더러 있습니다. 주로 1960년대에 태어나 유년기를 성북 지역에서 보낸 뮤지션들의 노래입니다. 세 곡을 골라봤습니다. 먼저 소개할 노래는 그룹 어떤 날의 멤버로 유명한 조동익(1960~ )의 곡 〈노란대문 (정릉배밭골’70)〉입니다. 1994년 발표한 그의 정규 솔로 음반 《동경(憧憬)》에 실은 노래입니다. 정릉3동 배밭골에서 보냈던 어린 시절 집 안팎의 풍경과 가족들의 모습을 시적인 가사에 담았습니다. 노란대문 (정릉배밭골’70) 작사·작곡·노래 : 조동익 맑은 개울을 거슬러 오르다 조그만 다리를 건너 동산을 오를 때면 저만치 소를 앞세우고 땀흘려 밭을 일구시는 칠성이네 엄마 집에 도착하면 숨이 턱까지 차올라 노란 대문 생각만 해도 내 입가에 웃음 짓게 하는 그 문을 두드리면 제일 먼저 날 반기던 강아지 마당엔 커다란 버찌나무 그 아래 하얀 안개꽃 해질 무렵 분꽃이 활짝 피면 저녁 준비에 바쁘신 우리 할머니 저만치 담 밑엔 누군가 살고 있을 것 같은 깊고 차가운 우물 두레박 하나가득 물을 담아 올리면 그 속엔 파란 하늘 난 행복했었지 하얗게 춤추던 안개꽃 난 사랑했었지 그곳을 떠다니던 먼지까지도 노란 대문 생각만 해도 내 입가에 웃음 짓게 하는 그 문을 두드리면...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조지훈
- 시인이자 학자, 교육가이다. 1939년 『문장』에 시 「고풍의상」과 「승무」, 1940년에 「봉황수」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해방 후 성북동에 한옥을 마련하여 ‘방우산장’이라는 당호를 붙이고, 근처에 살고 있던 김기창, 김환기, 윤이상 등과 교류했다. 그는 방우산장에서 박목월, 박두진과 모여 의견을 나누며 『청록집』을 간행하였는데 이 책의 장정은 김용준이 맡았다. 그의 작품은 민족정서와 불교적 색채를 띠고 있으며, 활동 후기에는 혼란한 현실 정치를 비판하며 『지조론』(1962)과 같은 산문집을 간행하기도 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영락모자원
- 성북구 솔샘로5길 47(정릉동 719)에 위치한 가족복지시설이다. 영락모자원은 1951년 영락교회가 부산으로 피난했을 때 피얼스 선교사의 협조로 부산에서 다비다 모자원으로 개원하였다. 부산의 다비다 모자원은 천막 3개동으로 전쟁미망인 가족 22세대(81명)을 수용하며 시작하였으며, 1954년 서울로 복귀할 때 서울시 성북구 돈암동으로 이전하였다가 1965년 정릉동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1972년 영락모자원으로 개명하였다. 시설은 지하1층, 지상4층 건물 2개 동으로 세대별 약 13평으로, 정원은 24세대이다.
- 이야기 더보기
-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 성북구 정릉로 161에 위치한 고등학교이다. 1967년 12월에 학교법인 우석학원에서 ‘우석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받아 1968년 3월 개교하였다. 이후 1971년 법인이 고려중앙학원에 병합됨에 따라 ‘고려상업고등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73년 ‘고려고등학교’로 이름을 바꾸고 일반계 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 그리고 1996년에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로 이름이 바뀌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019년 현재 2만 2천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성북문화원
- 성북구 성북로4길 13-8(동소문동1가 1)에 위치한 공공기관이다. 성북문화원은 ‘지방문화원진흥법’에 의거, 정부로부터 설립 인가를 받아 1996년 설립된 법정 문화진흥기관이자 문화예술진흥법의 문화전수시설로 지정된 비영리 특수법인이다. 성북 지역의 역사․문화 자료의 수집과 보존, 문화행사 개최, 문화강좌 운영 등을 통해 지역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선소리산타령, 경기민요, 수묵산수화, 서예와 같은 수준 높은 전통예술 강좌를 제공하며,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발굴․활용하여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제작한다. 대표적인 문화 행사로는 만해 한용운 다례재, 성북동 문화재 야행, 성북천 깃발전, 캠퍼스타운 축제 등이 있다.
- 이야기 더보기
- 6호선 안암역
- 성북구 안암동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6호선은 서울시 제2기 지하철 건설계획에 포함되어 1994년 1월 8일 착공하여 1998년까지 완공할 계획으로 추진되었으나 IMF의 여파로 공사 기간이 연장되었다. 이에 따라 봉화산역에서 상월곡역까지의 1차 공사는 2000년 8월 7일에, 상월곡역부터 응암역까지의 2차 공사는 같은 해 12월 15일에 완료되어 개통되었다. 안암역은 2차 개통 구간에 포함되는 곳으로 2000년 12월 15일에 개통되었다. 안암동 일대는 도로가 협소하고 교통 환경이 열악했으나 지하철 6호선의 개통으로 교통 환경이 개선되었다. 안암역은 지하 3층의 규모로 연면적은 8,300.81㎡이다. 설계는 (주)건축사 사무소 시공동인 측에서 담당하였고 시공자로는 (주)쌍용건설과 (주)현대산업개발이 참여하였다. 지하 1층과 2층은 대합실과 상업 용도로 이용되며, 지하 3층에 승강장이 들어서 있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