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155] 안감리 전차 투석 만세운동
- 1919년 3월, 서울과 평양을 중심으로 시작된 만세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전국 각지에서 많은 이들이 모여 대규모 만세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일본 군경은 만세운동에 ‘엄중한 경계’로 대응하여 해산 및 진압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실상은 폭력 진압이었습니다. 한국에 머무르던 미국인 선교사 매티 윌콕스 노블(Mattie Wilcox Noble)은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경찰과 헌병들이 총검으로 [시위대를] 베고, 체포했다. 우리 집 요리사가 돌아와서 그의 친구도 칼에 찔려 경찰서로 끌려갔다고 얘기했다. 헌병들이 경사가 급한 제방으로 사람들을 밀어 떨어뜨리는 것을 몇몇 외국인이 목격하였다. 해럴드[Harold, 노블의 아들]가 살펴보려고 내려갔지만 이미 일이 끝났고, 그가 본 것은 피를 흘리며 경찰서로 끌려가거나 의식을 잃은 채 인력거에 실려 가는 사람들이었다." - 매티 윌콕스 노블 지음, 강선미 이양준 옮김,『노블일지 1892-1934』, 이마고, 2010; 정병욱,「낯선 삼일운동」③, 한국역사연구회 웹진 역사랑 6호, 2020 재인용. 일본 군경의 폭압에도 만세운동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서울 곳곳에서 소수의 인원들이, 해가 진 어두운 시간 기습적으로 만세운동을 펼쳤습니다. 마치 ‘게릴라 작전’과도 같았지요. 이러한 만세운동은 우리 성북구 지역에서도 몇 차례 일어났습니다. 오늘은 이중 하나의 만세운동에 관하여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3월 26일 수요일 해가 진 밤이었습니다. 안감리(지금의 안암동)에 몇몇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어느덧 모여든 사람은 약 200여 명에 달했습니다. 그리고 이들은 만세를 외쳤습니다. 인근을 지나는 전차에 돌을 던졌습니다. 돌을 던져 전차의 유리창을 파손하였고, 타고 있던 승객들에게 하차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이에 일본 군인 5명이 출동하여 이들을 해산시켰습니다. 이 만세운동에 관한 기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3월 27일, 독립운동에 관한 건(제28보) / 경성. 안감리에서 3월 26일 밤 약 200명의 군중이 만세를 부르고 전차에 투석하여 유리창을 파괴하고 승객의 하차를 협박하는 등 폭행을 연출했으나 피해는 없었고 얼마 안 되어 해산시켰다." - 조선총독부 경무총감부 고등경찰과, 독립운동에 관한 건(제28보), 1919년 3월 27일. "3월 26일, 경기 안감리, 시위운동이상, 군중수 200명, 출동군대 5명" - 조선헌병대사령부・조선총독부 경무총감부, 소요사건 경과 개람표(1919.3.1.-1919.4.30.), 1919년 5월 10일.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미타사 지장시왕도
- 미타사 대웅전에 봉안되어있는 불화이다. 이 지장시왕도는 시주자인 계유생 이씨 부인이 아버지 전주 이씨, 어머니 문의 이씨, 남편인 정축생 남씨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발원한 것이다. 신중도와 양식·화풍이 동일한 것으로 보아 신중도와 같은 해인 1873년 4월에 삼각산 미타사에서 함께 제작·봉안된 것으로 추정된다. 채색은 붉은색과 녹색이 주조색으로 사용되었으며, 전체적으로 필선이 매우 섬세하며 얼굴에 음영을 표현하여 입체감을 주고 있다. 서울·경기지역 지장시왕도의 형식을 따르고 있으며, 섬세한 필선과 탄탄한 구성 등 경선당 응석의 화풍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2014년 7월 3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59호로 지정되었다.
- 이야기 더보기
- 조소앙
- 돈암동에서 거주하고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일본 메이지대학에서 공부한 후 경신학교 등에서 교편을 잡다가 1913년 중국에 망명하여 항일단체 대동당을 조직하였다. 1918년 무오독립선언서를 기초하여, 독립운동 지도급 인사 39인의 공동성명으로 발표하였다. 상해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민주공화제헌법의 기초를 비롯한 임정의 이론정립 등 전반에 걸쳐 주역을 맡았고, 해방 후에는 임시정부의 정통성 고수를 주장하였다. 성북구 돈암동에 거주하면서 1950년 5.30 총선에 사회당으로 서울 성북구에서 출마하였다. 선거에서 전국 최다득표로 조병옥을 꺾고 당선되어 제2대 국회에 입성하였다. 그러나 6.25전쟁 당시 납북되어 1958년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198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 이야기 더보기
- 김영재
- 성북동(현 동소문로 64)에서 거주한 독립운동가이다. 1931년 상해로 망명한 뒤 상해한인청년단을 조직하여 그 이사에 선임되었다. 또한 의열단에 가입하여 조선혁명간부학교를 졸업하고 의열단 동지들과 함께 통합된 민족혁명당에서 본격적인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1935년에는 중국비행학교에서 훈련을 받고 중국 공군의 기계사 직책으로 대일전에 참가하였다. 1938년 10월 김원봉이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를 창립하자 그는 제3지대장에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1940년에 광복군 총사령부원으로서 충칭[重慶]에서 요인 경호 및 비서직을 맡았으며, 1945년에는 미군과 합작으로 한국항공대를 창설할 계획을 세우기도 하였다. 정부에서는 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고,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정정완
- 동소문동에 거주했던 중요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기능보유자이다. 침선장이란 바느질로 옷을 만드는 장인을 말한다. 1913년 정인보의 맏딸로 태어나 혼인 후 사대부 가문과 왕실 가문의 침선기법을 함께 배웠다. 1985년 이후 일본 오사카, 고베, 교토 등 여러 도시에서 복식 전시를 열어 전통 바느질 기법을 널리 알렸다. 우리 전통 의상의 아름다움이 주목을 받게 되면서, 1988년 8월 1일 중요무형문화재 제89호로 선정되었다. 근대 이후 복식의 서구화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침선기술의 전통이 단절의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는데, 뒤늦게나마 다행히 몇 사람의 전승자가 현재는 쓰이지 않는 옛 침선기술을 계승하고 있다. 2007년 사망과 함께 지정이 해제되었으며, 맏며느리인 구혜자가 계승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성신여자대학교
- 성북구 보문로34다길 2(돈암동 173-1)에 위치한 사립대학교이다. 1936년 이숙종(李淑鍾)이 경운동에 설립한 성신여학교가 전신이다. 1944년 현재 위치로 교사를 신축·이전하였고, 1945년 3월 재단법인 강제학원(康濟學園)을 설립하였다. 해방과 함께 성신여학교로 교명을 환원하고 1948년에는 재단 명칭을 성신학원(誠信學園)으로 변경하였다. 그 후, 1963년 성신여자실업초급대학을 설립하고 4개 학과를 설치하여 2년제 단기 고등교육을 실시하였으며, 1965년에는 4년제 성신여자사범대학으로 승격·개편되었다. 1979년에는 학교의 확대·개편으로 사범대학이 일반대학으로 전환되어 교명을 성신여자대학으로 변경하였으며, 1981년에는 종합대학교인 성신여자대학교로 승격·개편되기에 이르렀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