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240] 선잠단에 켜켜이 쌓인 이야기를 현대적 공간으로, ‘카페 선잠’
- 최근 지역 고유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여러 상품이나 콘텐츠로 개발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0원 주화에 경주 불국사 다보탑(국보)이 그려져 있음에 착안하여 만들어진 ‘경주 십원빵’이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겠죠. 지역을 찾는 많은 관광객들의 큰 호응을 얻은 십원빵은 현재 대표적인 지역 브랜드로 자리 잡았고, 전국 각지에 십원빵을 판매하는 매장이 생겨났습니다. 심지어 일본에도 유사상품인 ‘십엔빵’이 생겨날 정도로요.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이승만
- 동소문동(당시 돈암동)에서 거주한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이다. 독립협회에 참가해 활동했고, 고종 폐위 음모에 휘말려 약 6년간 옥고를 치렀다. 미국에 유학하여 5년만에 학사·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1919년 상해임시정부의 대통령이 되었고, 1925년 탄핵 면직되었다. 광복 후 귀국하여 반탁반공노선을 견지하였고, 남한 단독정부 수립 불가피론을 주창했다. 1948년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부산정치파동, 사사오입개헌, 3.15부정선거 속에서 세 차례 더 대통령에 선출되지만, 4.19혁명으로 대통령직을 사임했다. 환국 이후 돈암동의 돈암장에서 약 2년간 거주하였다. 돈암장의 구조는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었다. 이승만은 아래채를 썼고, 위채는 비서와 살림 맡은 사람들, 바깥채는 경비원들이 사용했다.
- 이야기 더보기
- 조연현
- 문학평론가이자 출판인이다. 1933년 중동중학교에 편입하여 김광섭 시인을 담임으로 만난다. 1938년 한글동인지 『아(芽)』, 1939년 『시림』을 만들고, 이를 계기로 문학의 길을 걷는다. 1942년 창씨명으로 「동양에 대한 향수」를 발표하였고, 몇 편의 친일 관련 글을 남겼다. 유치환,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 등과 교류하며 1946년 청년문학가협회를 만들어 문단 활동을 함께 하였고, 1949년 『예술부락』을 주재하면서 본격적인 비평활동을 전개했다. 1955년에는 순수 문예지인 『현대문학』의 주간을 맡는다. 1972년 정릉동에 이층 양옥을 마련해 이사하였다. 1981년 해외여행 도중 갑자기 죽음을 맞이하였다. 한국문인협회에서는 ‘조연현문학상’을 제작하여 신진작가들을 양성하고 지원한 그의 뜻을 잇고 있다.
- 이야기 더보기
- 종암동 동일빌딩
- 성북구 종암로 108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1년 7월 12일이며, 면적은 506㎡, 연면적은 1,837.6㎡이다. 지상 3층, 지하 1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옥상이 개방되어 있다. 건물 정면 앞으로 주차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건물의 연식 대비 내외부가 깨끗하게 관리된 편이다. 머릿돌은 따로 없었으나 정면 입구 오른쪽 기둥에 ‘東一빌딩’이 새겨진 비석이 붙어있고, 계단 옆에 부착된 소방안전관리자 현황표 대상명에도 동일빌딩이라고 쓰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에서 봤을 땐 연식이 그리 오래된 건물 같아 보이지 않는다. 전면부 1층은 기업은행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측면부 1층의 경우 주얼리가게(LUMERE), 네일×속눈썹샵(오늘도 맑음 네일, 속눈썹Day)이 입점해 있다. 건물 정면 입구 외에 측면부에 입구가 한 군데 더 있는데, 지하 도미닉 공방으로 이어지는 입구이다. 도미닉 공방의 경우 간판을 확인할 수 없으나 로드뷰로 상호명을 확인할 수 있다. 오토바이 관련 용품을 파는 가게다. 정문 입구로 들어와 계단을 올라오면 바로 PC방 입구가 보인다. 내부 규모는 파악하지 못했으나 꽤 큰 규모로 사용되는 것처럼 보인다. PC방 입구를 바라보고 왼쪽으로 틀면 관계자 외 출입금지 팻말이 붙어있는 잠겨 있는 유리문이 보인다. 3층의 대부분은 예향교회가 쓰고 있다. 교회 왼쪽편으로는 복도를 따라 4개의 별도 호실이 있었고 가장 안쪽에는 예향교회의 별도 공간이 있었다. 4개의 호실 중 한 곳만 기업은행 표지판이 붙어있었고 나머지의 경우 별도의 간판이 붙어있지 않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이야기 더보기
- 북악산로 867 건물
- 성북구 북악산로 867(돈암동 48-53)에 위치한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1년 7월 28일이며, 건축면적은 93.85㎡, 연면적은 195.9㎡이다. 33평의 공동주택, 원룸, 빌라 건물이며 지하로는 1층, 지상은 2층까지 있다. 1층에는 상가 2곳이 자리하고 2층은 거주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건물 앞으로는 매원초등학교와 고명중학교, 고명외식고등학교가 있으며 주변에는 각종 가게가 들어서 있다. 주변 골목은 폭이 매우 협소하다. (2024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이야기 더보기
- 성북천 복개공사장 사고
- 1985년 성북천 복개공사장에서 일어난 축대 붕괴 사고이다. 성북천은 1960~1970년대까지 구간을 나눠 복개하였고, 복개한 자리에는 상가아파트를 지었다. 1985년 7월 11일 오후에 성북천 삼선교 상류에서 하천 바닥을 파내는 공사를 하다가, 주택의 축대 밑부분을 깊게 파내는 바람에 축대가 한꺼번에 무너져 버렸다. 이 사고로 주택이 붕괴되고 집안에 있던 모녀가 흙더미에 깔려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딸은 숨졌다. 주변의 주택 2채도 심하게 금이 갔으나 다행히 빨리 대피하여 더 이상의 인명 피해는 없었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