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226] 상실의 시대를 노래했네
- 1990년대를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라고 하는 평자들이 많습니다. 그전까지 트로트가 주류였던 대중음악계에는 언더그라운드의 포크, 발라드, 댄스, 블루스, 민중가요, 록, 힙합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이 여러 매체를 통해 전파되며 대중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형식뿐 아니라 노랫말로 표현하는 음악의 내용도 풍성해졌습니다. 남녀의 사랑과 이별을 노래한 것이 대다수이긴 했지만 색다른 주제의 노래들이 등장해서 잔잔한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이를테면 ‘그리움’ 같은 것입니다. 물론 떠나간 연인이나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것이 가장 많지만 개중에는 이제는 갈 수 없는 유년 시절의 장소와 시간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를 담은 노래들도 있었습니다. 왜 1990년대에 그런 노래들이 등장했던 것일까요? 그 시절 우리 도시의 모습이 급격하게 변하다 보니 상실감이 컸던 것은 아닐까 생각합니다. 예전의 집과 골목들이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과거의 추억을 떠올릴 수 있는 물질적 조건들이 사라지고 만 것이죠. 이주와 이사가 예사였던 것도 한 이유가 될 것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줄곧 한 집에서 자란 이들도 거의 없었을 테니까요. 1990년대 베스트셀러 소설 중 하나가 『상실의 시대』였던 것도 이런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즈음 발표된 노래 중에는 1970년대 성북구의 풍경을 떠올리게 하는 노래들이 더러 있습니다. 주로 1960년대에 태어나 유년기를 성북 지역에서 보낸 뮤지션들의 노래입니다. 세 곡을 골라봤습니다. 먼저 소개할 노래는 그룹 어떤 날의 멤버로 유명한 조동익(1960~ )의 곡 〈노란대문 (정릉배밭골’70)〉입니다. 1994년 발표한 그의 정규 솔로 음반 《동경(憧憬)》에 실은 노래입니다. 정릉3동 배밭골에서 보냈던 어린 시절 집 안팎의 풍경과 가족들의 모습을 시적인 가사에 담았습니다. 노란대문 (정릉배밭골’70) 작사·작곡·노래 : 조동익 맑은 개울을 거슬러 오르다 조그만 다리를 건너 동산을 오를 때면 저만치 소를 앞세우고 땀흘려 밭을 일구시는 칠성이네 엄마 집에 도착하면 숨이 턱까지 차올라 노란 대문 생각만 해도 내 입가에 웃음 짓게 하는 그 문을 두드리면 제일 먼저 날 반기던 강아지 마당엔 커다란 버찌나무 그 아래 하얀 안개꽃 해질 무렵 분꽃이 활짝 피면 저녁 준비에 바쁘신 우리 할머니 저만치 담 밑엔 누군가 살고 있을 것 같은 깊고 차가운 우물 두레박 하나가득 물을 담아 올리면 그 속엔 파란 하늘 난 행복했었지 하얗게 춤추던 안개꽃 난 사랑했었지 그곳을 떠다니던 먼지까지도 노란 대문 생각만 해도 내 입가에 웃음 짓게 하는 그 문을 두드리면...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영성단
- 성북구 선잠로 9-6(성북동 75-12)에 있었던 제단이다. 영성단은 새해 농사가 잘되도록 곡식을 맡은 별과 농사를 맡은 별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만든 제단으로 성단(星壇)이라고도 불렀으며, 기우제를 지낼 때는 용단(龍壇)이라고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제사를 지내온 기록이 있다. 조선에서도 고려의 유제(遺制)에 따라 남교(현 한남동)에 설치하고 입추 후 진일(辰日)을 택하여 제사를 지냈다. 이후 1865년(고종 2)에 혜화문 밖 선잠단의 북쪽에 다시 설치했는데, 이때에는 매년 정월 상인(上寅)에 제향을 지내는 것을 규례로 하였다. 1897년 각 분야의 별들에게 제사지내는 의리를 폐지하면서 영성단도 폐지되었다. 현재는 작은형제회수도원이 자리하고 있는데, 마당에 영성단 표석이 세워져 있다.
- 이야기 더보기
- 정릉2동 노인정
- 성북구 보국문로8나길 39(정릉동 223-12)에 위치한 노인 복지시설이다. 정릉2동의 범위는 정릉길 남쪽과 북쪽의 숭덕초등학교 뒷쪽 일대이다. 정릉2동 노인정은 1982년에 문을 열었다. 노인정은 송기종 등 4명이 건립해 서울시에 기부한 건물이다. 정릉2동 노인정은 마을에서 ‘공청 노인정’이라고도 불린다. 정릉 마을 노인분들의 증언에 따르면 마을 사람들이 공청에 모여 공청회, 산신제 관련 마을 회의를 하거나 모임을 가졌고, 마을 공유재산인 집기 등을 이곳에 보관하고 빌려주기도 했다고 한다. 이는 ‘공청’이 단순히 노인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마을 공동으로 관리 운영했던 마을회관가 같은 건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해 볼 수 있다.
- 이야기 더보기
- 6호선 안암역
- 성북구 안암동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6호선은 서울시 제2기 지하철 건설계획에 포함되어 1994년 1월 8일 착공하여 1998년까지 완공할 계획으로 추진되었으나 IMF의 여파로 공사 기간이 연장되었다. 이에 따라 봉화산역에서 상월곡역까지의 1차 공사는 2000년 8월 7일에, 상월곡역부터 응암역까지의 2차 공사는 같은 해 12월 15일에 완료되어 개통되었다. 안암역은 2차 개통 구간에 포함되는 곳으로 2000년 12월 15일에 개통되었다. 안암동 일대는 도로가 협소하고 교통 환경이 열악했으나 지하철 6호선의 개통으로 교통 환경이 개선되었다. 안암역은 지하 3층의 규모로 연면적은 8,300.81㎡이다. 설계는 (주)건축사 사무소 시공동인 측에서 담당하였고 시공자로는 (주)쌍용건설과 (주)현대산업개발이 참여하였다. 지하 1층과 2층은 대합실과 상업 용도로 이용되며, 지하 3층에 승강장이 들어서 있다.
- 이야기 더보기
- 성북동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 이야기를 찾아서 2
- 총 3권으로 구성된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이야기를 찾아서’ 중 제2권이다.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에서 주관하고 성북구청 문화체육과에서 발행하였다. 2010년 12월 20일에 발행한 제2권에서는 제1권과 마찬가지로 유치웅, 송영수, 서세옥, 임송희 등 성북동에서 활동 또는 거주 하였던 예술인을 소개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활동 중인 예술인들을 추가로 기재해 두었다. 조사 기간은 2010년 4월 12일 ~ 2010년 10월 31일이다. 예술인들의 연보와 대표작, 생활 방식, 성장 과정 등을 개인별로 기재해 두었다. 부록으로는 실제 거주했던 거주지의 위치를 나타낸 지도와 본문 수록 인물 목록, 성북동 문화유산과 문화기관 목록이 있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