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233] 보문동 역사의 산증인 박춘화 이야기
- 금도끼 <성북 사람들의 구술생애사> 시리즈, 이번 주 소개해 드릴 분은 1947년 보문동에서 태어나 현재까지 그곳에 생활 터전을 두고 계신 박춘화 님입니다. 박춘화 님은 보문동의 변화 모습과 인생 이야기를 덤덤하게 들려주셨습니다. 지면상 모든 이야기를 공개할 수 없기에 보문동 일대의 변화와 지역 이야기를 중심으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성신여자고등학교
- 성북구 동소문로26가길 80(돈암동 산11-269)에 위치한 고등학교이다. 성신여자고등학교는 1936년 이숙종(李淑鍾)이 종로구 경운동에 설립한 성신여학교에서 시작하였다. 1937년 학교를 종로구 견지동으로 이전하였다가, 1944년 성북구 돈암동 173-1번지에 교사를 신축하고 이전하였다. 일제의 강요로 성신여자상업학교로 변경되기도 하였지만, 해방과 함께 1945년 인문계로 개편하였고, 1946년 학제변경에 따라 성신여자고등학교에서 성신여자중학교로 개편되었다. 1951년 교육법 개정에 따라 성신여자중학교와 성신여자고등학교로 분리·개편되었다. 이후 1981년에는 동선동2가 옛 성신여자사범대학 부속 여자고등학교가 있던 자리로 교사를 이전하였다가 1984년 8월 현재의 위치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장석조네 사람들
- 『소설과사상』에 연재했던 연작 장편을 묶어 1995년 4월 고려원에서 펴낸 작품으로, 미아리 산동네에 아홉 개의 방이 길게 늘어선 장석조씨네 집에 사는 아홉 가구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김소진은 강원도 철원에서 태어나 다섯 살 때 미아리 산동네로 이사하였다. 그는 '장석조'의 집에서 아홉 가구가 함께 살았는데 이 소설은 그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것이다. 소설 속에는 전쟁통에 북에 가족을 두고 내려온 공사판 십장 오영감, 똥지게꾼 광수애비, 성냥공장에 다니는 딸과 그 딸에게 얹혀사는 폐병쟁이 진씨 등 다양한 인물이 등장한다. 『장석조네 사람들』은 70년대 서울 변두리 동네의 풍경과 근근히 하루를 살아가는 가난한 이웃들의 삶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 이야기 더보기
- 성북동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 이야기를 찾아서 3
- 총 3권으로 구성된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이야기를 찾아서’ 중 제3권이다.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에서 주관하고 성북구청 문화체육과에서 발행하였다. 2011년 4월 12월 27일에 발행한 제3권에서는 성북동의 역사, 별장, 변화, 마을과 생활, 시설, 과거 성북동에 대한 거주민들의 구술 자료, 문화유산을 담고 있다. 성북동의 역사와 문화를 발굴하여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퍼냈으며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문헌과 신문자료에 기록된 성북동과 주민들의 인터뷰를 기재했다. 부록으로는 여러 문화유산의 위치를 나타낸 지도와 본문 수록 인물 목록, 문화유산 목록을 담아두었다.
- 이야기 더보기
- 2016년 4.19 혁명 56주년 기념 문화제
- 1960년 4월 19일 학생들의 시위로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확산된 반정부 민주주의 혁명인 4.19혁명의 56주년을 기념하여 실시한 문화제이다. 문화제는 2016년 4월 16일부터 1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학술회의, 4.19혁명 학생 시위 재현 행사, 4.19기념 마라톤 대회, 특별전시회, 4.19혁명과 함께하는 걷기대회 등으로 구성되어 진행되었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