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188] 길음동의 옛 동네를 기억하며, 김소진의 『눈사람 속의 검은 항아리』
- 11월 17일에 올겨울 첫눈이 내렸다는데, 다들 흩날리는 작은 눈송이들을 보셨을까요? 눈이 될 준비를 하고 있던 눈송이들이 겨울이 오고 있다는 소식을 전하러 잠시 찾아온 것 같습니다. 한겨울에 다다르고 있는 11월 말입니다. 오늘 금도끼에서는 하이얀 눈 속을 파헤치듯 길음동에서의 어린 시절을 더듬어 보는 소설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김소진의 단편 소설 『눈사람 속의 검은 항아리』을 살펴보면서 이 소설에 담긴 미아리 재개발에 관해서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작가 김소진을 소개하며 이야기를 시작해보겠습니다. 김소진은 1963년 철원에서 태어나 다섯 살이 되던 해인 1967년, 미아리고개 넘어 정릉 천변의 산동네였던 길음동으로 이사합니다. 김소진은 미아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보성중학교를 거쳐 서라벌고등학교를 다니는데요. 미아초등학교는 길음동에, 서라벌고등학교는 돈암동에 있었던 학교로 대학에 입학하기 전까지 김소진은 삶의 대부분의 시간을 성북구에서 보냈던 것 같습니다. 1982년 서울대에 입학하여 영문학을 전공하였고 이후 기자 생활을 하면서 소설을 쓰기 시작하는데, 1991년 단편 『쥐잡기』가 경향신문 신촌문예에 당선되어 등단합니다. 이후 김소진은 『열린사회와 그 적들』(1993), 『장석조네 사람들』(1995), 『자전거 도둑』(1996) 등의 작품을 잇달아 발표하며 1990년대 대표적인 사실주의 작가로 자리매김합니다. 김소진은 본인이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전소설을 상당수 집필했는데요, 어린 시절을 보낸 미아리 동네와 동네의 사람들이 창작의 원천이자 주요한 제재였습니다. 『고아떤 뺑덕어멈』(1993), 『장석조네 사람들』(1995), 『길』(1996), 『신풍근배커리 약사』(1996), 『70년대 민중의 마지막 꿈』(1997) 등 많은 작품에서 미아리와 미아리를 살아간 사람들을 담아냈습니다. 김소진이 어린 시절을 보낸 길음동 일대는 통상 미아리로 불렸던 것을 잠시 짚고 가려고 하는데요. 1950년 성북구 미아리가 미아동으로 개칭되었고 1959년에 미아제1동이 길음동이 되지만 1950년 이전 미아리에 속해있었던 여러 동이 계속해서 같은 생활권으로 인식되었고, 사람들은 이들을 묶어 통상 미아리로 불렀던 것 같습니다. 한편 1973년에 도봉구가 분리·신설되면서 길음동은 도봉구 미아동이 되는데요, 1975년 다시 성북구로 편입되면서 길음동이라는 이름을 되찾습니다. 김소진은 당시로서나 현재로서나 행정구역상으로 길음동에 거주했지만, 앞선 설명과 같은 관습으로 그 또한 자신이 살았던 곳을 미아리로 불렀던 것 같습니다.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박경리
- 소설가이다. 본명은 박금이(朴今伊)이며 필명인 ‘경리’는 김동리가 지어준 것이다. 1955년 김동리의 추천으로 『현대문학』에 「계산」을 발표하고, 다음 해 「흑흑백백」을 게재하며 문단에 등단하였다. 1950년대 후반에 돈암동 셋방에서 정릉동 골짜기 한적인 곳인 768-2번지로 집을 옮겨갔다.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대장정을 담은 『토지』는 정릉동 집에 살던 1969년부터 집필하였다. 1980년 강원도 원주로 이사하여 1994년 8월 15일 탈고한 『토지』는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로 번역되었다. 작가들의 창작과 교류를 위한 ‘토지문화관’을 짓고, 대학에서 후학들과 만나며 말년을 보냈다.
- 이야기 더보기
- 정릉2동 노인정
- 성북구 보국문로8나길 39(정릉동 223-12)에 위치한 노인 복지시설이다. 정릉2동의 범위는 정릉길 남쪽과 북쪽의 숭덕초등학교 뒷쪽 일대이다. 정릉2동 노인정은 1982년에 문을 열었다. 노인정은 송기종 등 4명이 건립해 서울시에 기부한 건물이다. 정릉2동 노인정은 마을에서 ‘공청 노인정’이라고도 불린다. 정릉 마을 노인분들의 증언에 따르면 마을 사람들이 공청에 모여 공청회, 산신제 관련 마을 회의를 하거나 모임을 가졌고, 마을 공유재산인 집기 등을 이곳에 보관하고 빌려주기도 했다고 한다. 이는 ‘공청’이 단순히 노인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마을 공동으로 관리 운영했던 마을회관가 같은 건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해 볼 수 있다.
- 이야기 더보기
- 장수마을 주거환경관리 사업
- 2013년 성북구 삼선동 장수마을의 기반시설과 공용시설을 정비한 사업이다. ‘주거환경관리사업’이란 단독 주택과 다세대 주택이 밀집한 지역에 정비 기반 시설과 공동 이용 시설을 확충하여 환경개선을 통한 주거 복지를 지원하는 사업을 말한다. 성북구의 경우 2013년 서울시와 성북구청의 지원으로 삼선동의 장수마을과 정릉동의 정든마을이 대상으로 선정되어 정비되었다. 장수마을은 6월에 선정되어 12월에 완료되었는데, 기반시설(도시가스, 하수관거, 골목길) 정비, 안전시설(CCTV, 보안등, 소화전, 제설함) 설치, 주민공동시설(마을박물관, 주민사랑방, 도성마당 등) 설치 등이 이루어졌다. 또한 계단의 정비와 난간의 설치로 노령인구가 많은 주민들의 이동이 한결 수월해졌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