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180] 발 연기? 발로 하는 예술! 발탈
- 우리는 흔히 형편없는 연기를 낮잡아 부를 때 ‘발 연기’라고 합니다. 실력이나 질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손이 아닌 발로 한 것 같다는 의미로 접두사 ‘발’을 붙인 것이죠. 오늘 소개할 ‘발탈’은 이런 은유적 표현이 아니라 진짜 발을 사용하여 연기를 합니다. 발로 연기를 한다고 하니 우스꽝스러울 것 같나요? 발탈은 재미있습니다. 하지만 수준이 떨어지는 것도, 낮잡아 볼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발탈은 우리의 전통 예술로, 발에 탈을 씌워 사람처럼 꾸민 탈 인형과 어릿광대, 아낙네 등이 서로 소리와 재담을 주고받는 민속극입니다. 탈 역할의 연희자는 검은 포장막 뒤에서 의자에 앉아 발에 탈을 씌우고 상반신만 있는 인형에 발을 얹고 연기를 합니다. 또 손으로는 막대기를 이용해 인형의 팔을 조종하여 인형의 다양한 몸짓을 표현합니다. 발탈은 어릿광대가 이 상반신만 있는 탈 인형의 외양에 놀라 시비조로 정체를 물으면서 극이 시작됩니다.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최용덕
- 성북동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다. 1910년 중국으로 망명하여 중국 육군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군에 입대하였다. 1922년에는 의열단에 참여하여 폭탄운반 및 투척계획을 협의하는 등 의열활동을 지원하였다. 1922년 이후 1940년까지 중국 공군에서 교관, 수상비행대장 참모장, 공군기지사령관 등을 역임하였다. 1940년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자, 총사령부 총무처장, 참모처장, 사령관 등을 역임하였다. 해방 후에는 대한민국 초대 국방부차관을 역임하였으며, 공군사관학교 교장을 거쳐 공군후방사령관·항공기지사령관·공군본부작전참모부장·공군참모총장 등을 역임하였다. 최용덕의 자필 이력서에 의하면 본적은 성북동 265번지(성북로 148-5)로 기록되어 있다. 정부에서는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 성북회화연구소
- 성북구 보문로39길 34(동소문동3가 65-2)에 위치했던 연구소이다. 태화장모텔 자리이다. 성북회화연구소는 서양화가인 이쾌대(1913-1965)에 의해 해방 이후 1947년에 창립되었으나, 실제로는 이미 전해인 1946년 봄부터 학생들을 모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연구소는 위치는 1946년 돈암동에 있다가, 1948년에는 명륜동으로 이사하였다. 연구소는 1949년 말까지 지속되다가 해체되었으며, 1950년에는 남산시립미술연구소로 이어가게 되었다. 성북회화연구소는 해방공간에 설립된 미술연구소 중 가장 크고 활발하게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다수의 작가를 배출하였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