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188] 길음동의 옛 동네를 기억하며, 김소진의 『눈사람 속의 검은 항아리』
- 11월 17일에 올겨울 첫눈이 내렸다는데, 다들 흩날리는 작은 눈송이들을 보셨을까요? 눈이 될 준비를 하고 있던 눈송이들이 겨울이 오고 있다는 소식을 전하러 잠시 찾아온 것 같습니다. 한겨울에 다다르고 있는 11월 말입니다. 오늘 금도끼에서는 하이얀 눈 속을 파헤치듯 길음동에서의 어린 시절을 더듬어 보는 소설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김소진의 단편 소설 『눈사람 속의 검은 항아리』을 살펴보면서 이 소설에 담긴 미아리 재개발에 관해서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작가 김소진을 소개하며 이야기를 시작해보겠습니다. 김소진은 1963년 철원에서 태어나 다섯 살이 되던 해인 1967년, 미아리고개 넘어 정릉 천변의 산동네였던 길음동으로 이사합니다. 김소진은 미아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보성중학교를 거쳐 서라벌고등학교를 다니는데요. 미아초등학교는 길음동에, 서라벌고등학교는 돈암동에 있었던 학교로 대학에 입학하기 전까지 김소진은 삶의 대부분의 시간을 성북구에서 보냈던 것 같습니다. 1982년 서울대에 입학하여 영문학을 전공하였고 이후 기자 생활을 하면서 소설을 쓰기 시작하는데, 1991년 단편 『쥐잡기』가 경향신문 신촌문예에 당선되어 등단합니다. 이후 김소진은 『열린사회와 그 적들』(1993), 『장석조네 사람들』(1995), 『자전거 도둑』(1996) 등의 작품을 잇달아 발표하며 1990년대 대표적인 사실주의 작가로 자리매김합니다. 김소진은 본인이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전소설을 상당수 집필했는데요, 어린 시절을 보낸 미아리 동네와 동네의 사람들이 창작의 원천이자 주요한 제재였습니다. 『고아떤 뺑덕어멈』(1993), 『장석조네 사람들』(1995), 『길』(1996), 『신풍근배커리 약사』(1996), 『70년대 민중의 마지막 꿈』(1997) 등 많은 작품에서 미아리와 미아리를 살아간 사람들을 담아냈습니다. 김소진이 어린 시절을 보낸 길음동 일대는 통상 미아리로 불렸던 것을 잠시 짚고 가려고 하는데요. 1950년 성북구 미아리가 미아동으로 개칭되었고 1959년에 미아제1동이 길음동이 되지만 1950년 이전 미아리에 속해있었던 여러 동이 계속해서 같은 생활권으로 인식되었고, 사람들은 이들을 묶어 통상 미아리로 불렀던 것 같습니다. 한편 1973년에 도봉구가 분리·신설되면서 길음동은 도봉구 미아동이 되는데요, 1975년 다시 성북구로 편입되면서 길음동이라는 이름을 되찾습니다. 김소진은 당시로서나 현재로서나 행정구역상으로 길음동에 거주했지만, 앞선 설명과 같은 관습으로 그 또한 자신이 살았던 곳을 미아리로 불렀던 것 같습니다.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안재홍
- 돈암동에서 거주한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사학자, 언론인이다. 그는 1910년 일본 도쿄로 건너가 1911년 9월 와세다대학 정경학부에 입학하였고, 10월 조선인유학생 학우회를 조직하였다. 1914년 여름 와세다대학을 졸업하고 귀국하였다. 비밀결사인 대한민국청년외교단에 가담하여 임시정부의 연통부 역할을 수행하였다. 귀국 후 『시대일보』 와 『조선일보』에서 약 10년 동안 언론인 생활을 하였다. 해방 후 돈암동 산 11-152번지에서 거주하였다. 미군정기에 민정장관을 역임하였고, 1950년 제2대 국회의원선거에 출마하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6.25전쟁 때 납북되어 1965년 평양에서 사망하였다. 1989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이야기 더보기
-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 성북구 정릉로 161에 위치한 고등학교이다. 1967년 12월에 학교법인 우석학원에서 ‘우석상업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받아 1968년 3월 개교하였다. 이후 1971년 법인이 고려중앙학원에 병합됨에 따라 ‘고려상업고등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73년 ‘고려고등학교’로 이름을 바꾸고 일반계 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 그리고 1996년에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로 이름이 바뀌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019년 현재 2만 2천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한성대학교
-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삼선동2가 389)에 위치한 교육 시설이다. 한성대학교는 1972년 한성여자대학으로 출발하였다. 1945년 10월 김의형(金義衡)이 돈암동에 있는 기존의 경성여자기예학교를 인수하여 다음 해 한성여학교로 교육사업을 시작하였다. 1953년에는 한성학원 설립인가를 받고 1964년 학교법인으로 개편하였다. 1978년 1월에는 교명을 한성여자대학에서 한성대학으로 변경함과 동시에 주·야간 남녀공학으로 전환함으로써 학교 발전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1986년 7월에는 현재의 위치로 교사를 확장·이전하여 대학의 발전은 본궤도에 들어서게 되었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