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220] 성북의 문인을 잇다, 성북근현대문학관
- 은주와 민구는 삼선교 역에서 내려 오른편으로 개천을 끼고 한참 걸어가다가 언덕길을 올라갔다. 그 언덕에는 일제 시대에 방공굴로 팠던 구멍이 삥 돌아가며 예닐곱개 뚫려 있었다. 그러나 지금 그 방공굴에는 모두 사람이 살고 있었다. 가마니를 붙여 놓은 문 틈으로 가느다란 불빛이 새어 나왔다. "저녁 먹고, 너의 집에 갈게." 민구가 그렇게 말하면서 세 번째 방공굴로 어슬렁어슬렁 걸어 들어갔다. 바로 그 민구네 방공굴 옆으로 좁다란 길이 언덕 위로 하나 뻗어 있다. 그리고 그 길이 뻗어 올라간 언덕 위에는 판잣집이 세 채 서 있다. 그 세 채 가운데 한 채가 은주네 집이다. 방 한 칸, 마루 한 칸, 부엌 한 칸이 있는 집이다. 어두컴컴한 부엌에서 인기척이 났다. - 김내성, 2002, 『쌍무지개 뜨는 언덕』, 맑은소리. 57쪽. 성북동은 어느 방향으로나 5분만 가면 바위와 숲이 있어서 좋다. 요즘 낙목한천落木寒天의 암석미巖石美를 맘껏 완상할 수 있는 나의 산보로는 번화의 가태假態를 벗고 미지의 진면목을 드러낸 풍성한 상념의 길이다. 나는 이 길에서 지나간 세월을 살피며 돌의 미학, 바위의 사상사思想史에 침잠한다. 내가 성북동 사람이 된 지 스물세 해, 그것도 같은 자리 같은 집에서고 보니 나도 암석의 생리를 닮은 모양이다. 전석불생태轉石不生苔라고 구르는 돌에 이끼가 앉지 않는다는 것이 암석미의 제 1장이다. - 조지훈 외, 2010, 『돌의 미학』, 나남. 20쪽.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혜화문
- 성북구 성북동과 종로구 혜화동의 경계에 뒤치한 한양도성의 사소문 중 하나이다. 동소문(東小門)이라고도 불렸으며, 사소문 중의 하나이지만 사대문과 같은 역할을 했다. 북쪽의 숙정문이 항상 닫혀 있으므로 함경도 등 북방으로 통하는 경원가도(京元街道)의 관문 역할을 했다. 도성 동쪽에 위치했기 때문에 동소문으로 불렀는데 1483년(성종 14)에 창경궁을 새로 건립하면서 동문(東門)을 홍화문이라고 명명하자 동소문과 혼동되므로 1511년(중종 6)에 동소문을 혜화문이라고 이름을 고쳤다. 일제강점기 혜화동과 돈암동 사이에 전찻길을 내며 헐렸으나, 1994년 10월 18일 지금과 같이 복원되었다
- 이야기 더보기
- 서울 성북경찰서
- 성북동 보문로 170(삼선동5가 301)에 위치한 서울지방경찰청 관할 경찰서이다. 1945년 10월 21일 국립경찰 발족과 함께 개서하였다. 1979년 10월 종암경찰서 개서로 5개 동의 관할이 이전되면서 현재는 돈암동·동선동·동소문동·보문동·삼선동·성북동·안암동 등 성북구 서부를 관할하고 있다. 2008년 신청사가 건립되었고, 2010년 3개 지구대(돈암, 안암, 길음지구대), 3개 파출소(정릉, 정릉2, 성북파출소)로 관할이 조정되었다. 소설가 박완서는 결혼하기 전 이 부근에서 살았는데, 이 때문에 성북경찰서는 그의 소설 속 배경으로 자주 등장한다.
- 이야기 더보기
- 슬로 카페 달팽이
- 성북구 솔샘로18길 84(정릉동 348-1)에 위치한 카페이다. 2015년 10월 지금의 자리에서 운영을 시작했다. 조용하고 한적하며 지역사업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곳을 찾아 이곳으로 오게 되었다. 재료는 대부분 직접 농사지은 허브류와 토종작물을 이용하거나 슬로푸드 회원 농가에서 구매하여 사용한다. 또한, 사전예약제로 '슬로푸드 밥상'을 운영하고 한 달에 한 번 함께 밥을 먹으며 식구가 되는 '식9데이' 등을 통해 슬로푸드에 대한 경험을 손님들과 나누고 있다. 인근 자영업자들과 함께 정릉천을 지키기 위한 친환경 캠페인을 진행하였으며 이 외에도 환경을 위한 의미있는 일을 하고 있다. 2019년부터는 매월 『슬로매거진 달팽이』를 발행하고 있다.
- 이야기 더보기
- 한중 평화의 소녀상
- 성북천 분수마루 광장에 있는 조각상이다. 한·중 소녀상 프로젝트는 2014년 미국 글렌데일에 세워진 한국인 '위안부' 소녀상을 본 칭화대학교[淸華大學校] 교수 판위친과 영화제작자 레오스융이 원제작자 김운성·김서경 작가 부부에게 연락하면서 성사되었다. 한·중 소녀상은 2015년 동소문동 가로공원 앞에 설치되었는데 한·중 소녀상을 함께 제막한 것은 성북구가 처음이었다. 한국인 소녀상 뒤에는 '위안부' 할머니의 그림자가 있고, 중국인 소녀상 뒤엔 중국 '위안부' 할머니의 발자국을 재현해 놓았다. 또한, 빈자리는 다른 아시아 국가의 희생자를 위한 자리로 남겨두었다. 2020년 3월 가로공원 부지에 창작연극지원센터 건립공사가 진행되자 철거하여 따로 보관하다가 2021년 2월 성북천 분수마루 광장으로 이전설치되었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