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163] 돈암2동 민세 안재홍 선생 동상 건립과 공공미술
- 1. 민세 안재홍 선생 동상 제막 2023년 5월 11일 목요일, 평소에는 차들이 분주하게 교차하던 아리랑고개 사거리 일신건영아파트 상가 옆 공터가 많은 사람들로 분주합니다. 공터에는 당당한 모습으로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 빛바랜 청년의 사진으로 된 현수막이 걸려있습니다. 또한 흰 천으로 덮어놓은 사람 키 만한 조형물도 있습니다. 곧 행사는 시작되었고, 내빈들의 축사와 축하공연이 끝난 뒤 흰 천으로 덮어놓은 조형물의 정체가 밝혀졌습니다. 바로 민족지도자 민세(民世) 안재홍(安在鴻, 1891-1965) 선생의 동상이었습니다. 성북구청이 주최하고, 우리문화원이 주관한 ‘성북구 돈암2동 민세 안재홍 선생 제막식’ 은 많은 취재진과 지역주민들의 호응 속에서 열렸습니다. 특히 민세안재홍선생기념사업회 관계자와 민세 안재홍 선생의 유족 대표 안영돈, 안영운, 안혜초, 안순희 님 등 10여 명도 이날 현장을 찾아 동상 건립을 축하했습니다. 이번 163번째 금도끼는 민세 안재홍 선생 동상 건립과 관련하여 이모저모 알아보겠습니다.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장기영
- 장위동에서 거주한 독립운동가이다. 강원도 영월 출신으로 1924년 상해임시정부에서 안창호, 김구의 권유로 미국에 건너가 인디애나대학을 졸업했다. 1932년 이승만의 부름을 받고 워싱턴에 있는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의 위원으로 임명되어 독립자금을 모집하고, 교민들에게 독립사상을 고취시키는 등의 활동을 했다. 1943년 미국과 일본의 전쟁이 확대되자 미군에 자원입대하여 충칭[重慶]에 있던 임시정부의 연락원으로 활동했다. 광복 후에는 강원도 영월에서 무소속으로 초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이후 체신부장관, 서울특별시장, 신민당 운영위원, 국민당 사무총장, 민중당 총재 등을 역임했다.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았다. 주소는 '서울 성북(城北) 장위(長位) 246-396'이었다.
- 이야기 더보기
- 조지훈
- 시인이자 학자, 교육가이다. 1939년 『문장』에 시 「고풍의상」과 「승무」, 1940년에 「봉황수」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해방 후 성북동에 한옥을 마련하여 ‘방우산장’이라는 당호를 붙이고, 근처에 살고 있던 김기창, 김환기, 윤이상 등과 교류했다. 그는 방우산장에서 박목월, 박두진과 모여 의견을 나누며 『청록집』을 간행하였는데 이 책의 장정은 김용준이 맡았다. 그의 작품은 민족정서와 불교적 색채를 띠고 있으며, 활동 후기에는 혼란한 현실 정치를 비판하며 『지조론』(1962)과 같은 산문집을 간행하기도 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이완기
- 성북동에서 거주한 민족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이다. 그는 중동학교 재학 중이던 1940년 7월, 성북정 전태현의 집에서 함께 살던 손용우에게 '조선인은 조선독립의 목적을 달성해야 할 것'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하고, 같은 달 같은 곳에서 전태현과 손용우에게 일본은 패전할 것이므로 기회를 잃지 않도록 준비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했다. 1940년 9월에는 중동학교 교실에서 중일전쟁을 계기로 조선독립이 실현될 것이라 말했고, 지원병제도를 반대했다.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는 이유로 체포되었다. 이후 가혹한 신문과 조사를 받다가 판결이 나기 전인 1942년 5월 옥중에서 순국하였다. 경성부 성북정 133-60(현 성북로 53-2)에서 전태현, 손용우와 함께 거주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박경리
- 소설가이다. 본명은 박금이(朴今伊)이며 필명인 ‘경리’는 김동리가 지어준 것이다. 1955년 김동리의 추천으로 『현대문학』에 「계산」을 발표하고, 다음 해 「흑흑백백」을 게재하며 문단에 등단하였다. 1950년대 후반에 돈암동 셋방에서 정릉동 골짜기 한적인 곳인 768-2번지로 집을 옮겨갔다.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대장정을 담은 『토지』는 정릉동 집에 살던 1969년부터 집필하였다. 1980년 강원도 원주로 이사하여 1994년 8월 15일 탈고한 『토지』는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로 번역되었다. 작가들의 창작과 교류를 위한 ‘토지문화관’을 짓고, 대학에서 후학들과 만나며 말년을 보냈다.
- 이야기 더보기
- 수화
- 1954년 5월 『신천지』에 실린 글로 김환기가 자신의 아호와 관련된 이야기를 쓴 것이다. 그는 자신의 호적의 이름이 싫어 아호를 짓기 위해 자신이 좋아하는 글자 중 나무 '수(樹)'자를 골랐다고 한다. 그 후 한동안 수와 어울리는 글자를 찾기 못하다가 한참 후에 말씀 '화(話)'자를 생각해내 아호를 '수화(樹話)'라고 정한다. 김환기는 자신의 아호가 무의미한 집자(集字)라고 했지만 친구와의 일화를 통해 자신이 나무를 좋아하지 않았다면 나무 수자를 가져오지 않았을 것이라는 점을 깨닫는다. 그러면서 그는 서울 곳곳에 녹음이 우거지기를 바란다. 여기서 김환기는 자신의 아호에 대한 설명과 함께 나무와 숲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며, 성북동에 살고 있는 이유 중 하나로 숲과 나무에 파묻혀 살고 싶어서임을 밝히고 있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