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도끼
금요일마다 돌아오는 성북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 [금도끼 #155] 안감리 전차 투석 만세운동
- 1919년 3월, 서울과 평양을 중심으로 시작된 만세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전국 각지에서 많은 이들이 모여 대규모 만세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일본 군경은 만세운동에 ‘엄중한 경계’로 대응하여 해산 및 진압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실상은 폭력 진압이었습니다. 한국에 머무르던 미국인 선교사 매티 윌콕스 노블(Mattie Wilcox Noble)은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경찰과 헌병들이 총검으로 [시위대를] 베고, 체포했다. 우리 집 요리사가 돌아와서 그의 친구도 칼에 찔려 경찰서로 끌려갔다고 얘기했다. 헌병들이 경사가 급한 제방으로 사람들을 밀어 떨어뜨리는 것을 몇몇 외국인이 목격하였다. 해럴드[Harold, 노블의 아들]가 살펴보려고 내려갔지만 이미 일이 끝났고, 그가 본 것은 피를 흘리며 경찰서로 끌려가거나 의식을 잃은 채 인력거에 실려 가는 사람들이었다." - 매티 윌콕스 노블 지음, 강선미 이양준 옮김,『노블일지 1892-1934』, 이마고, 2010; 정병욱,「낯선 삼일운동」③, 한국역사연구회 웹진 역사랑 6호, 2020 재인용. 일본 군경의 폭압에도 만세운동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서울 곳곳에서 소수의 인원들이, 해가 진 어두운 시간 기습적으로 만세운동을 펼쳤습니다. 마치 ‘게릴라 작전’과도 같았지요. 이러한 만세운동은 우리 성북구 지역에서도 몇 차례 일어났습니다. 오늘은 이중 하나의 만세운동에 관하여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3월 26일 수요일 해가 진 밤이었습니다. 안감리(지금의 안암동)에 몇몇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어느덧 모여든 사람은 약 200여 명에 달했습니다. 그리고 이들은 만세를 외쳤습니다. 인근을 지나는 전차에 돌을 던졌습니다. 돌을 던져 전차의 유리창을 파손하였고, 타고 있던 승객들에게 하차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이에 일본 군인 5명이 출동하여 이들을 해산시켰습니다. 이 만세운동에 관한 기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3월 27일, 독립운동에 관한 건(제28보) / 경성. 안감리에서 3월 26일 밤 약 200명의 군중이 만세를 부르고 전차에 투석하여 유리창을 파괴하고 승객의 하차를 협박하는 등 폭행을 연출했으나 피해는 없었고 얼마 안 되어 해산시켰다." - 조선총독부 경무총감부 고등경찰과, 독립운동에 관한 건(제28보), 1919년 3월 27일. "3월 26일, 경기 안감리, 시위운동이상, 군중수 200명, 출동군대 5명" - 조선헌병대사령부・조선총독부 경무총감부, 소요사건 경과 개람표(1919.3.1.-1919.4.30.), 1919년 5월 10일.
이 달의 마을아카이브
이 달에 기록된 성북 마을이야기를 만나봅니다.
- 박남옥
- 영화감독이다. 광복 후 서울로 올라와 조선영화사 광희동 촬영소에 들어가 편집을 배웠다. 1940년대 돈암동에 거주하며 주변에 살던 영화인들과 교류했고, 1953년 극작가 이보라와 결혼하고 이듬해 남편이 쓴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미망인』을 촬영했다. 제작비 부족 등으로 어렵게 완성하여 개봉하였으나 흥행을 거두진 못했다. 1960년 도쿄에서 열린 제7회 영화제에 참가했다. 1997년 제1회 서울 여성영화제가 『미망인』을 상영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의 존재가 알려졌고, 2008년 여성 영화인에게 수여하는 '박남옥상'이 제정되었다.
- 이야기 더보기
-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고등학교
- 성북구 성북로14가길 23(성북동 151)에 위치한 사립고등학교이다. 1931년 6월 이기윤(李基潤)이 세운 외국어 교육기관인 경성외국어학원에서 출발하여, 1939년 3월 현재의 위치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1943년 9월 일본이 영어 교육을 강제 폐쇄시키면서 성북중학원(城北中學園)으로 변경하였다가 12월에 경북중학원(京北中學園)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해방 후 잠시 휴원되었다가 1949년 9월 성북중학원으로 다시 개원하였고, 1954년 4월 재단법인 계원학원을 설립하여 성북중학교와 성북고등학교를 설립하게 되었다. 1970년 계원학원을 학교법인 홍익학원에서 흡수·합병하고, 1972년 6월 교명을 홍익고등학교로 변경하였다. 1977년 3월 교명을 다시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고등학교로 변경하여 오늘에 이른다.
- 이야기 더보기
- 성북예술창작터
- 성북구 성북로 23(성북동 1가 74-1)에 위치한 문화시설이다. 성북예술창작터는 시각예술을 기반으로 하여,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신진 예술가를 발굴하고 나아가 주민들이 참여 가능한 다양한 예술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문화를 활성화하고 열린 미술문화를 만들어 가기 위한 목적으로 2013년 개관하였다. 기획전시와 윈도우갤러리 전시를 통해 수준 높은 미술 작품을 소개하고, 대학연계전시, 신진작가 공간지원 사업, 대관 등을 통해 다양한 미술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또 장기적으로 쉽고 다양한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주민들과 만나고 있다.
- 이야기 더보기
주제로 보는 성북
이야깃거리와 기록을 주제별로 묶어 관심 있는 주제를 한눈에 둘러볼 수 있습니다.