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226] 상실의 시대를 노래했네
- 1990년대를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라고 하는 평자들이 많습니다. 그전까지 트로트가 주류였던 대중음악계에는 언더그라운드의 포크, 발라드, 댄스, 블루스, 민중가요, 록, 힙합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이 여러 매체를 통해 전파되며 대중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형식뿐 아니라 노랫말로 표현하는 음악의 내용도 풍성해졌습니다. 남녀의 사랑과 이별을 노래한 것이 대다수이긴 했지만 색다른 주제의 노래들이 등장해서 잔잔한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이를테면 ‘그리움’ 같은 것입니다. 물론 떠나간 연인이나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것이 가장 많지만 개중에는 이제는 갈 수 없는 유년 시절의 장소와 시간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를 담은 노래들도 있었습니다. 왜 1990년대에 그런 노래들이 등장했던 것일까요? 그 시절 우리 도시의 모습이 급격하게 변하다 보니 상실감이 컸던 것은 아닐까 생각합니다. 예전의 집과 골목들이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과거의 추억을 떠올릴 수 있는 물질적 조건들이 사라지고 만 것이죠. 이주와 이사가 예사였던 것도 한 이유가 될 것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줄곧 한 집에서 자란 이들도 거의 없었을 테니까요. 1990년대 베스트셀러 소설 중 하나가 『상실의 시대』였던 것도 이런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즈음 발표된 노래 중에는 1970년대 성북구의 풍경을 떠올리게 하는 노래들이 더러 있습니다. 주로 1960년대에 태어나 유년기를 성북 지역에서 보낸 뮤지션들의 노래입니다. 세 곡을 골라봤습니다. 먼저 소개할 노래는 그룹 어떤 날의 멤버로 유명한 조동익(1960~ )의 곡 〈노란대문 (정릉배밭골’70)〉입니다. 1994년 발표한 그의 정규 솔로 음반 《동경(憧憬)》에 실은 노래입니다. 정릉3동 배밭골에서 보냈던 어린 시절 집 안팎의 풍경과 가족들의 모습을 시적인 가사에 담았습니다. 노란대문 (정릉배밭골’70) 작사·작곡·노래 : 조동익 맑은 개울을 거슬러 오르다 조그만 다리를 건너 동산을 오를 때면 저만치 소를 앞세우고 땀흘려 밭을 일구시는 칠성이네 엄마 집에 도착하면 숨이 턱까지 차올라 노란 대문 생각만 해도 내 입가에 웃음 짓게 하는 그 문을 두드리면 제일 먼저 날 반기던 강아지 마당엔 커다란 버찌나무 그 아래 하얀 안개꽃 해질 무렵 분꽃이 활짝 피면 저녁 준비에 바쁘신 우리 할머니 저만치 담 밑엔 누군가 살고 있을 것 같은 깊고 차가운 우물 두레박 하나가득 물을 담아 올리면 그 속엔 파란 하늘 난 행복했었지 하얗게 춤추던 안개꽃 난 사랑했었지 그곳을 떠다니던 먼지까지도 노란 대문 생각만 해도 내 입가에 웃음 짓게 하는 그 문을 두드리면...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이은숙
- 정릉동에서 거주한 독립운동가이다. 우당 이회영의 아내이기도 하다. 1966년에 자서전적 회상기인 『서간도시종기』를 출간하였다. 한국독립운동사의 일면을 기록한 일종의 역사서이자 전통적 양반집 부인의 교양과 생활, 의지를 절실하게 묘사한 문학작품이다. 작가의 가계와 이회영과의 혼인, 신민회의 초기 활동부터 1910년 말 서간도(만주)로 이주 후 독립운동에 투신하는 과정을 섬세하게 그리고 있다. 이은숙은 아들인 이규창과 함께 1961년부터 정릉에서 거주하였다. 집의 정확한 위치는 정릉동 226-33번지로, '재건주택'이라 불리는 작은 마당이 있는 단층 주택이었다. 정릉동 언덕에 위치한 이 장소에는 현재 그의 손자가 빌라를 건축하여 거주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2018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김종영
- 우리나라 1세대 조각가이다. 1932년 동아일보사에서 주최한 전조선남녀학생작품전람회에서 일등상을 받아 재능을 인정받았다. 일본 도쿄미술학교에서 유학한 후 서울대 조소과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쳤다. 1948년 돈암동(현 삼선동)에 30평쯤 되는 집을 구해 살다가 6.25전쟁 이후 서울대 공동관사로 옮겼다가 다시 삼선동에 집을 구해 이사했다. 1953년 런던에서 개최된 국제조각전에 「무명 정치수인을 위한 모뉴멘트」를 출품해 우리나라 최초로 해외공모전에 입상했다. 작품의 재료인 나무, 돌의 본연의 물성을 드러내는 추상조각을 남겼다. 주요작품으로는 「전설」(1958), 「3.1운동 기념상」(1963), 「가족」(1965) 등이 있다.
- 이야기 더보기
- 김동수
- 돈암동(현 삼선교로 76)에서 거주한 독립운동가이다. 1923년 부친을 따라 중국 상하이로 건너가 소학교와 중학교를 마치고, 중국군관학교 뤄양분교에 입학하여 훈련을 받았다. 1937년 임시정부에 합류한 뒤 ‘한국청년전지공작대’를 조직하여 부대장이 되었으며, 1941년 공작대원들이 중심이 되어 광복군 제5지대를 조직하였다. 그는 제5지대에서 시안(西安)을 중심으로 장병을 훈련시키는 동시에 선전·정보활동을 하였다. 1945년 4월 광복군 총사령부 경위대에서 제3대 대장을 역임하였다. 광복 후 1946년에는 임시정부 주화대표단 동북특파원으로 중국 당국과 교섭하여 교포 귀국의 편의를 도모하다가 1948년 6월에 귀국하였다. 정부에서는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박경리
- 소설가이다. 본명은 박금이(朴今伊)이며 필명인 ‘경리’는 김동리가 지어준 것이다. 1955년 김동리의 추천으로 『현대문학』에 「계산」을 발표하고, 다음 해 「흑흑백백」을 게재하며 문단에 등단하였다. 1950년대 후반에 돈암동 셋방에서 정릉동 골짜기 한적인 곳인 768-2번지로 집을 옮겨갔다.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대장정을 담은 『토지』는 정릉동 집에 살던 1969년부터 집필하였다. 1980년 강원도 원주로 이사하여 1994년 8월 15일 탈고한 『토지』는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로 번역되었다. 작가들의 창작과 교류를 위한 ‘토지문화관’을 짓고, 대학에서 후학들과 만나며 말년을 보냈다.
- 이야기 더보기
- 유러피언 크리스마스 마켓
- 매년 12월 성북천 분수마루에서 진행되는 마을 축제이다. 이 축제는 유럽 정통 크리스마스 문화를 소개하고, 내·외국인들이 서로 교류하여 상호간 세계문화의 다양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2019년 행사에서는 주한 독일, 러시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 14개국 유럽국가 대사관이 후원하였고, 유러피언들이 즐기는 크리스마스 시즌 별미음식들과 유럽국가의 아기자기한 장식품들을 선보였다. 또한, 캐럴 공연과 러시아 민속 음악 공연 등과 각종 체험행사와 이벤트들이 마련되었다. 2019년 유러피언크리스마스마켓에서 발생한 수익금의 일부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저소득가정, 다문화가정 등에 기부되었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