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240] 선잠단에 켜켜이 쌓인 이야기를 현대적 공간으로, ‘카페 선잠’
- 최근 지역 고유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여러 상품이나 콘텐츠로 개발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0원 주화에 경주 불국사 다보탑(국보)이 그려져 있음에 착안하여 만들어진 ‘경주 십원빵’이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겠죠. 지역을 찾는 많은 관광객들의 큰 호응을 얻은 십원빵은 현재 대표적인 지역 브랜드로 자리 잡았고, 전국 각지에 십원빵을 판매하는 매장이 생겨났습니다. 심지어 일본에도 유사상품인 ‘십엔빵’이 생겨날 정도로요.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박태원
- 소설가이다. 1926년 『조선문단』에 발표한 시 「누님」과 1930년 『신생(新生)』에 발표한 「수염」으로 문학 활동을 시작하였다. ‘구인회’에 참여하며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1934), 「천변풍경」(1936~1937), 「여인성장」(1941~1942) 등을 발표하였다. 근대시기 서울의 모습과 서울 사람들의 생활, 서울말을 가장 잘 표현한 작가로 꼽힌다. 돈암동 487-22번지에 땅을 마련하고 직접 설계한 집을 지어 살다가 소설 『약산과 의열단』(1947)을 내고 인세 대신 성북동 230번지 집을 받아 이사하였다. 1950년 월북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석관동 석관시장 건물
- 성북구 돌곶이로22가길 27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68년 7월 23일이다. 건축면적은 1,992㎡이고, 연면적은 9,815㎡이다. 석관시장 내 중심에 위치한 석관시장 건물이다. 이 건물을 중심으로 여러 시장 상점들이 위치 해있으며 유동 인구가 상당히 많다. 건물은 지상 4층이고, 탑마트, 대중 목욕탕, 골프 연습장, 인테리어 가게, 안경점 등이 입점해있다. 1층에는 마트와 상점들이 줄지어 있다. 2층과 3층은 대중 목욕탕, 꼭대기는 골프 연습장이다. 1층 마트 옆에 정문이 1개, 2층으로 올라가는 문이 1개, 뒤쪽에 후문과 옆쪽 통로 공간이 있다. 건물 오른쪽에 주차장이 있고, 주차장 쪽에 골프 연습장 출입로가 있다. 2층과 3층에는 긴 창문들이 길게 이어져 있다. 밝은 빨간색 대리석 외장재를 사용하고 긴 테두리가 2~3층에 길게 이어져 있다. 마트 옆 정문으로 들어가면 긴 통로가 있고, 통로 쪽에 옛 상점가가 있지만 대부분 운영하지 않고 있다. 건물 중간에 큰 기둥이 있다. 건물이 크고 통로가 중간에 있어 사람들이 건물을 통해 왕래한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이야기 더보기
- 석관동 KTF 상가 건물
- 성북구 돌곶이로 74에 있는 주상복합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77년 7월 16일이다. 건축면적은 알 수 없고, 연면적은 467㎡이다. 돌곶이역 6번 출구에서 1분 거리에 있다. 건물은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로 이루어졌다. 전체적으로 베이지와 갈색으로 도색 돼 있다. 건물 앞쪽은 상가로 이용되고 있지만 뒤쪽은 실제 사람들이 거주하는 거주 공간이다. 직사각형 모양의 균일한 창문이 있다. 건물 정면에 상가로 들어가는 문 정문 1개, 뒤쪽에 주거지로 들어가는 후문 1개가 있다. 정문으로 들어가면 바로 지하로 이어지는 계단과 올라가는 계단이 있었으며 내부 계단은 상당히 좁다. 정문 오른쪽에 오래된 우편함이 있다. 계단 중간마다 화장실이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이야기 더보기
- 돌봄, 배움, 소통을 위한 정릉 마을카페 만들기
-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을 통해 정릉동 주민들이 지역공동체 사업으로 카페를 만들었던 일이다. 정릉동의 주민들이 마을 내에 다양한 세대와 계층이 만날 수 있는 사랑방 공간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동네 사람들의 소모임과 문화생활을 엮는 커뮤니티 카페를 구상하였고, 구청의 도움을 받아 ‘행복한 정릉 카페’를 열었다. 처음 발의한 사람들은 정릉동에 살면서 아이를 키우던 5명의 엄마들이었기에 아이 돌봄, 육아와 재교육 관련 배움의 공간, 정보 교류를 위한 소통 공간의 필요성이 컸기에 부담없이 들러서 만날 수 있는 카페라는 형태의 공간을 마련하게 된 것이다. 현재 정릉카페는 운영되고 있지 않으며, 2014년 폐점된 것으로 추정된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