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240] 선잠단에 켜켜이 쌓인 이야기를 현대적 공간으로, ‘카페 선잠’
- 최근 지역 고유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여러 상품이나 콘텐츠로 개발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0원 주화에 경주 불국사 다보탑(국보)이 그려져 있음에 착안하여 만들어진 ‘경주 십원빵’이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겠죠. 지역을 찾는 많은 관광객들의 큰 호응을 얻은 십원빵은 현재 대표적인 지역 브랜드로 자리 잡았고, 전국 각지에 십원빵을 판매하는 매장이 생겨났습니다. 심지어 일본에도 유사상품인 ‘십엔빵’이 생겨날 정도로요.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흥천사
- 성북구 흥천사길29(돈암동595)에 있는 사찰이다. 1397년(태조 6) 신덕왕후 강씨의 능침사찰로서 중구 정동에 창건되었다. 1409년(태종 9) 정릉이 이전되고, 조선왕조의 억불정책과 몇 번의 화재 등을 겪으면서 폐사되었다. 1669년(현종 10) 함취정(含翠亭) 자리에 이건하여 중창하고 신흥사(新興寺)로 이름을 고쳤다. 1794년(정조 18) 현재 자리에 중창하였고, 1865년(고종 2) 흥선대원군의 지원을 받아 다시 흥천사라고 불리면서 왕실원당의 기능을 담당했다. 흥천사는 대한제국 순종황제의 황후인 순정효황후가 6.25전쟁 때 피난생활을 했던 곳이기도 하다. 조선의 첫 번째 왕후였던 신덕왕후의 원찰(願刹)에서 조선(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후의 피난생활까지 조선왕실의 역사와 함께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 이야기 더보기
- 최익환
- 독립운동가이자 종전평화운동가이다. 일제에 의한 강제병합을 앞둔 1909년에는 서천군 재무주사로 근무하던 중 망명을 결심하고 독립운동 자금 마련을 위해 공금을 빼돌렸다가 발각되어 옥고를 치렀다. 3.1운동이 일어나자 대동단을 결성하여 독립운동을 하다가 또다시 옥고를 치렀고, 출소 후에는 신간회에 참여하였다. 해방 후 한국전쟁이 일어났을 때는 피난 가지 않고 성북동 자택(성북동 260번지)에 머무르면서 북한 당국자와 이승만 정부에 종전을 호소했다. 미군의 도움으로 평양까지 가서 종전을 호소했으나 양쪽 정부 모두 제대로 만나주지 않았다. 1950년에 간행된 『대한민국인사록』에는 주소가 돈암동 458-392번지로 기록되어 있다. 정부에서는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조재옥
- 성북동 286번지에서 거주한 독립운동가이다. 조재옥은 1935년 경성법학전문학교 재학 중 사회주의 사상을 받아들여 조선의 독립과 신사회 건설에 뜻을 두었다. 1939년에는 자신이 거주하던 성북정 하숙집에서 윤명의, 조희영과 회견하고 독서회를 조직하여 신사상을 연구했다. 1940년 경성콤그룹에 가입하여 조선 독립과 신사회 건설을 위한 실천 활동을 전개했다. 1941년에는 김한성의 집에서 독소전쟁 발발 후의 정세에서 일본과 소련의 전쟁은 필연적이므로 그에 따른 혁명의식을 고취하는 기관지 발행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가 경찰에 체포되었다. 폐결핵으로 병보석되었으나, 다음 해인 1944년 7월 1일 사망하였다. 정부에서는 2009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종암동 동일빌딩
- 성북구 종암로 108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1년 7월 12일이며, 면적은 506㎡, 연면적은 1,837.6㎡이다. 지상 3층, 지하 1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옥상이 개방되어 있다. 건물 정면 앞으로 주차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건물의 연식 대비 내외부가 깨끗하게 관리된 편이다. 머릿돌은 따로 없었으나 정면 입구 오른쪽 기둥에 ‘東一빌딩’이 새겨진 비석이 붙어있고, 계단 옆에 부착된 소방안전관리자 현황표 대상명에도 동일빌딩이라고 쓰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에서 봤을 땐 연식이 그리 오래된 건물 같아 보이지 않는다. 전면부 1층은 기업은행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측면부 1층의 경우 주얼리가게(LUMERE), 네일×속눈썹샵(오늘도 맑음 네일, 속눈썹Day)이 입점해 있다. 건물 정면 입구 외에 측면부에 입구가 한 군데 더 있는데, 지하 도미닉 공방으로 이어지는 입구이다. 도미닉 공방의 경우 간판을 확인할 수 없으나 로드뷰로 상호명을 확인할 수 있다. 오토바이 관련 용품을 파는 가게다. 정문 입구로 들어와 계단을 올라오면 바로 PC방 입구가 보인다. 내부 규모는 파악하지 못했으나 꽤 큰 규모로 사용되는 것처럼 보인다. PC방 입구를 바라보고 왼쪽으로 틀면 관계자 외 출입금지 팻말이 붙어있는 잠겨 있는 유리문이 보인다. 3층의 대부분은 예향교회가 쓰고 있다. 교회 왼쪽편으로는 복도를 따라 4개의 별도 호실이 있었고 가장 안쪽에는 예향교회의 별도 공간이 있었다. 4개의 호실 중 한 곳만 기업은행 표지판이 붙어있었고 나머지의 경우 별도의 간판이 붙어있지 않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이야기 더보기
- 서울예술치유허브
- 성북구 회기로3길 17(종암동 28-358)에 있던 문화예술공간이다. 도심재생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서울시가 조성하였으며, 2009년까지 이 자리에 위치해 있었던 성북구보건소를 리모델링했다. 2010년 7월 성북예술창작센터로 개관했으며, 2016년 서울예술치유허브로 개칭하였다. 연면적 1,997㎡에 지하 1층에서 지상 4층에 이르는 건물로, 예술가 스튜디오, 갤러리, 다목적홀, 주민창작실, 옥상공방 등이 구성되어 있었다. 2022년 9월 서울예술치유허브를 리모델링하여 성북여성취업교육센터를 개관하면서 현재는 운영되고 있지 않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