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233] 보문동 역사의 산증인 박춘화 이야기
- 금도끼 <성북 사람들의 구술생애사> 시리즈, 이번 주 소개해 드릴 분은 1947년 보문동에서 태어나 현재까지 그곳에 생활 터전을 두고 계신 박춘화 님입니다. 박춘화 님은 보문동의 변화 모습과 인생 이야기를 덤덤하게 들려주셨습니다. 지면상 모든 이야기를 공개할 수 없기에 보문동 일대의 변화와 지역 이야기를 중심으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권진규
- 조각가이다. 1943년 춘천공립중학교 졸업 후 미술연구소에 들어가지만 곧 비행기 부품공장에 징용된다. 다음 해 공장을 도망쳐 귀국하였다. 1947년 성북회화연구소에서 회화 수업을 받았다. 1949년 9월, 무사시노미술학교(武藏野美術學校)에 입학하여 부르델의 계보를 잇는 시미즈 다카시를 사사하였다. 1959년 귀국 후 성북구 동선동에 작업실을 짓고 1973년 생을 마감할 때까지 작품 활동을 하였다. 삼국시대 토우에 뿌리를 둔 테라코타와 건칠(乾漆) 기법을 새롭게 연구·발굴한 그는 한국적 리얼리즘 조각의 세계를 정립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홍익대 조각과와 서울대 건축과, 수도여자사범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주요작품으로는 「자각상」, 「지원의 얼굴」, 「애자」, 「땋은 머리」 등 테라코타 흉상 작품이 있다.
- 이야기 더보기
- 전성우
- 성북동에서 활동했던 화가이다. 호는 우송(雨松)으로 간송 전형필의 장남이다. 1934년 서울에서 출생하였고, 어릴 때부터 보화각(현 간송미술관)을 찾는 예술가들을 통해 그림을 보는 안목과 지식을 익히고 교육받았다. 서울대학교 미대에 입학했다가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현대미술을 접하고 추상화의 세계에 빠져들어, 해방 후 1세대 추상화가가 되었다. 부친의 사망을 계기로 귀국하여 1966년 전형필의 지인들과 함께 한국민족미술연구소를 설립하고 보화각을 간송미술관으로 새롭게 개편시켰다. 서울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의 교수를 역임하고, 보성고등학교 교장을 맡기도 하였다. 퇴직 후에는 미국 유학 시절부터 주제로 삼았던 「만다라」를 이어 「청화만다라」 연작을 발표하였고, 국내외에서 많은 개인전과 초대전을 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성신여자대학교
- 성북구 보문로34다길 2(돈암동 173-1)에 위치한 사립대학교이다. 1936년 이숙종(李淑鍾)이 경운동에 설립한 성신여학교가 전신이다. 1944년 현재 위치로 교사를 신축·이전하였고, 1945년 3월 재단법인 강제학원(康濟學園)을 설립하였다. 해방과 함께 성신여학교로 교명을 환원하고 1948년에는 재단 명칭을 성신학원(誠信學園)으로 변경하였다. 그 후, 1963년 성신여자실업초급대학을 설립하고 4개 학과를 설치하여 2년제 단기 고등교육을 실시하였으며, 1965년에는 4년제 성신여자사범대학으로 승격·개편되었다. 1979년에는 학교의 확대·개편으로 사범대학이 일반대학으로 전환되어 교명을 성신여자대학으로 변경하였으며, 1981년에는 종합대학교인 성신여자대학교로 승격·개편되기에 이르렀다.
- 이야기 더보기
- 종암중학교
- 성북구 종암로5길 80-17(종암동 32-3)에 위치한 중학교이다. 1980년 4월 9일 설립인가를 받았다. 1987년 11월 21일 종암여자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가 2002년 03월 다시 종암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3년에는 정보화관, 2013년에는 체육관을 개관하였다. 2017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우수학교로 교육감 표창을 받았다. 2019년 2월 제36회 졸업생을 진행하고 누적 졸업생 19,680명을 배출하였다.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으로 인해 개학이 연기되고 교육 당국이 온라인개학이 검토하면서 2020년 3월 30일 원격수업을 시범 운영하기도 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성북동 우리밀국시
- 성북구 혜화로 84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건물의 사용승인일은 1988년 4월 25일이다. 연면적은 207.58㎡이다. 우리밀국시라는 음식점 하나가 있는 건물이며, 1층만 식당으로 쓰이고 있다. 2층에 행주를 널어놓거나 실외기가 돌아가고 있는 것으로, 2층 이상도 영업을 위해 사용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건물 옆 공간이 좁고 계단이 가파르다. 빨간 벽돌조로 되어있어 일반 가정집 같으면서도 가게 앞부분이 거의 유리로 되어있어 안이 훤히 들여다보인다. 가게가 주변 건물과 다닥다닥 붙어있다시피 하기에 앞부분이 집중적으로 노출되고 옆과 뒤는 보기 힘들다. 국시는 성북동에서 많이 파는 칼국수의 종류이고, 성북동의 명물로 상징성이 있다. 성북동은 삼선교와 더불어 고위 관료 등 요직에 있는 사람들이 많이 살던 동네였고, 고기 고명의 칼국수를 파는 것이 유행이 되었다. 특히 김영삼 전 대통령이 좋아하던 음식이기에 더 주목받게 되었다는 배경도 있다. (2024학년 2학기 한성대학교 서비스러닝 사회봉사 조사 내용 참고)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