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240] 선잠단에 켜켜이 쌓인 이야기를 현대적 공간으로, ‘카페 선잠’
- 최근 지역 고유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여러 상품이나 콘텐츠로 개발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0원 주화에 경주 불국사 다보탑(국보)이 그려져 있음에 착안하여 만들어진 ‘경주 십원빵’이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겠죠. 지역을 찾는 많은 관광객들의 큰 호응을 얻은 십원빵은 현재 대표적인 지역 브랜드로 자리 잡았고, 전국 각지에 십원빵을 판매하는 매장이 생겨났습니다. 심지어 일본에도 유사상품인 ‘십엔빵’이 생겨날 정도로요.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최익환
- 독립운동가이자 종전평화운동가이다. 일제에 의한 강제병합을 앞둔 1909년에는 서천군 재무주사로 근무하던 중 망명을 결심하고 독립운동 자금 마련을 위해 공금을 빼돌렸다가 발각되어 옥고를 치렀다. 3.1운동이 일어나자 대동단을 결성하여 독립운동을 하다가 또다시 옥고를 치렀고, 출소 후에는 신간회에 참여하였다. 해방 후 한국전쟁이 일어났을 때는 피난 가지 않고 성북동 자택(성북동 260번지)에 머무르면서 북한 당국자와 이승만 정부에 종전을 호소했다. 미군의 도움으로 평양까지 가서 종전을 호소했으나 양쪽 정부 모두 제대로 만나주지 않았다. 1950년에 간행된 『대한민국인사록』에는 주소가 돈암동 458-392번지로 기록되어 있다. 정부에서는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박태원
- 소설가이다. 1926년 『조선문단』에 발표한 시 「누님」과 1930년 『신생(新生)』에 발표한 「수염」으로 문학 활동을 시작하였다. ‘구인회’에 참여하며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1934), 「천변풍경」(1936~1937), 「여인성장」(1941~1942) 등을 발표하였다. 근대시기 서울의 모습과 서울 사람들의 생활, 서울말을 가장 잘 표현한 작가로 꼽힌다. 돈암동 487-22번지에 땅을 마련하고 직접 설계한 집을 지어 살다가 소설 『약산과 의열단』(1947)을 내고 인세 대신 성북동 230번지 집을 받아 이사하였다. 1950년 월북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최인훈
- 소설가이다. 최인훈은 1936년 함경북도 회령에서 태어났는데, 가족과 함께 월남하여 목포상업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법대를 중퇴하였다. 1959년 『자유문학』에 「그레이 구락부 전말기」와 「라울전(傳)」이 추천되어 등단하였다. 1960년 「가면고」, 「광장」 등을 발표하면서 작가적 명성을 굳혔다. 4.19혁명이 있고 7개월 뒤인 1960년 11월에 발표한 「광장」은 당대까지 금기시되었던 남북한의 이데올로기 대립을 파헤친 대표작으로 발표 직후 문단 안팎에 파란을 일으켰다. 한편 「소설과 구보씨의 일일」과 「화두」(1994)에서 성북동을 주된 공간적 배경으로 설정하였으며, 특히 「화두」는 이태준의 집을 대단히 상세하게 설명하여 실제로 이태준의 집을 보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 이야기 더보기
- 전차 돈암동노선 개통
- 1941년 현재의 성북구 돈암동까지 전차의 노선이 확장된 일이다. 서울에 전차가 처음 개통된 것은 1899년 5월 17일이었다. 처음 서대문-종로-청량리와 종로-남대문-용산까지 운행한 노선은 점차 늘어나 1930년대에는 도심 지역에 망을 형성하고, 왕십리, 의주로, 한강인도교 등까지 확장되었다. 동소문(혜화문) 밖의 성북구 지역은 1930년대 도심인구 과밀화를 해소하기 위해 정비 개발하면서 서울권으로 편입되었고, 돈암동 지역도 시가지계획 하에 택지가 조성되었다. 그에 따른 교통수요 증가로 시내버스 노선의 확대와 전차 노선의 연장이 이루어졌는데, 1941년 7월 12일에는 돈암동(지금의 성신여대 태극당 부근)까지 전차가 다니게 되었다. 노선의 출발지는 을지로4가이다.
- 이야기 더보기
- 종암동 동일빌딩
- 성북구 종암로 108에 위치한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1년 7월 12일이며, 면적은 506㎡, 연면적은 1,837.6㎡이다. 지상 3층, 지하 1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옥상이 개방되어 있다. 건물 정면 앞으로 주차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건물의 연식 대비 내외부가 깨끗하게 관리된 편이다. 머릿돌은 따로 없었으나 정면 입구 오른쪽 기둥에 ‘東一빌딩’이 새겨진 비석이 붙어있고, 계단 옆에 부착된 소방안전관리자 현황표 대상명에도 동일빌딩이라고 쓰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에서 봤을 땐 연식이 그리 오래된 건물 같아 보이지 않는다. 전면부 1층은 기업은행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측면부 1층의 경우 주얼리가게(LUMERE), 네일×속눈썹샵(오늘도 맑음 네일, 속눈썹Day)이 입점해 있다. 건물 정면 입구 외에 측면부에 입구가 한 군데 더 있는데, 지하 도미닉 공방으로 이어지는 입구이다. 도미닉 공방의 경우 간판을 확인할 수 없으나 로드뷰로 상호명을 확인할 수 있다. 오토바이 관련 용품을 파는 가게다. 정문 입구로 들어와 계단을 올라오면 바로 PC방 입구가 보인다. 내부 규모는 파악하지 못했으나 꽤 큰 규모로 사용되는 것처럼 보인다. PC방 입구를 바라보고 왼쪽으로 틀면 관계자 외 출입금지 팻말이 붙어있는 잠겨 있는 유리문이 보인다. 3층의 대부분은 예향교회가 쓰고 있다. 교회 왼쪽편으로는 복도를 따라 4개의 별도 호실이 있었고 가장 안쪽에는 예향교회의 별도 공간이 있었다. 4개의 호실 중 한 곳만 기업은행 표지판이 붙어있었고 나머지의 경우 별도의 간판이 붙어있지 않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